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가 시행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서로의 경쟁력을 키우고 시민의 복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서로의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다툼을 벌이는 것을 많이 보게 된다. 진정한 지방자치가 되려면 시정을 이끌어 나가는 집행부와 이를 견제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의회가 행정의 균형을 잡아가며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것이다.
시민의 복리를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윗선의 눈치를 보며 자신의 일신만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 진정 시민을 대표하는 바람직한 자세인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
우리시에서는 MB정권의 공무원 구조조정 등 새로운 행정변화에 맞추어 공공서비스의 효율적 공급과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하여 지방재정의 건전성 도모를 위하여 시설관리공단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시의회에 공단설립 조례안을 상정하였으나 2007년 7월 1차 상정 이후 현재까지 1년 10개월 동안 3회의 부결과 2회가 보류되며 통과되지 못했다.
2008년 1월 해당상임위에서는 시장인 본인이 직접 필요성을 설명하였고 그 당시 반대하는 의원에 대하여 한 가지라도 합당한 반대의견을 내달라고 하였고, 합당한 사유를 들어 반대를 하면 시설관리공단을 하지 않겠다고 하였으나 반대 의견이 없었다.
지방공기업법 개정에 따라 경기도와 협의절차도 거쳤으며 도 협의에서도 아무런 문제점이 없으므로 공단설립을 추진하도록 협의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의회에서는 대안 제시도 없이 처리를 미루고 있어 안타깝게 생각한다
진정으로 무엇이 시민을 위한 것인지를 먼저 생각하고 올바른 길이라면 소신을 갖고 처리해야 합당한 것이라 생각한다. 비록 자신에게 정치적으로 손해가 가더라도 올바른 행정을 수행하는 집행부를 위해 박수를 쳐주고 격려를 해 주는 것이 올바른 길이 아닌가?
또한 요즘 대형마트와 관련해서 설왕설래(說往說來)가 이어지고 있다.
지금의 시대는 유통환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재래시장이 국내 유통시장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지만 1993년 신세계 계열의 E-마트가 서울 창동에 개점하면서부터 우리나라 유통시장에 대형할인점이라는 새로운 업태가 등장하였고 신세계 백화점의 할인점 사업이 성공적인 출발을 보이자 이에 자극받은 롯데, 삼성 등과 같은 대기업들이 앞 다투어 할인점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구매성향도 자동차를 이용한 구매습관으로 변화하면서 쇼핑장소를 선택하는 기준이 바뀌었고, 주차장시설이 갖추어지고 상품이 차별화된 대형 할인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리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시에는 재래시장인 광명시장과 새마을시장이 위치하고 있어 영세상인의 이익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대형마트와 재래시장이 상생하는 길을 찾아야지 무조건적인 대형마트 유치반대는 옳지 않다고 본다 .
대형마트 유치와 관련해서 여론조사기관의 리서치에서도 과반수가 넘는 시민이 대형마트 유치를 찬성하고 있다. 우리시는 백화점도 없고 대형마트다운 대형마트도 없기 때문에 구로, 금천구 등에 있는 E-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 할인점을 광명시민이 이용하는 현실을 간과(看過)해서는 안 된다.
시에서도 재래시장의 어려운 여건을 개선하고자 시설환경개선과 함께 상인들로 하여금 소비자 취향에 맞춘 판매 전략으로 대형마트와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28개 아파트단지 내 알뜰시장을 2008년 1월 완전 폐쇄하였고 274개에 달하던 노점상을 107개로 합의 정비함으로써 기존 소상인 보호에도 노력하고 있다.
시민이 원하는 것을 이해타산에 얽매여 외면한다면 시민들은 이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제는 서로의 중지를 모아 재래시장과 대형마트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노력해야 하며, 서로의 이해타산을 떠나 시민을 위한 행정, 시민이 공감하는 행정을 펴는데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