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경기관광공사 100억 손실 원인 분석부터

경기관광공사가 지난 10년간 100억원에 이르는 누적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의회 권용진 의원이 지난 8일 밝힌 바에 따르면 경기관광공사는 경기도로부터 해마다 수십억원의 지원을 받고, 200억원대 위·수탁사업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손실이 계속 불어나고 있다고 한다. 권 의원은 특히 경기관광공사가 누적 손실을 털기 위해 2009년 경기도로부터 현물출자 받은 안산 선감도 도유지 31만㎡를 매각하려는 데 대해 ‘꼼수’라며 강하게 질책하고 나섰다. 바다레저타운을 조성해 관광을 활성화한다는 명분으로 넘겨받은 땅을 임의로 팔아 빚이나 갚는 것은 얄팍한 편법이라는 것이다.

권 의원이 제기한 편법 매각 여부는 앞으로 철저히 따져보아야 한다. 도유지가 산하 공기업의 부채나 해결하자고 이처럼 멋대로 팔려나가는 일을 묵과할 수 없는 노릇이다. 행정의 하자가 발견되는 즉시 매각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도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설령 이 땅을 팔아 100억원 누적 손실을 청산한다 해도 문제가 남는다. 적자 누적의 원인을 제대로 밝혀내 바로잡지 않는 한 이런 방식은 미봉책에 불과하다. 어느 정도 지나면 또 다른 자산을 매각해 구멍을 메우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금 시급한 일은 매각이 아니라 적자 요인을 분석하는 일이다.

경기관광공사의 손실이 방만한 경영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구조적 요인이 있는지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주목되는 대목이 있다. 100억 누적 손실의 주요 결손사유가 한류월드 26억7천만원, 왕과 나 테마파크 7억8천만원, 경기도스포츠레저타운 6억3천만원 등이라는 점이다. 이들 사업으로 인한 손실만 전체 누적액의 40%를 상회한다. 이들 사업은 경기관광공사 자체의 아이디어로 추진한 사업이 아니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물론 경영의 실패로 인해 적자가 커진 부분도 있겠으나, 도의 사업을 대행하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적자를 떠안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닌지 가려낼 필요가 있다. 만약 도의 밀어내기식 사업을 하느라 적자가 쌓이는 구조라면 이 구조부터 뜯어고쳐야 마땅하다.

경기관광공사가 100억원 손실을 기록할 때까지 제대로 된 경영 분석, 구조 분석이 한번도 공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이번 기회에 철저히 진단을 하기 바란다. 그 결과에 따라 경기관광공사의 구조와 조직을 경기도 관광 진흥이라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수술해야 할 것이다. 사업체계도 근본적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뼈를 깎는 환골탈태가 불가능하다면 도의 재산을 팔아 넣으면서 그런 공사를 더 존속시켜야 할 이유가 없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