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6일 각각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추가 증거채택 신청을 받은 헌법재판소와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를 수사하는 검찰을 향해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에 대해 헌재가 또다시 이해할 수 없는 꼼수를 썼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 총리 탄핵소추는 이미 내란죄가 철회됐을 뿐 아니라 국정조사 특위에서도 검찰에서도 아무런 혐의를 찾아내지 못해 검찰도 한 총리를 기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헌재법 제32조는 ‘범죄 수사가 진행 중인 사건의 기록’은 송부를 요구할 수 없다고 돼 있는데 그것도 변론이 모두 끝난 탄핵심판에 대해 수사기록을 요구하는 것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을 지목해 “꼼수 부릴 생각 그만하고 국정운영을 위해 당장 한 총리 탄핵을 각하하라”고 강조했다.

반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명태균 특검을 해야 할 이유가 천 가지, 만 가지가 쌓여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명태균 게이트는 윤석열·김건희 여론조작 부정선거 의혹, 김건희의 공천개입 및 국정농단 의혹을 넘어 국민의힘 핵심부의 불법·부정 의혹으로까지 확산 중”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명태균의 핸드폰에서는 윤석열 명절 선물, 코바나 콘텐츠 봉투 사진, 김건희와 주고받은 텔레그램 캡처, 국민의힘 내부 자료로 추정되는 문건 등이 발견됐다”며 “심지어 ‘당선인 뜻이다, 잘될 거다’라는 김건희의 육성도 만천하에 드러났다”고 전했다.
검찰을 향해서는 “검찰이 오늘 명태균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다고 하지만, 이미 수많은 증거를 확보한 상황에서도 내란 세력의 눈치를 보며 시간을 끌고 있다”고 질타했다.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 특검법과 관련해 “명태균 게이트는 12‧3 비상계엄의 트리거였으며, 명태균 특검은 12‧3 내란 사태의 원인과 내막을 밝혀낼 열쇠”라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즉시 명태균 특검을 공포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