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서 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하려고 하는데, 쓰러진 환자가 발생했다는 긴급한 구급출동 방송이 울렸다.
재빨리 구급차에 올라 출동중 신고자와 통화를 하니, 보호자가 외출후 집에 들어와보니 환자가 욕실에서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다는 것이었다. 현장에 도착해서 확인해보니 환자는 의식이 없었고 전두부 1cm정도되는 상처에서 피가 흘러나오고 있었다.
병원 응급실로 이송을 하면서 상처드레싱 및 지혈처치를 하고, 혈압 및 기타 생체징후를 확인해보니 다 정상으로 체크되었고 이상한 점을 찾을 수 가 없었다.
그래서 혈당을 체크하니 24mg/dl로 저혈당이 관찰되었고 그제서야 보호자를 통해 고혈압이란 지병말고 당뇨기왕력자로 약을 복용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시 공중보건의에게 유선으로 50%포도당 정맥주사 의료지도를 받아 포도당 30cc 정도를 정맥주입하니 병원 도착할 때 쯤해서 환자 의식이 명료해졌다.
이 출동 후 아쉬운 점은 보호자들이 119신고시 환자의 현재의 상태와 아픈곳 뿐만아니라 가지고 있는 병력에 대해 구급대원에게 빨리 알려주었더라면 더욱 신속한 처치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우선 환자가 발생하면 물론 당황스럽겠지만 최대한 침착하게 환자의 상태 및 과거병력 등을 구급대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그래야 그에 맞는 처치가 환자에게 신속히 제공되어 2차적인 손상이 초래되는것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뇨병은 췌장기능의 장애로부터 오는 내분비계의 질환으로 당대사의 장애로 전신적인 합병증을 유발하는 진행성 질환이다.
당뇨의 합병증으로 생명유지에 중요한 신장이나 심장 등의 질환이 초래되면 마침내는 생명을 잃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당뇨환자들은 자신들이 당뇨환자라는 것을 알게 되면 당뇨를 조절하게 되어 식이요법을 통하여 식사량을 조절하고, 자신들의 인슐린 요구량에 대하여 적절한 식이를 한다.
그러나 환자가 너무 많은 양의 식사를 하거나 인슐린을 적게 투여하면 혈당이 증가될 수 있고, 반대로 투여된 인슐린의 양보다 적은 양의 식사를 하거나 투여된 인슐린의 양이 너무 많으면 혈당이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다.
저혈당은 혈액에 당이 부족한 것으로 비틀거리는 걸음, 감정조절불능이 나타나며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의식상태의 진전이 있고, 삼킬 수 있을 정도로 의식이 있을때 사탕, 과일주스와 같은 당분이 있는 음식을 주어야하며 15분내에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병원으로 가야한다.
고혈당은 저혈당의 반대로 혈액에 당이 너무 많을 때 생기며, 심한 갈증, 잦은소변과 얼굴이 붉어짐을 볼 수 있으며, 숨 쉴 때 과일 냄새가 난다.
환자가 고혈당 인지 저혈당 인지 잘 모를 때에는 당이 들어 있는 음식물을 주어야 하며, 15분내에 좋아지지 않으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한다.
또한 수많은 당뇨환자들이 저혈당에 빠지면 의식 없이 길에서도 쓰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당뇨환자들은 본인이 당뇨가 있다는 사실을 적은 인식표를 만들어서 소지품에 갖고 다니면 비상시나 본인이 의식이 없어졌을 때 그 인식표가 당뇨환자임을 알려주어 그에 맞는 처치가 구급대원이나 의료진으로부터 신속히 이루어져 상태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