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담배 가격 인상에 따른 금연 효과를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소매점의 담배 판매량은 별로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뱃 값 인상에 따른 금연 효과는 기대만큼 크지 않고 세금과 유통업계 이익만 늘었다는 분석이다.
21일 A편의점 업체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19일까지 담배 판매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5% 줄었다.
하지만 월별 판매량 감소율(작년동월대비)은 ▲ 1월 -33% ▲ 2월 -22.4% ▲ 3월 -14.9% ▲ 4월(1∼19일) -12.2% 등으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B편의점 업체 상황도 비슷하다.
1월 1일부터 이달 19일까지 약 110일간 담배 판매량은 지난해 동기대비 25.3% 감소했다.
그러나 ▲ 1월 -36.6% ▲ 2월 -26.4% ▲ 3월 -19.3% ▲ 4월(1~19일) -16.4%로 시간이 갈수록 감소율이 낮아지고 있다.
이처럼 실제 담배 수요 위축 정도가 심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담뱃값이 한꺼번에 80%(2천500원→4천원)나 뛰었기 때문에 편의점의 담배 판매액은 오히려 작년보다 늘었다.
B편의점 업체의 담배 판매액은 올해 들어 19일까지 39.3%나 증가했다.
판매금액이 40% 가까이 많다는 것은 결국 담뱃값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금·기금(약 85%)과 유통이익(약 9%), 제조이익(약 5%)이 함께 불었다는 뜻이다.
아울러 외국 담배업체들의 ‘저가 담배’ 마케팅에 밀려 연초 편의점 담배시장에서 50% 밑으로 떨어졌던 KT&G의 점유율도 최근 과반을 회복하는 분위기다.
편의점 업체에 따르면 이달 들어 19일까지 담배 브랜드별 점유율(금액 기준)은 ▲ KT&G 50.7% ▲ PMI(필립모리스) 25.9% ▲ BAT(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14.8% ▲ JTI(재팬 토바코 인터내셔날) 8.5%로 집계됐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