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새 원내사령탑에 영남권 중진 4선 김기현 의원이 선출됨에 따라 향후 대여 투쟁 전략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원내대표가 당선되자마자 법사위원장 재협상 카드를 꺼내 들면서 충돌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새 원내사령탑에 오른 김기현 원내대표와 카운터파트너인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는 원구성 재협상 문제를 놓고 충돌하고 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제1야당 원내 지휘봉을 거머쥐자마자 여당을 상대로 ‘입법 수문장’ 격인 법사위원장 자리를 내놓으라고 선전포고한 상태이다.
김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경선 과정에서도 야당 몫 상임위원장 자리 7개를 “강도질 당한 장물”로 표현하며 탈환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당선 직후 기자들과 만나 "원 구성과 관련해 민주당은 (법사위원장 등을) 돌려주고 말고 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 돌려줘야 할 의무만 있는 상황"이라며 "(반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범법자 지위에 있겠다고 하는 것"이라며 민주당을 비판했다.
그러나 민주당 지도부는 상임위 재배분은 없다는 입장이어서 여야 지도부 간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미 "상임위 재협상은 일절 없다"며 쐐기를 박은 상황이다.
더구나 윤 원내대표가 '원칙 없는 협상' 불가를 외쳐온 강경 원칙론자라는 점에서 두 원내 사령탑의 기선제압용 힘겨루기에 당분간은 정국이 얼어붙을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다만 현재 정치 지형상 끝장 대치가 마냥 이어지기는 양쪽 모두 부담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4·7 재보선에서 참패한 민주당으로선 야당과의 협치라는 국민적 여론을 마냥 저버릴 수 없고, 야당은 대선을 앞두고 강경론에만 매몰될 경우 '발목잡기' 이미지에 갇힐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은 차기 법사위원장 선출을 강행할 태세지만 국민의힘과 다시 협상에 나설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순 없다”며 “내년 대선까지 재보궐선거 참패의 충격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여당으로선 상임위를 독식해 대선정국에서 야권의 '일당 독재' 프레임에 말려들어 정국을 대치국면으로 끌고 갈 이유가 실리적으로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가 끝난 만큼 이번 주부터는 당권 레이스가 펼쳐질 전망이다. 현재까지 당대표 출마를 선언했거나 출마를 고심 중인 후보군은 5선 주호영·조경태 의원, 4선 홍문표·권영세 의원, 3선 조해진·윤영석 의원, 초선 김웅 의원으로, 원외에선 나경원 전 의원이 자주 거론된다. 재보궐선거 압승으로 상승세를 탄 만큼 전당대회 일정이 공고되면 출마 후보만 10여명 안팎에 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예비경선 단계에서 최소한 절반은 컷오프할 가능성도 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