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정치권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여야 공천에 반발한 인사들을 주축으로 탈당, 창당, 무소속으로 이어지면서 선거판세를 가늠하지 못할 정도의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중요한 것은 유권자들이 각 정당의 공천인사들을 중심으로 정치적 능력, 도덕적 기준 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여야의 공천 흐름을 평가하면서도 귀중한 한표를 어떻게 행사할 것인가에 대한 표심의 향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여야의 공천 작업이 막바지로 접어들었지만 판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쉽지 않다. 이번 총선은 12월 대선의 전초전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 크다. 공천이 시작되기 전만 해도 이명박 정부의 실정과 측근비리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야권의 과반수 의석 확보가 무난한듯 싶었다. 그러나 공천 과정에서 민주통합당의 잇따른 실수가 더 두드러지면서 새누리당이 초반 열세를 만회한 듯했다. 그러더니 지난 주말 야권연대 성사로 야권이 다시 반전을 꾀하게 됐다.
야권 연대가 이번처럼 전국적으로 이뤄진 것은 총선 사상 처음이라고 한다. 야권은 이번 연대로 일단 새누리당보다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는 평가가 많다. 야권은 단일대오를 짰지만 여권은 새누리당, 자유선진당, 박세일 씨의 국민생각 등으로 쪼개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는 수도권 경합지역에서 야권 연대가 위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야권 연대가 장밋빛 일색인 것만은 아닐 것이다.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야권연대로 공천을 받지 못한 후보들의 무소속 출마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또 성향이 다른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이 정책에서 어떻게 연대하느냐도 지켜볼 문제다. 노무현 정부 때 작품인 한미 FTA와 제주 해군기지 등 민감한 외교 안보 분야에서 민주당이 벌써부터 진보당의 눈치를 보며 끌려 다닌다는 얘기가 나온다. 자칫 진보 표를 얻으려다 중도 표를 잃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은 정책면에서 어디까지 연대할 것인지 분명한 입장을 밝힌 후 유권자의 판단을 기다려야 할 것이다.
이번 선거는 지난 재·보궐 선거에서 이미 의제로 떠오른 복지 논쟁을 확대하는 동시에 집권 세력의 실정을 검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정책선거로 흘러가야 한다. 하지만 아직 정책선거의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제 공천도 끝나가는 만큼 여야가 민생을 살리기 위한 정책 선거로 방향을 바꾸어 나가길 기대한다. 각 정당의 정책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