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연수구와 남동구가 송도국제도시 소유권을 놓고 볼썽 사나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최근 개항한 인천신항(송도10공구)과 오는 9월 매립이 끝나는 송도11-1공구의 관할권을 차지하기 위함이다. 두 자치단체 간의 이같은 분쟁은 대기업과 각종 대형 시설이 다수 들어오게 되는 경제자유구역을 자신의 행정구역에 포함하면 수 백억원대 세수 확보가 가능하고, ‘국제도시’로서의 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 연수구는 송도 1∼9공구의 관할권 싸움에서 이긴 바 있어 이번에도 관할권을 연수구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남동구는 분쟁 대상인 송도10공구 인천신항과 11공구는 남동구 주민이 갯벌을 터전 삼아 어업에 종사했던 지역으로서 지리적으로도 남동구와 인접했다며 관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싸움은 연수구와 남동구뿐이 아니다. 평택항 당진항 해상경계를 둘러싼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분쟁에서부터 새만금 매립지를 놓고 군산시와 김제시가 벌이는 싸움이 그것이다. 최근 경기도내에서만 광역 장사시설 건립을 둘러싼 수원시와 화성시를 포함한 6개 시 간의 갈등, 하이닉스 반도체 증설문제와 군부대 이전 문제를 둘러싼 중앙정부와 이천시의 갈등 등이 주요 현안으로 대두됐었다. 남경필 지사가 나서 해당 시군과 갈등조정위원회를 열고 타협점 찾기에 나서 일부는 해결의 실타래를 풀었다.
송도국제신도시 문제는 연수구와 남동구가 첨예하게 대립하자 행정자치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나섰다. 최근 송도국제도시에서 실무조정회의를 열어 양측 의견을 듣고 매립지 현장을 방문했지만 어떻게 결론이 날지는 두고볼 일이다. 2020년까지 개발이 완료되면 거대한 송도국제도시로 다시 태어나기에 양 지자체가 사활을 건 싸움을 벌이는 것은 당연할지 모른다. 송도 10공구 인천신항은 신항대로 주소가 하루속히 확정되지 않으면 토지등재가 지연돼 사업에 차질도 예상된다.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인천시도 남의 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중앙정부나 법원의 판단에만 맡긴다는 것도 그렇다. 맏형으로서 정치적인 수완을 발휘하고, 종합과 조정의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자체 간 갈등 문제는 지방자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런 현상이기는 하다. 민선 자치시대에 나타나는 폐해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방치되거나 지속되면 지역 분열과 행정낭비 등 비능률을 초래하기에 하루속히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그것이 주민 간 갈등으로 비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