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문화정책을 ‘문화공공성의 구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고, 문예회관의 운영목표를 ‘문화공공성의 구현’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인천발전연구원 김창수 연구위원은 2013년 기본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문예회관의 문화공공성 제고방안 연구발표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인발연은 최근 문화정책 논의에서 주목받고 있는 ‘문화공공성’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문예회관을 경영실적이 아닌 ‘문화공공성의 구현’이라는 차원에서 점검했다.
문화공공성을 실현한다는 것은 ‘모든 시민들이 누구나 편리하고 자유롭게 문화자원과 시설에 접근해 문화향유의 권리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문예회관의 문화공공성 실현정도를 확인키 위해 ‘문예회관문화공공성지표’를 개발, 인천의 대표적 문예회관 2개소를 각각 평가했다.
조사결과 인천 문예회관의 문화공공성 구현 수준은 미흡한 편이며, 특히 ‘평등성’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천시민들은 나이, 성별, 거주지, 소득 등에 따라 문예회관 이용기회나 문화향유의 기회가 제한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김창수 연구위원은 “상당수의 문예회관이 ‘효율성’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효과성’ 중심으로 운영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인천시의 문화정책을 ‘문화공공성의 구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고, 문예회관의 운영목표를 ‘문화공공성의 구현’으로 설정해야 한다”면서 “문화평등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계수의 개발, 문화공공성지표조사의 주기적 실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인천 문예회관의 문화공공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내체계와 편의시설 확보, 시설운영에 시민들의 참여기회 확대를 제시했다.
또 소득수준이나 거주지와 상관없이 문예회관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 새롭고 도전적인 형식과 내용의 실험예술 시도를 제안했다. 이와 함께 지역의 전문인력 확충, 안정적 운영예산의 확보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