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열린광장]범죄·사고 일어날 수 없게 환경부터 바뀌어야

 

얼마 전에 경기도에서는 경기경찰청과 함께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활성화포럼’을 개최했다.

포럼 개최 목적은 주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생활하기 위한 CPTED의 개념과 필요성을 공감하기 위해서다.

CPTED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으로 범죄피해를 당할 수 있는 잠재적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범죄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의 설계를 통해 범죄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킴으로써 심리적 안전감을 증진하는 범죄예방 기법이다.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에 대해 우리 주변에서는 ‘안전’의 문제는 자신의 일이 아닌 경찰과 정부의 일로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경찰의 독자적인 범죄예방 활동만으로는 현대사회의 급진적이고 다양한 변화를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범죄예방에 대한 경찰순찰(巡察) 활동에 대해 순(巡)은 잘 하지만, 찰(察)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지역주민들의 지적이 많다.

순찰활동을 하다보면 주민들로부터 ‘밤에 혼자 다니기가 무섭다’, ‘골목길이 어둡다’, ‘우리 아파트에 도둑이 많다’, ‘이곳에는 교통사고가 많이 난다’, ‘우리 동네 공원에는 불량청소년들이 많이 모인다’는 등의 말을 자주 듣게 된다.

지역사회의 삶의 질 향상과 주민이 안전하게 생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범죄인의 접근을 차단하고 범죄기회를 감소시켜야 한다.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찾아 이를 개선시켜야 한다.

2010년 3월에 아시아 최초로 ‘한국셉테드(CPTED)학회’를 창립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경찰청에서도 CPTED전문가 양성과정을 개설해 경찰관을 대상으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범국민적인 관심과 더불어 CPTED전문가 양성과정을 확대 실시하고, CPTED 조례의 제정 등 법과 제도의 정비가 시급히 추진되어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