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누리과정 등을 활용해 유아교육을 강화하고 있지만 정작 공립유치원 대다수가 원감없이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나 교육환경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3학급 이상의 병설 및 단설 등 공립유치원 272개원 가운데 학교 교감직에 해당하는 원감이 없는 곳은 전체의 78%인 211개원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뿐만 아니라 전국 현황 역시 공립유치원 927개원 가운데 원감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413명만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설상가상으로 원감의 전국 정원은 전년대비 2010년에 17명, 2011년에 25명으로 비교적 꾸준히 늘어왔지만 지난해에는 단 한 명도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의 경우 교감이 겸직할 수 있지만 전공자가 아니다 보니 교육의 질 하락과 실질적인 원감 역할을 떠안은 담임(부장)교사의 업무 과중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수원의 한 병설유치원 관계자는 “초등학교 교감은 유아교육 전공자가 아니므로 기본계획 수립 등 원감의 역할을 교사에게 암묵적으로 일임한다”며 “누리과정 확대로 유아교육이 강조된 만큼 정식 원감의 배치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와 도교육청 등도 원감 정원 부족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모든 공립유치원에 원감을 배치하는게 바람직하지만 정원이 부족해 여의치 않다”고 말했고, 교육부 관계자는 “누리과정의 질을 관리하고 컨설팅하는 유아교육 전공자인 원감의 필요성을 매번 안전행정부에 강조하고 내년도 정원의 증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행부 관계자는 “교원정원 중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1순위로 고려됐다”며 “누리과정 도입으로 유치원 현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지만 원감 정원 문제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