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민 운임지원사업비 예산증가로 인한 인천시 재정부담 해소를 위해서는 현행 연안해운 운임체계의 변경 및 산정기준의 명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인천발전연구원(원장 이갑영) 김운수 연구위원은 2013년도 기본과제로 수행한 ‘도서민 및 인천시민 여객운임지원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안여객운송은 육지와 섬을 잇는 유일한 이동수단의 기능에 추가로 레저와 관광수요를 창출하는 문화수단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서지역의 관광산업과 경제활동을 위한 필수적인 운송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운임수준이 내륙운송에 비해 1.9~11.2배 높은 실정이다.
각 수송수단의 평균 단위운임은 101.0원으로 연안여객선은 356.4원에 비해 평균 28.3%로 70%의 인하가 가능하다.
특히 연안운송의 평균운임 356.4원과 비교해도 인천∼덕적항로가 475원, 인천∼백령항로 292.5원 등 타 수송수단 평균에 비해 최소 2.3배~최대 4.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인천시 도서민 운임지원사업비는 해마다 사업예산 증가로 인해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저렴한 교통수단이용권을 보장키 위한 운임지원 확대 또는 대중교통 요금제 도입과 현행 연안해운 운임체계의 변경 및 산정기준의 명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만약 대중교통요금제가 된다면 도서민에 대한 혜택 일부를 일반국민과 공유할 수 있는 추가 증액요금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