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김윤주의 책상풍경 세상풍경] 이주 배경 학생과 다문화사회 언어 문화 교육

 

이주 배경 학생 수가 2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교육부의 2024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이주 배경 학생 수는 19만 3,814명으로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전체 학생의 3.8%에 해당한다. 다문화 학생 수를 처음 집계했던 2006년만 해도 9천여 명 수준이었던 규모가 20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학령기 전체 학생의 지속적인 감소세와 미취학 다문화가정 아동의 증가세까지 고려하면 이 비율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2006년 이래 정부는 매년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교육지원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교육 선진화 방안’이 발표된 2012년에는 공교육 내에 최초로 한국어(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교육과정이 도입되었고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었다. 2017년에는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이 고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학교급, 학년군별로 세분화된 교재가 새롭게 개발 보급되었다.

 

2023년 9월에는 기존의 다문화교육 지원 정책 외에도 중장기 계획으로 ‘이주배경학생 인재양성 지원방안(2023-2027)’이 발표되었다. ‘다문화학생 교육기회 보장 및 교육격차 해소,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성숙한 교육환경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세부 추진 과제들을 마련한 것이다. 관련 정책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고민해야 할 점들이 있다.

 

먼저, 교육 대상의 범주와 용어의 문제다. 최근까지만 해도 ‘다문화 학생, 다문화가정 자녀, 다문화 배경 학생’ 등으로 사용되던 용어를,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고려하여 ‘이주 배경 학생’이라는 용어로 바꾸자는 움직임이 있지만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는 상황이다.

 

다문화사회 언어교육 문제에 대한 논의가 우리보다 먼저 시작된 미국 사례를 보면, 1968년 이중언어교육법 제정 이후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LEP(Limited English Proficiency), NNES(Non-Native English Speakers) 등의 용어가 결핍을 강조하고 부정적 인식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ELL(English Language Learner), CLD(Culturally Linguistically Diverse) 등 언어적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중립적 용어로 교체된 바 있다.

 

현재 이주 배경 학생은 크게 국제결혼가정, 외국인 가정으로 나뉘고, 이중 국제결혼가정은 국내출생자녀, 중도입국자녀로 나뉘어 있다. 처음 한국어 교육과정이 도입되던 당시만 해도 탈북학생, 장기 해외 체류 귀국학생 등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었고, 이후 발표된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에는 난민학생이 새롭게 추가되기도 했다. 정부정책 기조에 따라 특수 학습자군이 포함되기도 배제되기도 한다. 소외되는 사각지대가 없도록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교육이 이주배경 학생의 부족한 한국어 능력과 학업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으로 한정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다문화교육은 이주배경 학생뿐 아니라 전체 학생과 교사, 학교 구성원은 물론이고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출신 국가나 민족, 인종 때문만이 아니라 우리 개개인이 모두 나고 자란 환경이 다르고 개별적, 집단적 정체성을 지닌 고유의 존재라는 점에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과 화합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밖에도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소규모 교사 연수 모임의 활성화 방안, 학교장 및 기관장 등 리더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신념과 가치, 인적 물적 자원을 포함한 학교 환경 전반의 다문화적 역량 강화 문제, 학부모 교육과 지역사회 네트워크와의 연계 문제, 지역적 다양성에 기반한 특화된 정책 도입, 접근성이 약한 소외된 지역에 대한 정책 추진 방안,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법의 다양한 모형 개발, KSL 교원 자격제도 및 교원 처우 개선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는 이미 다문화교육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연구 성과들이 다양하게 축적되어 있다. 이것이 울타리 밖으로 흘러나가 다양한 경로로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교사와 학생, 정책 입안자와 행정 담당자, 학부모 및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 서로가 서로의 역량과 자질을 강화시키는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경계를 허무는 활발한 의사소통, 이에 기반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 가치와 인식이 공유되어야 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