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재테크칼럼]이기심이 나를 죽일 수 있다

부동산 사기 속출… 불신풍조 확산 분양시장 악영향
잠재 투자 고객층 없애는 꼴…기본·원칙에 충실해야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돈에 대한 욕심과 쉽게 나 혼자만 돈 벌면 된다는 식의 이기심이 있는 한 항상 사기는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예전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런데 다만 조금 상황이 달라졌다면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더 조직화되고 전문화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이 단순 한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문제이다.

예전에는 곗돈을 떼먹고 도망가서 피해자들이 많이 생겼고, 사업하다가 사기 당하고 빚 보증 잘못해서 재산 날리고 통장 잘못 빌려줘서 사기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피해사례는 모두 한 개인의 피해로 끝났지, 사회 전체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기획부동산이 등장하고 상품가치가 낮은 물건을 적정가치 이상으로 팔면서 그에 따른 피해가 늘어나면서 부동산투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커졌고 정말 좋은 물건의 투자권유도 모두 사기인 것처럼 오해를 받으면서 부동산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지고 결국 부동산 종사자 모두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일부 전문가들이 자신의 유명세를 이용해 분양이나 미분양 물건의 가치를 부풀려 무작위로 홍보하면서 계약금 10%만 내면 된다는 유명한 전문가 말만 믿고 여러 채를 계약했다가 입주시점에 감당이 안 돼 큰 피해를 보는 사례가 최근 몇 년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분양 미분양 피해는 단순 계약자들의 피해를 넘어 전체 분양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피해 본 이들 모두 잠재적인 미래의 투자고객이고 자신의 계획에 맞춰 움직여야 하는데, 일부 전문가 때문에 지금 투자하지 말아야 할 사람들도 무리한 투자를 하게 되고 결국 투자실패로 이어지면서 미래의 잠재적인 고객층까지 없애버리는 결과가 초래된다. 또 점점 분양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분양물건 자체를 믿지 못하는 부작용까지 생기면서 전체 분양시장을 더 어렵고 하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요즘은 분양권 전매까지 검은 손을 뻗치고 있다. 쉽게 분양계약을 했다가 입주시점이 다가오면서 감당이 안 돼 마이너스 현금을 더 주면서 팔아야 하는 경우가 생겼고 이런 마이너스 현금을 노리고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을 내세워 분양권 전매를 받고 현금만 챙겨먹는 피해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마이너스 현금 피해사례가 발생하는 일부 지역의 은행에서는 중도금대출 승계심사를 굉장히 까다롭게 하기 시작했고 부득이 신용등급이 좋지 않거나 소득증빙이 어려운 실수요자들의 계약까지 막아버리는 부작용이 생기고 있다.

최근에는 전세자금대출까지 이용하려는 움직임까지 나오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이 집주인한테 직접적인 책임이 없고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점을 악용해 주택이 있고 다른 문제 없는 이들한테 현금 1~2천만원 줄 테니 허위 전세계약을 맺고 전세자금 대출을 받고 문제를 일으키려는 것인데 절대 이런 말도 안 되는 사기에 협조를 해주면 안될 것이다.

왜냐면 전세자금대출까지 문제를 일으키면 은행이야 당연히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전세자금 대출의 심사를 까다롭게 할 것이고 또 다른 안전장치를 마련할 것이기 때문에 자칫 실수요자들이 그에 따른 선의의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일들이 반복될 수록 점점 그 피해는 확산되고 불신은 깊어지면서 결국 그 피해는 한 사람의 문제를 넘어 나의 가족, 친척, 친구, 심지어 자식들까지 미친다. 나 스스로부터 잘못된 방법으로 쉽게 돈 버는 것은 멀리하고 항상 기본과 원칙에 맞는 투자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자료제공=모네타(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모네타 → 재테크칼럼>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