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창룡문] 아열대 기후

안병현 논설실장

온대기후의 특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가 아열대 기후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다 지구 온난화 탓이다. 아열대 기후의 특성은 여름철 강우량이 크게 늘어나는 반면 겨울 폭설은 줄고 태풍의 위력이 강해진다. 국립기상연구소는 지난 3월 ‘한반도 기후변화 현재와 미래’라는 보고서에서 2100년이 되면 연평균 기온이 4도나 올라 남한 지역 대부분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렇게 되면 산지를 제외한 남한 지역 대부분이 아열대 기후구로 바뀐다.

전라도는 물론 강원도 산간 지방 곳곳에 있는 스키장이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 한반도의 온난화 속도는 세계 평균의 두 배를 넘는다. 국립기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1912~2008년) 세계 연평균 기온이 0.74도 오르는 동안 한반도는 1.7도나 올랐다. 해가 갈수록 여름철 집중호우가 심해지고, 열대야를 기록하는 날도 많아진다. 2100년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₂) 농도가 두 배쯤 되는 시점이다. 유엔의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은 당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지 않고 더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21세기 지구 온난화는 지난 세기에 일어난 것보다 더 빠르게 진행될 수도 있다. 기후가 바뀌면 당연 그 속에서 자라는 식물도 바뀐다. 제주도 온난화 대응 농업연구센터에서 실험재배하고 있는 30여 종의 열대·아열대작물 대부분이 22세기에는 우리나라 곳곳 노지에서 자연스럽게 자라게 된다는 얘기다. 이때가 되면 제주도에서만 재배되는 귤은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과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처음으로 벼 2기작 실험에 착수했다. 기온이 많이 올라 갔기 때문에 동남아 국가처럼 한해에도 여러 번 벼를 수확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4계절의 구분이 뚜렷해 세계의 부러움을 샀던 우리나라 국민들이 푹푹 찌는 계절에 시름하게 생겼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 없이는 계절의 변화를 늦출 수가 없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