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가 시작 되면서 가정과 사회의 무관심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가출이 늘고 있다.
이들 가출청소년들의 방황을 막는 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가출청소년들이 범죄행위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10대 청소년들의 범행을 보면 성인 범죄 이상으로 대범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통계에 따르면 한 해 청소년 범죄 건수는 평균 10만 건 이고, 대다수의 범죄가 가출청소년들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다.
이들 가출 청소년 들은 가출 후 학교에는 가지 않고 길거리를 떠돌면서 시간을 보내거나 PC 방에서 게임과 채팅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가출 후 가지고 있는 돈이 떨어지면 끼니를 때우기 위해서나 유흥비나 생활비 마련을 위해 또래의 가출 청소년끼리 치밀한 계획을 짜고 집단 폭행과 특수절도등 간 큰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최근 청소년 5명 가운데 1명꼴로 가출 경험이 있고, 이들 가운데 40%가 크고 작은 범죄에 연관된 적이 있다는 조사도 나왔다. 가출이 곧 범죄를 낳는다는 얘기다.
이처럼 가출한 10대들이 한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범죄의 늪에 빠지게 되면서 재범 가능성 또한 높아지게 되는데, 경찰 자료에 따르면 지난 93년 20%에 머물던 소년범 재범률은 현재 약30%에 이를 정도이며 일반범죄의 2~3배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가정에서의 단순 갈등으로 집을 나와 가출한 우리 아이들이 거리를 떠돌다보면 범죄 가해자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으므로 우리의 가정과 사회가 청소년들이 가출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따듯한 관심과 사랑을 기울이고, 거리를 떠도는 가출청소년들에게는 안전하게 가정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노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