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급락 영향으로 수출입 물가가 11년 만에 최대의 폭으로 떨어져 기업들의 채산성을 크게 악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4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4월 수출물가는 전월보다 6.0% 내려 1998년 12월(-7.2%) 이후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 부문별로는 농림수산품이 7.8%, 공산품이 6.0% 각각 하락했으며 품목별로는 냉장고의 수출물가가 전월보다 11.1% 떨어졌고 중형승용차 3.0%, 자동차부품 16.2%, TV 수상기 9.2%, 무선전화기 9.4% 등의 하락률을 나타냈다.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7.8% 떨어져 98년 4월(-9.1%) 이후 최대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원자재는 7.1% 내렸고 중간재와 자본재는 각각 8.3%, 소비재는 6.0%의 비율로 떨어졌다. 특히 중간재에서 철강1차 제품의 가격이 많이 내렸다. 품목별로는 냉연강판이 43.8% 폭락했고 강관 12.6%, 도금강판 17.3%, 형강 14.6%, 선철 7.0% 등의 비율로 내렸다. 한은 관계자는 “환율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갔다가 갑자기 내려오는 바람에 수출가격이 빠르게 하락했다”며 “철강제품의 가격하락은 환율 뿐 아니라 세계경기 침체의 영향도 커 아직
지속적인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귀농 인구가 늘고 있다. 17일 농림수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가구 수는 2천218가구로 집계됐다. 지난 2007년의 2천384가구에는 못미치지만 2006년(1천754가구), 2005년(1천240가구)보다는 늘어난 수치다. 1997년 1천841가구였던 귀농 가구 수는 98년 6천409가구까지 치솟았다. 외환 위기의 여파로 대규모 기업 구조조정이 이뤄지자 농촌으로 터전을 옮긴 사람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1999년에도 4천118가구에 달했던 귀농 가구는 이후 감소해 2002년 769가구로 바닥을 친 뒤 다시 상승하는 추세다. 지난해 시·도별로는 경북의 귀농 가구가 가장 많은 485가구였고 이어 전북 385가구, 경남 373가구, 전남 289가구, 충남 227가구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가 699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632가구), 60대 이상(528가구), 30대(328가구), 20대 이하(31가구) 순이었다. 이는 외환 위기 당시인 1998년 30대가 3천222가구로 가장 비중이 높고 40대(1천544가구)가 그 뒤를 이었던 것과는 다소 다른 양상이다. 상대적으로 귀농 인구가 고령화된
지난해 우리나라의 연간 담배 소비 지출액이 의료·보건 지출액(32조3천775억원)의 25.2%에 이르는 8조원으로 나타났다. 또 비(非) 식당·업소용 술에 6조원 가량을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담배에 대한 지출액(명목)은 작년에 8조1천670억원으로 전년의 7조8천591억원에 비해 3.9% 늘어났다. 담배 지출액은 2000년 5조3천553억원이었으나 2003년 6조3천35억원, 2004년 6조6천313억원, 2005년 7조315억원, 2006년 7조4천956억원 등으로 늘고 있다. 비 식당·업소용에서의 술 지출액은 작년에 5조9천72억원으로 전년의 5조5천879억원에 비해 5.7% 증가했다. 연도별로는 2000년 3조6천12억원에서 2002년에는 4조2천749억원으로 늘었고 2004년 4조6천425억원, 2005년 4조9천764억원, 2006년 5조1천490억원 등으로 계속 증가했다. 비 식당·업소용은 소비자들이 슈퍼마켓 등에서 구입해 가정이나 축제, 야유회 등에서 먹는 술을 말한다. 이에 따라 주류 및 담배 지출액은 작년에 14조742억원으로 전년의 13조4천470억원에 비해 4.7% 늘어났다. 주류 및 담배 지출액은
Q. 안녕하세요, 결혼한지 7개월된 신혼부부입니다. 현재 목돈마련을 위한 적금과 20대 초반 부모님이 필요하다고 들어주신 보험 몇 개가 전부인 저희 집이 너무 계획성 없고 무지한 채 자산을 굴리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조심스럽게 글을 올려봅니다.저희 집 월 평균 급여액은 세액 제외하고 400만원정도 됩니다. 앞으로 계속 맞벌이를 할 생각입니다. 다행히 내집마련을 한 후에 결혼을 해서 주택과 관련된 상품은 들고 있진 않습니다. 펀드나 노후자금마련을 위한 상품이 필요할 것 같은데,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것 같은 제가 좀 한심스러울 정도입니다. 아이는 2년 내 가질 생각이어서 아이양육비와 교육비에 대한 자금과 5년 내 차량구입, 10년 후 30평대 아파트로 넓혀 갈 계획입니다. 그리고 앞으로의 노후자금마련도 마련해야 합니다. 나름대로 이러한 계획을 갖고 있는 저희에게 올바른 재테크 방법에 대해 좋은 답변 주길 바랍니다. A. 적금만으로 재테크를 해 왔지만 주택을 마련하고 결혼을 한 상황에서 두 분은 이미 기본적인 재테크의 마인드는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앞으로 적금뿐 아니라 투자형상품들에 대해서도 알아 나가고 이를 토대로 계획적인 재무설계를 한다면 더욱 나
2007년 기준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와 국민총소득의 세계 순위가 각각 14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경제규모 순위는 세계 경기침체 여파로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서 올해는 16위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14일 한국은행이 정리한 세계은행의 ‘세계발전지수’에 따르면 2007년 기준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9천698억 달러(잠정치 기준)로, 비교 대상 188개국 가운데 14위를 차지해 전년과 같았다. 2001년 세계 12위에서 2002∼2003년 2년 연속 11위를 기록하며 세계 10위권 진입을 눈앞에 뒀지만 2004년 12위로 내려앉은 뒤 2005년 13위, 2006년 14위로 떨어졌고 2007년에는 제자리걸음을 한 것이다. 한은은 “자원 부국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가 그동안 높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나타내면서 한국의 명목 GDP순위가 이들 국가에 밀렸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4월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에서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 순위가 지난해 15위를 기록하고 올해는 16위까지 하락할 것으로 관측했다. 2011∼2014년에는 14위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봤다. 한편
여성 구직자들이 평소 여성이라는 이유로 받은 성차별보다 취업시장에서 느끼는 성차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취업·경력포털 스카우트가 20, 30대 여성 구직자 637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중 성차별로 인한 피해’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6%가 ‘성차별을 느꼈다’고 답했다. 또 학창시절부터 지금까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느껴봤는지를 물은 결과 69.4%가 ‘그렇다’고 응답해 취업에서 느끼는 성차별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인한 성차별 보다 12.2%가 높았다. 성차별로 인해 구직활동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더욱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이 47.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더욱 소극적으로 구직활동(26.9%), 상관없다(23.1%), 기타(2.5%)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에서 왜 남녀 성차별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출산휴가 부담’이 3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출장, 야근 등 힘든 업무 처리 때문(22.5%), 결혼으로 퇴사(20%), 육아휴직 부담(15%), 기타(5%), 실력차이가 나서(2.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성차별을 없애기 위한 방안으로는 40%의 응답자가 ‘기업에서 출산을 선호하도록 정부지원’을 꼽았다. 스카우트의 임웅환
경기지역 신설법인 수가 올 들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창업 및 기업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4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의 ‘2009년 4월중 경기지역 어음부도 및 신설법인 동향’에 따르면 경기지역 신설법인 수는 전월 748개 보다 4.0% 증가한 779개를 기록했다. 경기지역 신설법인은 지난해 12월 626개에서 1월 576개로 줄어든 뒤 2월 661개, 3월 748개, 4월 779개로 올 들어 31.9%의 증가폭을 보였다. 특히 제조업 신설법인이 1월 203개에서 4월 276개로 3개월 만에 36% 늘어 경기지역 신설법인 증가세를 이끌었다. 신설법인이 이같이 꾸준히 늘어난 것은 경기가 저점을 지나고 있다는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도내 제조업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3월과 4월 각각 15p, 12p로 급등한 결과를 보더라도 알 수 있다. 한국은행 경기본부 관계자는 “신설법인의 증가는 향후 경기전망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과 정부의 창업 및 기업보증 지원이 증가했다는 면을 보여주는 신호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경기 남부지역이 급매물 해소로 집값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경기 북부지역은 아직까지 약세를 지속,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강남권 재건축을 겨냥했던 투자자들이 재건축 상승세가 주춤하자 경기 주요 남부지역으로 투자처를 옮기면서 이들 지역의 급매물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지난해 상반기, 강세장을 연출했던 의정부, 남양주, 동두천, 고양 등의 경기 북부지역은 아직까지 급매물 소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약세장을 보이고 있다. 14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0.02% 소폭 상승에 그친 반면 경기지역은 지난주보다 상승폭을 0.06%p 확대, 0.10%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특히 성남(0.50%), 광명(0.44%), 군포(0.30%), 의왕(0.27%), 용인(0.24%) 등의 경기 남부지역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성남의 경우 신흥동 일대 주공단지가 지난주까지 계속해 거래가 이뤄지면서 현재 89㎡(27평형)가 4억4천만~5천만원까지 급등했다. 광명은 하안동과 철산동 일대 주공단지들이 올 초부터 79㎡(24평형) 이하 급매물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2주 전부터 급매물이 소진되고 시세를 되찾고 있다. 하지만 김포(-0.10%)를
■ 워터파크 본격개장 따른 여름상품 판매 호조 올해 초여름 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캐리비안베이, 오션월드 등의 워터파크나 야외풀장이 예년보다 한달 정도 빠른 이달 1일 본격 개장해 수영복 등 물놀이 용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유통업체에서는 벌써부터 여름용 상품이 등장하고 구매 또한 늘어나고 있다. ◆수영복·선풍기 등 여름상품 특수 인터넷쇼핑몰 디앤샵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부터 수용복 판매가 급증하면서 수영복 판매랑이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20% 늘어났다. 여름휴가를 앞두고 5월 말에서 6월초 쯤 수영복과 물놀이 용품을 구입하던 패턴이 올해는 이른 더위와 워터파크 조기 개장 덕에 예년보다 평균 3주가량 빨라졌다는 게 디앤샵 측 설명이다. 디앤샵의 스포츠레져 담당 박시민MD 는 “워터스포츠 용품이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은 상식이었으나 올해는 늘어난 워터파크와 이른 개장시기에도 매출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며 “올해는 워터파크 뿐만 아니라 다양해진 워터스포츠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으로 관련제품과 기획전을 다양하게 서둘러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홈플러스도 지난달 1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년대비 매출신장률을 조사한 결과
최근 수도권 분양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인천 청라지구에서 2천가구가 넘는 중대형 아파트가 동시분양을 해 청약열기를 이어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SK건설과 동양메이저건설, 한양, 반도건설 등 4개사는 이달 말 인천 청라지구에 중대형 아파트 2천439가구를 동시분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들 4개사는 현재 분양승인 등 인허가 절차를 준비중이며 이달 말 모델하우스를 공개한 뒤 다음 달 초 청약접수를 할 예정이다. SK건설은 31블록에 127~272㎡ 879가구를 분양하고, 동양메이저건설이 39블록과 26블록에 145~148㎡ 564가구와 256가구 등 총 820가구를, 한양이 38블록에 129~173㎡ 566가구를, 반도건설이 33블록에 126~155㎡ 174가구를 각각 선보인다. 분양가는 상한제가 적용돼 앞서 분양한 한라비발디, 한화꿈에그린 등과 비슷한 3.3㎡당 1천만-1천100만원대에 책정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취득후 5년간 양도세가 100% 면제되고, 전매제한 완화로 계약후 1년이면 분양권 매매도 가능해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이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동시분양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cheong-na.com)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