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자체 개발한 소통지표를 활용해 소통마인드, 소통기반, 소통노력, 소통성과의 4가지 분야에 대해 소통수준을 진단했다.
25일 시에 따르면 이번 소통수준 진단결과 현재 소통수준은 100점을 기준으로 72.5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적 취약한 소통기반에서도 직원 스스로가 소통의 의지를 가지고 소통행정에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정도의 수준이다.
분야별 진단결과 소통행정의 의지를 확인키위한 소통마인드 분야에서는 소통행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의지를 갖추고 있다. 상대방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공감하기 보다는 공무원의 입장에서 상대방을 설득하려는 성향이 좀 더 강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소통행정을 위한 부서내 환경조성과 소통인프라 구축 정도를 확인하는 소통기반은 부서원간 업무정보 및 자료공유 활동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업무 이외의 직원간 소통 및 시민과의 직접소통을 위한 소통공간은 매우 부족했다. 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모바일 행정 환경 구축에는 비교적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원활한 소통행정 실현을 위한 소통노력 분야는 전 부서가 시정홍보활동을 매우 활발히 수행하고 시민의견을 수렴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무관련 정보공개 및 시민과의 직접 소통활동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민 모니터 및 전문가 활용 등의 민관 협업 활동은 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통의 성과 및 피드백 과정을 확인하는 소통성과 분야는 부서 소관업무 분야에 대해 소기의 소통행정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 결과에 대한 피드백 과정과 갈등예방 및 해결에 있어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 관계자는 “전체 대상인원 중 64%의 직원이 참여하는 등 비교적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나 자가진단의 특성상 한계가 분명히 있다”면서 “수치 자체보다는 전반적인 강점과 약점을 확인해 개선방안을 강구하는데 의미를 둘 필요가 있고, 이러한 과정 자체가 시민과 좀 더 소통을 잘 하려는 인천시 의지의 표현이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소통수준 자가진단 결과 취약분야에 대한 개선과제로 조직내 소통공간 확충, 모바일 행정환경구축, 적극적인 정보공개 및 공유 등을 꼽았다. 또 민관 협업 활성화, 조직 활성화를 위한 비공식 교류 확대, 소통 성과에 대한 피드백 강화 등 6가지 과제를 선정했다.
이번 나타난 소통수준 자가진단 결과를 e-북으로 제작해 홈페이지에 공개한 후 시민의견을 수렴하고 시민과 전문가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그 개선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