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고려대 연구팀이 입원환자의 입원비와 간병비를 조사했다. 그 결과 1인당 평균 입원비는 231만원인데 비해 간병비용은 275만원이나 들었다. 열흘 미만의 단기 입원의 경우 간병비가 조사보다 실제로는 2~3배가 되기도 한다.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환자의 보호자들인 가족들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지거나 사회생활에 제한을 받기도 한다. 그래서 간병에 대한 공적 부담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지난 7월 시작된 포괄간호서비스다. 건강보험공단에서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해 건강보험 적용을 결정했다. 이는 간병인이나 가족이 병실에 거주하지 않고 가족도 병실에 없기 때문에 보호자 없는 병원이라고도 불린다. 간병비도 하루 1만원 이하로 확 줄었다. 병동 내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가족을 대신하여 간병까지 책임을 지는 것이어서 보호자들로서는 환영할 일이다. 국회도 지난해 12월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통과시켜 포괄간호서비스 제공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병지원인력이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입원서비스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규정,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이를 제공토록 한 것이다. 물론 건강보험도 적용받게 돼 비용이 사설간병에 비해 훨씬 저렴하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도 많다. 환자가족의 간병부담을 해소하고 입원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획기적인 일이지만 2018년 전국 병원의 의무화를 놓고 인력수급이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른다. 병원에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인력 확충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병원들이 이 서비스를 시작하려 해도 기존 간호사들은 신청이 불가하다. 새로 뽑아야 하지만 간호사 인력의 수급이 만만치 않다. 중소형 병원들의 고충은 대형병원보다 시정이 더 심각할 수밖에 없다.
오는 2018년까지 이 서비스는 전국 병원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 1만명 이상의 간호사가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병원들 입장에서도 현재 간호 인력의 두 배 이상을 늘려야 한다. 향후 적정 수가인상 보장 등에 대한 보완책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그런데도 간호인력의 신규 수급 상황 등에 대한 신빙성 있는 자료가 부족해 혼란마저 예상된다. 이 서비스가 성공하려면 간호사 수급이 관건이다. 당장 연구해야 할 과제다. 이와함께 국가와 지자체 등 공공기관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대국민 홍보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