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레슬링 종목에서 심판의 이해할 수 없는 판정으로 인해 경기 결과가 뒤집히는 촌극이 발생했다. 졸속 판정으로 인해 패배를 떠안은 선수는 심판진의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대한레슬링협회 심판위원회는 공식 사과문 기재는 없을 것이라 전했다. 또, 해당 심판의 징계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도 밝히지 않으면서 제식구 감싸기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지난 19일 부산시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전국체전 레슬링 남자 18세 이하부 그레코로만형 60㎏급 송두현(안산 G-스포츠클럽), 이재윤(충북체고)의 준결승 경기는 송두현의 부상 기권승으로 끝나야 했다. 8-3으로 앞서가던 송두현은 경기 종료 38초를 남겨두고 헤드번팅을 했고, 이재윤은 왼쪽 눈 부위에 출혈이 있어 치료를 받았다. 이로인해 송두현은 경고와 함께 상대에게 2점을 내줬다. 이후 충북 세컨은 선수가 더이상 경기를 진행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리고 양 손으로 X를 그리며 기권 의사를 드러냈다. 심판은 이를 받아들여 송두현의 승리를 선언했다. 그러나 끝났던 경기가 다시 재개됐다. 심판은 판정을 번복하며 양 선수를 매트 위로 불렀고, 페이스를 잃은 송두현은 8-10으로 패해 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4년 연속 종합우승에 도전하는 경기도가 이튿날에도 금빛 행진을 이어갔다. 도는 18일 부산시 일원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금메달 13개를 추가했다. 이로써 도는 이날 오후 7시 기준 금메달 45개(은 34·동 53)를 확보하며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금메달을 따냈다. 도는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레슬링에서 챔피언 4명을 배출했다. 남자일반부 그레코로만형 60㎏급 결승에서는 송진섭(평택시청)이 울산의 김민우(한국토지주택공사)에게 판정승을 거뒀다. 송진섭이 전국체전에서 금메달을 손에 넣은 것은 수원 경성고 재학 시절인 2011년 제92회 대회 이후 14년 만이다. 이밖에 김현우(부천시청)는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82㎏급 결승에서 성준(부산시청)에게 폴승을 따냈다. 남자 18세 이하부 그레코로만형 87㎏급 결승에서는 박승욱(경기체고)이 김동준(전남체고)을 테크니컬 폴로 꺾고 생애 첫 전국체전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여자 18세 이하부 자유형 57㎏급 결승에서는 신유주(경기체고)가 강예은(인천체고)에게 판정승을 따내 시상대 정상에 올랐다.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태권도 남자 18세 이하부 87㎏급 결승에서는 오지훈(안양
 
								
				송진섭(평택시청)이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레슬링에서 14년 만에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송진섭은 18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레슬링 남자일반부 그레코로만형 60㎏급 결승에서 울산의 김민우(한국토지주택공사)를 판정으로 꺾었다. 송진섭이 전국체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것은 실업팀 입단 후 처음이자, 수원 경성고 재학 시절인 2011년 제92회 대회 이후 14년 만이다. 우승을 확정 짓고 매트에서 내려온 그의 얼굴은 밝은 미소로 가득했다. 송진섭은 "아직도 우승했다는 사실이 실감나지 않는다. 생각했던 것보다 경기가 잘 풀렸던 것 같다. 금메달을 획득해 기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대회에서 항상 조급했다. 그래서 안 뺏길 것도 뺏기고 스스로 무너지는 경기가 많았었다"며 "이번 전국체전에서는 최대한 침착하게 경기에 임하려고 노력했는데, 좋은 결과를 얻어 기분이 좋다"고 덧붙였다. 송진섭은 무릎 부상 때문에 2023년 두 번이나 수술대에 올랐었다. 그는 "힘든 시간이었고, 심적으로 많이 힘들었다. 그러나 마음을 다 잡는 계기가 됐다"며 "'할 수 있다'라는 말을 계속 되내이면서 어려운 시기를 잘 극복할 수 있었다"라고 했다. 송진섭은 "
 
								
				'한국 레슬링 간판' 정한재(수원시청)가 2025 세계레슬링연맹(UWW)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그레코로만형 63㎏급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정한재는 22일(한국시간)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아레나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 그레코로만형 63㎏급 결승에서 아이티안 칼마크아노프(우즈베키스탄)에게 0-6으로 패했다. 한국 선수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것은 2018년 남자 그레코로만형 77㎏급 김현우, 남자 그레코로만형 130㎏급 김민석(이상 동메달) 이후 7년 만이다. 정한재는 2017년 남자 그레코로만형 66㎏급 류한수(전주대 코치) 이후 8년 만에 세계선수권 금메달에 도전했지만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정한재는 8강에서 러시아 출신 개인중립선수인 세르게이 예멜린과 1-1로 경기를 마친 뒤 선취점 우선 원칙으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안착했다. 그동안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경기는 동점으로 끝났을 때 늦게 점수를 획득한 선수가 승리하는 후취점 우선 원칙을 적용했으나 지난 6월 UWW는 1-1로 끝난 경기에만 선취점을 딴 선수가 승리하는 것으로 규정을 변경했다. 정한재는 준결승에서 무함마드 케쉬트카르(이란)를 5-3으로 누르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정회식(수원 곡정고)이 '제53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학생레슬링선수권대회' 남자고등부 자유형 61㎏급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정회식은 26일 경남 고성국민체육센터에서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를 겸해 열린 대회 6일째 남고부 자유형 61㎏급 결승에서 주성헌(제주 남녕고)에게 4-0 판정승을 거뒀다. 이로써 정회식은 2월 제3회 기업은행배 국가대표 이하 우수선수 선발대회 55㎏급 우승에 이어 시즌 2관왕에 올랐다. 이밖에 여고부 자유형 57㎏급 결승에서는 신유주(경기체고)가 강예은(인천체고)을 상대로 8-2 폴승을 따내 시상대 정상을 차지했다. 지난 4월 제3회 헤럴드경제·코리아헤럴드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전 신유주는 시즌 두 번째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조우빈과 이남영, 박승욱(이상 경기체고)이 '제53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학생레슬링선수권대회'에서 나란히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조우빈은 25일 경남 고성국민체육센터에서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를 겸해 열린 대회 5일째 남자고등부 자유형 70㎏급 결승에서 정찬희(서울체고)를 판정으로 꺾었다. 이남영은 남고부 그레코로만형 51㎏급 결승에서 박지훈(대구체고)에게 판정승을 거둬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박승욱은 남고부 그레코로만형 87㎏급 결승에서 최혁태(경북체고)를 상대로 9-0 테크니컬 폴승을 따내 정상에 섰다. 이밖에 남중부 자유형 60㎏급 결승에서는 김지훈(수원 수성중)이 박민재(대구 경구중)를 10-0 테니컬 폴로 제압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고부 그레코로만형 77㎏급 결승에서는 오준호(파주 봉일천고)가 송영준(서울체고)을 판정으로 누르고 1위에 올랐다. 윤병건(봉일천고)은 남고부 그레코로만형 72㎏급 결승에서 김선우(대전체고)를 상대로 판정승을 거뒀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경기도가 '제51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레슬링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도는 24일부터 29일까지 강원 양구문화체육회관에서 열린 대회서 종합점수 896.5점을 획득, 서울시(750점)와 강원도(544점)를 꺾고 우승기를 품었다. 도는 마지막 날 두 명의 우승자를 배출하며 종합우승을 자축했다. 김관욱(수원시청)은 남일부 자유형 97㎏급 결승에서 유성엽(서울레슬링센터)을 상대로 9-0 판정승을 거둬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130㎏급 결승에서는 김민석(수원시청)이 구학본(창원시청)의 부상 기권으로 정상에 올랐다. 이밖에 남일부 자유형 57㎏급 결승에서는 윤민혁(수원시청)이 이중일(칠곡군청)을 10-0 테크니컬 폴로 꺾고 패권을 차지했다.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82㎏급 결승에서는 김현우(부천시청)가 같은 팀 소속 이산을 상대로 4-0 폴승을 따내 우승의 기쁨을 맛봤다. 또 이지율(부천시청)은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77㎏급 결승에서 이경빈(인천환경공단)에게 5-3 판정승을 거뒀고,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55㎏급 유준식(부천시청)도 정상에 동행했다.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60㎏급 결승에서는 박건우(평택시청)가 김종운(부산시청)을 9-1 테크니컬 폴로 제압,
 
								
				김지훈과 김동현(수원 수성중)이 '제51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레슬링대회'에서 나란히 패권을 차지했다. 김지훈은 26일 강원 양구문화체육회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남자중등부 자유형 60㎏급 결승에서 박민재(대구 경구중)를 12-1 테크니컬 폴로 제압하고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김동현은 남중부 자유형 110㎏급 결승에서 황진우(충남 기민중)에게 8-0 폴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밖에 남초부 자유형 52㎏급 결승에서는 문주혁(수원시레슬링협회)이 김환규(서울 레코팀SB)를 상대로 13-2, 테크니컬 폴승을 따내 정상 대열에 합류했다. 남중부 자유형 92㎏급 결승에서는 박성빈(성남 문원중)이 이준형(대전체중)과 접전 끝에 8-7 판정승을 거둬 우승의 기쁨을 맛봤다. 또 임규원(경기체고)은 여고부 자유형 59㎏급 결승에서 송민서(제주 남녕고)를 8-0 폴로 꺾고 챔피언이 됐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김호영(경기체중)이 '제51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레슬링대회' 남자중등부 크레코로만형 80㎏급에서 시상대 정상을 차지했다 김호영은 26일 강원 양구군 양구문화체육관에서 벌어진 대회 2일째 남중부 크레코로만형 80㎏급 결승에서 이준형(대전체중)을 8-0 테크니컬 폴로 제압하고 패권을 안았다. 남중부 그레코로만형 92㎏급 결승에서는 박성빈(성남 문원중)이 손동주(강원 강릉중)를 상대로 5-1 판정승을 거둬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또 박승욱(경기체고)은 남고부 그레코로만형 97㎏급 결승에서 장은혁(경북체고)을 상대로 9-0 테크니컬 폴승을 따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밖에 남고부 그레코로만형 130㎏급 결승에서는 박상준(성남 서현고)이 김경호(전북체고)를 8-0 테크니컬 폴로 누르고 정상에 올랐다. 여중부 자유형 62㎏급 결승에서는 김진경(수원시레슬링협회)이 김시우(강원중)의 부상 기권으로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정서연과 김진희(이상 GH)가 나란히 2025년 여자 레슬링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GH는 "여자 레슬링팀 소속 정서연(76㎏급), 김진희(50㎏급) 선수가 태극마크를 획득했다"라고 24일 밝혔다. 올 시즌 GH에 합류한 정서연은 지난해 서울특별시중구청 소속으로 출전한 '2025년 국가대표 1차 선발대회' 여자부 자유형 76㎏급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2차 선발대회서도 정상에 올라 태극마크를 지켰다. 강한 체력을 보유한 정서연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유연한 경기 운영을 펼치는 선수로 평가된다. 1, 2차 선발대회에서도 완성도 높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국내 최정상급 기량을 뽐냈다. 김진희는 처음으로 국가대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1차 선발대회 50㎏급 결승에서 천미란(삼성생명)에게 패해 2위에 입상한 김진희는 2차 선발대회에서 천미란을 테크니컬 폴로 제압, 설욕에 성공하고 당당히 태극마크를 손에 넣었다. 이로써 GH는 여자 레슬링팀 창단 2년 만에 국가대표 2명을 배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정서연과 김진희는 오는 9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개최되는 '2025 세계시니어선수권대회'에 출전해 메달 사냥에 나선다. 이종선 G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