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은 영유아기에만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심지어 의료인조차도 성인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예방접종에 대한 기본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에 일반인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사항들에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Q : 여러 가지 백신을 같은 날 접종해도 되는지.
A: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백신은 동시접종을 하더라고 예방효과가 감소하거나 이상반응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같은 날 여러 가지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는 것은 가능하다. 단, 만약 동시접종을 하지 못해서 서로 다른 날짜에 접종해야 하는 경우, 생백신과 불활화 백신, 불활화 백신과 불활화 백신 사이에는 접종 간격의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생백신과 생백신 사이에는 4주 이상의 간격이 필요하다.
Q : 열이 나면 백신 접종은 왜 안되는지.
A: 백신을 접종할 수 없는 특정한 체온은 없으며, 급성질환을 앓는 중에 백신을 접종한다고 백신의 효과가 저하된다거나 이상반응이 증가한다는 증거는 없다. 하지만 백신 접종 후에 발열과 같은 이상반응이 발생하는 경우 중등도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처치에 혼선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발열을 동반하거나 중증도 이상의 급성 질환이 있는 사람은 질환이 호전될 때까지 백신 접종을 미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Q : 임신부나 수유부도 예방접종이 가능한지.
A : 임신부에게 생백신은 금기이며 불활화 백신은 필요에 따라 접종할 수 있다. 임신부는 인플루엔자에 걸릴 경우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다. 따라서 불활화 백신 중에서도 인플루엔자 백신은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 임신 계획인 있거나 임신 중인 여성은 모두 접종받아야 한다.
Q :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백신 접종을 해도 되는지.
A : 경구용 장티푸스 백신은 설폰아마이드 또는 다른 종류의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에게 투여하면 안되고, 항생제 투여 종료 후 최소 24시간이 경과한 뒤에 투여해야 한다. 그러나 이외 대부분의 백신은 항생제를 투여받더라도 면역반응에 영향이 없다. 다만 중등도 또는 중증의 급성 질환이 있는 경우 질병 상태가 호전될 때까지 백신 접종을 유보해야 한다.
Q : 백신 접종을 받는 분께 설명해야 할 일반적인 주의사항에는 무엇이 있는지.
A : 백신 접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매우 드물게 발생하더라도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 후에는 적어도 20~30분 정도 의료기관에 머물다가 귀가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비교적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국소 부위 이상반응(통증, 발적, 가려움 등)과 전신 이상반응(발열, 두통, 근육통 등)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을 설명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이상반응때문에 백신 접종 당일은 목욕이나 과격한 운동, 음주와 같이 무리한 행동은 하지 않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