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소방서는 화재발생 시 신속한 출동과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재래시장 등 소방차 진입 곤란 지역에서 소방차량 출동로 확보를 위한 시민 협조 홍보, 소방관 각 개인의 화재진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방전술훈련을 매일 실시하며 현장 대응태세를 강화하는 등 다양한 소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관서의 노력만으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을 쉽지가 않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라는 속담이 있다. 각종 재난발생 시 인명과 재산피해를 사전에 없애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관심과 실천이 중요하다.
화가 난 불은 생명과 재산을 빼앗는 등 무섭게 느껴지지만 잘 다루고 예방한다면 더 없이 편리한 것이다. 불을 잘 다루기 위한 첫째로는 1가정 1소화기 갖기 운동이다. 화재발생 시 최초 5분 이내 대처방식에 따라 소형화재로 진압되거나 대형화재로 변해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게 되는 등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화재 초기 시 1대의 소화기가 100대의 소방차보다 낫다는 것은 실증된바 있고 전혀 빈말이 아니다. 소방관서에서는 소화기 사용에 친근감을 가지도록 각종 행사 및 교육 시 시민들에게 소화기 사용법을 교육하고 있다. 하지만 각 가정에 소화기가 비치돼 있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부터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집들이 할때 소화기를 선물하는 것도 하나의 실천방법이다.
둘째는 내 가정과 내 직장의 안전은 내가 지키는 자율적인 안전의식의 고찰이다. 가정에서는 물론, 직장에서도 화재예방 및 대피계획을 수립하고 상호 이야기 해보는 것이다. 즉, 화재예방요령 등을 비치해 가족 및 직원들 모두가 숙지하고 안전을 확인하는 습관이 생활화가 필요하다.
두 가지 사항만 일상생활에서 관심을 가지고 실천을 해도 그 파급효과는 상상도 못할 것이다. 화재와 대형사고가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항상 주변을 살피고 모두가 안전을 생활화하고 능동적인 자세로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해 철저히 대비할 때 대형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도 줄어들 것이다. 내 재산의 안전은 내 가정의 행복이며 모두가 웃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