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열린광장]속도를 줄이면 사람이 보입니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OECD 평균의 2배 수준(OECD 5.6명, 우리나라 9.1명)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승차 중 사망자는 평균에 근접(OECD 2.0명, 우리나라 2.4명)하지만 보행 중 사망자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OECD 1.1명, 우리나라 3.5명)이다.

그렇다면 보행 중 사망자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안전속도 ‘5030’ 정책이다. 도심부 제한속도는 50㎞/h, 생활도로는 30㎞/h로 제한하여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낮추는 것이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 따르면 제한속도를 50㎞/h로 낮추면 사망자가 44.6% 감소한다고 하고, 60㎞/h로 주행 시에는 보행자 사고 10명 중 9명이 사망하는 반면, 30㎞로 통행 시에는 보행자 사고 10명 중 1명만이 사망한다고 한다.

덴마크에서는 제한속도를 60㎞/h에서 50㎞/h로 낮추자 사망사고가 24% 감소했다고 하며, 스페인의 경우 도심의 통행제한속도는 50㎞/h로, 보행자가 많거나 좁은 도로는 20㎞/h 이하로 지정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연구와 사례에서 제한속도를 낮추면 보행자 사고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입증하고 있으나, 사람들은 도심부에서 제한속도를 낮추면 길이 더 막힐 것이라고 우려한다. 짧은 간격으로 설치된 신호등과 횡단보도 그리고 자동차 통행량 때문에 제한속도만큼 달리기가 어려운데 속도 하향화는 도심부 내 교통 체증을 부추길 것이라는 걱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통 체증보다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로움을 먼저 떠올려 주길 바란다.

본인이 조금 더 여유 있게 운전하는 것이 한 사람의 생명이라도 구할 수 있다면, 그것이 나의 사랑하는 가족이라고 생각해 본다면 ‘안전속도 5030 정책’에 반대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모든 국민이 ‘안전속도 5030 정책’에 적극 동참해 교통문화 선진국 반열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길 기대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