최용진(안양시청)이 제1회 광주 전국수영선수권대회에서 정상에 올랐다. 최용진은 19일 광주광역시 남부대 시립국제수영장에서 열린 대회 4일째 남자일반부 자유형 1,500m 결승에서 15분36초90으로 박재훈(제주 서귀포시청·15분42초98)과 김동일(국군체육부대·15분45초97)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또 남대부 자유형 50m 결승에서는 김동혁(성결대)이 23초51로 서은준(남부대·23초67)과 강경원(상명대·23초86)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밖에 남고부 평영 100m에서는 김은총(안양 신성고)이 1분03초13으로 김찬영(울산스포츠과학고·1분02초14)에 이어 2위에 올랐고, 남고부 접영 200m에서는 김민성(경기체고)이 2분00초31로 황보준헌(경기고·1분58초35)에 이어 준우승했으며 여대부 자유형 50m에서는 김태리(동서울대)가 30초18로 강조민지(남부대·27초89)에 이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여일반 자유형 50m 이근아(25초90)와 남일반 배영 200m 송석규(2분01초91·이상 화성시청), 여일반 평영 100m 권세현(안양시청·1분11초22), 남일반 접영 200m 이민기(화성시청·2분00초34), 남고부 계영 400m 경기
의정부시유소년야구단이 제2회 횡성군수배 전국유소년야구대회에서 2년 연속 정상에 올랐다. 대한유소년야구연맹은 지난 17일 강원도 횡성군 베이스볼테마파크 야구장에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의정부시유소년야구단이 대전서구유소년야구단을 4-0으로 완파하고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고 19일 밝혔다. 대한유소년야구연맹이 주관한 이번 대회는 전국에서 108대 팀이 참가한 가운데 지난 2일부터 17일까지 주말을 이용해 진행됐다.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진 이번 대회는 연령별로 새싹리그(U-9), 꿈나무리그(U-11), 유소년리그(U-13), 주니어리그(U-16), 파파스리그(학부모) 등 총 8개 부문에서 우승컵을 놓고 치열한 승부를 펼쳤다. 작년 2개 대회 우승팀인 의정부시유소년야구단은 유소년리그(U-13) 청룡 8강에서 서울 노원구유소년야구단을 9-1로 꺾은 데 이어 4강에서도 남양주야놀유소년야구단을 8-4로 제압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의정부시유소년야구단은 결승에서 대전서구유소년야구단을 맞아 3회말 신지호(상명중1)의 1타점 우전안타로 선취점을 뽑은 뒤 4회말에도 이서준(호원초6)의 사구, 최하진(신흥중1)의 좌전안타에 이은 조재민의 2타점 우월 3루타 등을 묶어 3점을 올리며
프로야구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의 구현모 구단주가 후반기 시즌 시작을 앞두고 선수단은 물론 경기장 스태프, 응원단까지 격려했다. kt 구단은 “구현모 구단주 겸 대표이사가 지난 18일 오후 선수단과 경기장 스태프, 응원단 등을 서울의 한 호텔로 초청해 만찬을 함께 했다”며 "이 자리에는 이강철 감독 등 선수단뿐만 아니라 현장 직원과 버스 기사, 응원단, 그라운드 키퍼, 경호, 시설, 미화, 사진 담당자 등 총 106명이 초대받았다"고 19일 밝혔다. 구현모 구단주는 이날 1, 2군 선수단 전원에게 호텔 숙박권을 선물했고, 경기장 직원들에게는 수원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외식상품권을 증정했다. 지난 시즌 창단 첫 통합우승을 차지한 kt는 시즌 초반 주축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하위권에 맴돌았지만, 6월 이후 상승세를 타며 리그 4위까지 도약하며 전반기를 마쳤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2019년에 이어 다시 한 번 우승하고 싶다. 새로운 선수들이 대표팀에서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지켜보겠다.” 한국 남자 축구대표팀이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이하 동아시안컵) 4연패 도전에 나선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20일 오후 7시 일본 아이치현 도요타시 도요타 스타디움에서 중국과 동아시안컵 1차전을 치른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홍콩 4개국이 참가하는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중국전을 시작으로 24일 홍콩, 27일 일본과 차례로 대결을 펼친다. 한국은 대회 4연패를 겨냥하고 있다. 2003년 출범해 올해로 9회째를 맞은 동아시안컵에서 한국은 최근 3연패(2015년·2017년·2019년)를 달성하며 역대 최다인 5차례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벤투 감독은 지난 2019년 부산에서 열린 동아시안컵에서 대표팀과 함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벤투 감독은 “2019년 우승 때와는 또 다른 경험이 될 것이다. 당시 개막 일주일 전부터 훈련했는데 이번에는 K리그가 진행 중이라 시간이 많지 않았다. 하지만 다시 한 번 우승을 해보고 싶다”고 전했다. 동아시안컵은 오는 11월 막을 올리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앞서 마지막 전초전
‘스마일 점퍼’ 우상혁(26·국군체육부대)이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선수 최초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우상혁은 19일 미국 오리걵 유진 헤이워드필드에서 열린 대회 4일째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5를 뛰어넘어 2m37을 기록한 무타즈 에사 바심(31·카타르)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높이뛰기 선수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것은 우상혁이 처음이다. 한국 육상을 통틀어서는 2011년 대구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20㎞ 경보에서 김현섭이 동메달을 획득한 데 이어 두번째 메달 획득이다. 우상혁을 따돌린 바심은 남자 높이뛰기 사상 최초로 세계선수권 3연패를 달성했다. 2m35는 우상혁이 지난해 열린 도쿄올림픽에서 4위를 차지할 때 기록한 실외 남자 높이뛰기 한국 타이기록이다. 대한육상연맹은 남자 높이뛰기 실내와 실외 경기 기록을 구분하지 않아서, 현재 남자 높이뛰기 한국기록은 우상혁이 올해 2월 6일 체코 실내대회에서 작성한 2m36이다. 지난 16일 끝난 예선에서 단 한 번의 실수 없이 2m28을 뛰어넘어 공동 1위를 차지하며 한국 선수로는 1999년 세비야 대회 이진택 이후 23년 만에 결선 진출에 성공한 우상혁은 13
'스마일 점퍼' 우상혁(26·국군체육부대)이 밝은 표정과 경쾌한 몸놀림으로 '은빛 도약'을 했다. 우상혁은 19일(한국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5를 넘어 2위를 차지했다. 2m37을 1차 시기에 성공한 '현역 최고 점퍼' 무타즈 에사 바심(31·카타르)의 벽에는 막혔지만, 우상혁은 '세계 최정상급 점퍼'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바심은 남자 높이뛰기 사상 최초로 세계선수권 3연패를 달성했다. 한국 선수 중 실외 경기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딴 선수는 20㎞ 경보의 김현섭(2011년 대구 동메달), 단 한 명뿐이었다. 그러나 우상혁이 높은 벽을 경쾌하게 넘어서면서, 한국에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은메달리스트'가 탄생했다. 2m35는 우상혁이 지난해 열린 도쿄올림픽에서 4위를 차지할 때 기록한 실외 남자 높이뛰기 한국 타이기록이다. 대한육상연맹은 남자 높이뛰기 실내와 실외 경기 기록을 구분하지 않아서, 현재 남자 높이뛰기 한국기록은 우상혁이 올해 2월 6일 체코 실내대회에서 작성한 2m36이다. 이날 결선에 출전한 13명 중 가장 먼저 주로에 선 우상혁은 2m19를 1차 시
유도 ‘유망주’ 김승민(의정부 경민고)이 제93회 YMCA 전국유도대회 남자고등부 90㎏급에서 우승하며 시즌 5관왕에 등극했다. 김승민은 18일 경북 김천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남고부 90㎏급 결승에서 김대명(광주체고)을 상대로 연달아 지도 3개를 빼앗으며 반칙승(한판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김승민은 첫 출전한 체급에서 우승을 거머쥐며 올 시즌 총 3개 체급에서 시즌 5관왕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다. 앞서 김승민은 3월 춘계중고연맹전과 4월 양구평화컵에서 73㎏급으로 출전해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5월 청풍기 전국유도대회와 6월 양평 몽양컵에서는 81㎏급으로 잇따라 정상에 올랐다. 이번 대회에서 또다시 체급을 올려 90㎏급에 나선 김승민은 결승전에 오르기 까지 3번의 경기를 모두 한판승으로 장식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밖에 남고부 100㎏급 결승에서는 김건우(경민고)가 황성현(보성고)에게 허벅다리 걸기 절반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고, 남고부 +100㎏급 백종우(경민고)도 결승에서 장유민(부산체고)에게 밭다리 한판패를 당해 준우승했다. 한편 여고부 70㎏급 배시은(경기체고)은 결승에서 최재영(부산체고)에게 허벅다리 걸기 한판으로 져 아쉽게
김보민(용인 초당중)이 제1회 광주 전국수영선수권대회에서 2관왕에 올랐다. 김보민은 18일 광주광역시 남부대 시립국제수영장에서 열린 대회 3일째 여자중등부 자유형 800m 결승에서 8분58초87로 신영주(대전체중·9분25초32)와 이다은(서울 성암여중·9분33초20)을 여유있게 따돌리고 1위로 골인했다. 이로써 김보민은 전날 열린 여중부 자유형 400m 우승에 이어 두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여중부 개인혼영 200m 결승에서는 정규빈(수원 대평중)이 2분21초40으로 대회신기록(종전 2분23초56)을 세우며 김수아(서울 오륜중·2분24초33)와 양윤지(전남체중·2분25초11)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여중부 평영 200m 결승에서는 강동하(화성 진안중)가 2분27초33으로 문소희(경기체중·2분33초11)와 정다운(인천 선화여중·2분33초34)을 누르고 패권을 안았다. 남중부 개인혼영 200m에서는 이지원(경기체중)이 2분11초86으로 신혜성(서울 신방학중·2분13초28)과 유시후(서울 문정중·2분13초60)를 제치고 1위에 올랐고, 여초부 접영 50m에서는 이리나(의왕 내동초)가 30초15로 김연(서울 연가초·31초52)과 고애경(평택 용이초·31초9
최원영(용인 양지초)이 제52회 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최원영은 18일 충남 보령시 보령종합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초등부 소장급(45㎏급) 개인전 결승에서 송백호(경남 산청초)를 2-0으로 제압하고 정상에 올랐다. 준결승전에서 서태성(인천 용일초)을 2-0으로 제압한 최원영은 결승전 첫째 판에서 송백호를 왼배지기로 제압하며 기선을 잡은 뒤 둘째 판에서도 왼배지기로 송백호를 모래판에 눕히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4강에서 최원영에게 패한 서태성을 3위에 입상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경기·인천 지역을 대표하는 SSG랜더스와 kt 위즈 두 구단이 전반기 동안 만족스러운 경기력을 보여 후반기를 기대케 하고 있다. 프로야구가 지난주 올스타전을 기점으로 전반기 총 423경기를 마무리한 가운데 SSG(57승 3무 26패·승률 0.687)는 개막 이후 최장기간 동안 1위를 유지하며 리그를 독식했다. 지난 4월 2일 열린 개막전(창원 NC 다이노스전)부터 4월 13일 잠실 LG 트윈스전까지 개막 이후 팀 최다 연승 타이기록인 10연승을 올렸다. 이뿐 아니라 SSG는 전반기 내내 선두 자리를 지키며 개막 후 KBO리그 역대 최장 기간 및 최다 경기(103일·86경기) 1위를 유지한 팀으로 기록됐다. 투·타에서 모두 나무랄 데 없는 경기력을 자랑한 SSG는 특히 선발 마운드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 김광현과 윌머 폰트는 든든한 에이스로 자리 잡으며 팀을 이끌었다. 올 시즌을 앞두고 미국 메이저리그(MLB)에서 국내무대로 복귀한 김광현은 전반기 동안 9승1패, 평균자책점 1위(1.65)를 기록하며 만개한 기량을 과시했다. 15차례 선발 등판해 11차례 퀄리티스타트(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를 기록할 정도로 위력적인 투구내용을 보였다. 폰트는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