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경기도의 교육수장을 뽑는 ‘경기도교육감선거’일이다.
지난달 26일 후보자등록을 마친 5인의 후보들이 13일 동안 치열하게 펼친 선거운동도 어제로 끝이 났고 이제 유권자들의 선택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하는 날이다.
각 동별로 첩부된 선전벽보와 5명의 후보자들의 현수막, 각 세대마다 발송된 선거공보와 투표안내문뿐 아니라 거리곳곳에 게시한 홍보현수막, 가로등 현수기와 아파트게시판, 지하철구내, 상가, 건물외벽마다 붙여진 홍보포스터로 인해 교육감선거를 실시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이제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운영위원에 의한 간선제에서 주민직선제로 바뀌고 난 뒤 처음 치르는 경기도교육감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궁극적으로 교육자치를 염두해두고 주민직선제로 법을 개정한 것이지만 이러한 유권자들의 무관심이 법개정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 충남, 전북, 대전시에서 실시한 교육감선거의 투표율이 15%에서 20%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제18대 국회의원선거 당시 전국 투표율(46.1%)에도 크게 미달한 수치이다.
선거가 며칠 안남은 시점에 투표에 반드시 참여하겠다는 유권자가 26%에 불과하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어 이번 경기도교육감선거의 투표율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낮은 투표율로 인해 민주주의의 대표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 결코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의 발전은 제도적인 차원에서 보면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지만 민주시민으로서의 의식이나 자질문제에 대해서는 아쉬운 감을 지울 수가 없다.
민주주의라는 것이 단순히 제도뿐만이 아니라 시민의식, 행태 등의 차원에서도 발현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세 명만 모이면 정치인이 된다고 한다. 그만큼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투표율을 보면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선거보다는 ‘정치인들의 행태’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정치인의 행태에는 많은 관심을 보이지만 그들을 선택하는 선거에는 별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찍을만한 후보가 없다’ ‘투표해봐야 달라질게 없다’ ‘자녀가 없으니 나와는 상관없다’는 생각으로 선택권을 포기한 사람이 선택받은 사람의 정책을 ‘비판할 권리’가 있겠는가?
선거는 민주사회의 대표자를 뽑는 가장 중요한 제도인데 책임과 의무를 다하지 못한 사람이 민주시민의 권리를 주장해서는 안 될 것이다.
투표에 단순히 참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민주시민은 책임있게 참여해야 한다. 우리아이들의 교육을 책임지겠다는 후보자들의 정책을 신중하게 따져보고 투표하여야 의미있는 참여가 될 것이다.
어느덧 한해 농사를 시작하는 봄이 성큼 다가왔다.
흔히 자녀를 키움에 있어 ‘농사’에 비유하곤 하는데 하물며 경기도교육의 미래와 자녀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을 뽑는 선거가 농사와 다르겠는가?
좋은 씨를 골라 심으면 좋은 열매가 맺고 나쁜 씨를 심으면 나쁜 열매가 맺는다.
아예 기권하는 것은 제철에 씨앗을 안 뿌리는 것이니 가을에 거둘 것이 없겠다.
이는 농사를 포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누가 좋은 재목인지 모르겠다고 푸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비슷비슷한 것 같지만 관심을 가지고 가만히 비교해보면 좋은 재목이 보인다.
유권자들은 각 가정으로 발송되는 선거공보와 후보자들이 작성한 선거공약서의 공약과 정책을 꼼꼼히 비교해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당이 후보자를 추천할 수 없도록 한 선거인만큼 기존의 공직선거와는 다르게 후보자의 기호가 정당과는 무관하므로 후보자를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백년대계를 위해 쓸 일꾼인데 농사품종보다 더 정성스럽게 골라야 할 것이 아닌가?
이제 경기도교육감선거일인 오늘, 남은 몫은 유권자의 선택뿐이다.
가족과 함께 우리자녀와 경기도교육의 미래를 책임질 좋은 일꾼을 골라 꼭 투표소로 가자.
그리고나서 내가 고른 일꾼이 일을 잘하는지, 공약이행을 잘하고 있는지 냉정하게 지켜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민주시민이 되는 첫걸음이 아닐까?
송수한 (안양 동안구 선거관리위원회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