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랭킹 1위를 기록 중인 대한민국 펜싱 남자 사브르 대표팀이 도쿄올림픽 단체전 결승에 진출했다. 오상욱(25·성남시청), 구본길(32), 김정환(38·이상 국민체육진흥공단), 후보선수 김준호(27·화성시청)로 구성된 대표팀은 28일 일본 지바 마쿠하리 메세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남자 사브르 단체전 준결승전에서 독일에게 45-42로 승리했다. 지난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이 종목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걸어 2연패를 달성하겠단 각오다. 2016 리우올림픽에서는 종목 로테이션을 이유로 남자 사브르 단체전이 열리지 않았다. 대한민국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세계선수권대회 3연패를 달성, 세계 최정상의 자리를 지켜 도쿄올림픽 유력 금메달 후보로 선정된 바 있다. 대표팀이 결승에서 금메달 사냥에 성공한다면 이번 대회 펜싱에서 한국이 따낸 첫 번째 금메달이 된다. 지난 24일 금메달 유력후보로 꼽히던 남자 사브르 세계랭킹 1위 오상욱이 8강서 조지아의 산브로 바자제에게 13-15로 패하며 메달 획득이 좌절됐다. 같은 날 2012 대회에서 남자 사브르 단체전 금메달리스트 구본길도 독일 마티아스 스자보에게 8-15 충격패 당
‘뉴 마린보이’ 황선우가 도쿄올림픽 자유형 100m 준결승에서 한국신기록과 아시아신기록을 경신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황선우는 28일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100m 준결승전에서 47초 56으로 1조 3위, 전체 4위로 결승에 올랐다. 이날 준결승에 진출한 16명 중 아시아선수는 황선우가 유일하다. 3레인에서 경기를 치른 황선우는 한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자유형 100m 결승에 진출해 대한민국 수영의 위상을 높혔다. 황선우가 준결승서 기록한 47초 56은 한국신기록이자 아시아신기록이다. 그는 하루 전 열린 남자 자유형 100m 예선에서 기록한 자신의 한국신기록 47초 97을 또 다시 단축한데 이어, 지난 2014년 10월 중국 닝저타오가 작성한 47초 65를 0.08초 단축해 아시아신기록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기록의 사나이’ 황선우는 지난 5월 국가대표 선발대회서 48초 04를 기록해 박태환이 세운 48초 25를 뛰어넘은 바 있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태권도 여자 67kg초과급에 출전한 이다빈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다빈은 27일 일본 지바 마쿠하리 메세 A홀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여자 태권도 67kg초과급 결승에서 세르비아 밀리차 만디치를 상대로 10-7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이번 올림픽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로, 21년 만에 태권도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지 못했다. 이다빈은 1라운드에서 만디치에게 기습적인 상단차기를 허용해 3점을 내줬다. 이어 몸통 돌려차기로 2점을 추가로 빼앗기며 0-5로 끌려갔다. 2라운드 이다빈은 공격적인 압박을 통해 상대 감점을 유도한 후 몸통 돌려차기로 2점을 획득했지만, 이내 넘어지며 1점 감점을 당해 3-6으로 뒤진 채 라운드를 마쳤다. 3라운드 승부수를 띄운 이다빈은 주먹을 이용해 1점을 추가한데 이어 몸통 공격으로 2점을 추가해 동점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종료 30초를 앞두고 주먹 공격과 몸통 공격을 허용하며 3점을 내줘 10-7로 패했다. 한편, 세계랭킹 5위인 이다빈은 준결승서 세계랭킹 1위 비안카 워크던을 상대로 25-24 역전승을 거두며 극적으로 결승행 티켓을 따냈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대한민국 태권도 국가대표 인교돈이 80kg초과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인교돈은 27일 일본 지바 마쿠하리 메세 A홀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초과급 동메달 결정전에서 슬로베니아의 이반 콘라드 트라이코비치를 5-4로 꺾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준결승전서 북마케도니아 데얀 게오르기예프스키에게 6-12로 패해 결승 문턱에서 좌절한 인교돈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단상에 오르게 됐다. 앞서 58kg급에 출전한 장준의 동메달에 이어, 도쿄올림픽 태권도 종목에서 대한민국이 따낸 두 번째 메달이다. 지난 2014년 림프종 진단을 받은 인교돈은 이를 극복, 2015년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서 재기에 성공하며 국내 중량급 최강자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세계랭킹 2위인 인교돈은 16강서 아프가니스탄 파르자드 만수리를 상대로 13-12 역전승을 거둬 8강에 올랐다. 8강전, 카자흐스탄의 루슬란 자파로프를 10-2로 완파한 인교돈은 4강에서 패하며 금메달 사냥엔 실패했다. 4강 경기 후 인교돈은 “금메달 기회는 놓쳤지만 동메달을 꼭 따고 싶다”며 메달 획득을 다짐했고, 자신의 실력으로 약속을 지켰다. 트라이코비치와의 동메달 결정전 1라운드 종료를 28초 앞
한국 펜싱 여자 에페 대표팀이 단체전 결승에서 접전 끝에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최인정(계룡시청), 강영미(광주광역시 서구청), 송세라(부산광역시청)와 후보 선수 이혜인(강원도청)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27일 일본 지바의 마쿠하리 메세B홀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펜싱 여자 에페 단체전에서 에스토니아에 32-36으로 패했다. 첫 순서로 만난 최인정과 율리아 벨리아예바는 2-4를 기록했다. 이어 세계 랭킹 13위인 186cm 장신 카트리나 레히스를 만난 맏언니 강영미는 점수차를 7-7 동점으로 좁히며 포효했다. 7-7 동점 상황에서 에리카 키르푸와 만난 송세라는 연이어 2점을 득점하며 분위기를 역전, 13-11로 3라운드를 마쳤다. 강영미는 4라운드에서 율리아 벨리아예바에 리드를 내주는 듯했으나 2점의 점수차를 유지했다. 15-15로 세 번째 동점을 기록한 5라운드, 최인정과 에리카 키르푸는 팽팽한 대결을 펼쳤다. 최인정이 먼저 1점을 추가 획득한 상황에서 상대팀의 비디오 판독 요청이 있었으나 결과는 그대로 인정돼 18-19로 한국이 주도권을 이어갔다. 6라운드에서 송세라는 당당한 기세로 20점에 먼저 도달했고, 1점 리드한 채로 라운드를 마쳤다. 7라운드에는…
대한민국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 패하며 2연패 늪에 빠졌다. 대표팀은 27일 일본 도쿄 요요기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핸드볼 여자부 조별리그 A조 2차전 네덜란드전에서 36-43으로 패했다. 지난 25일 조별 첫 경기 노르웨이와의 맞대결에서 27-29로 패한 한국은 2차전에서도 승리를 따내지 못했다. 노르웨이, 네덜란드, 일본, 몬테네그로, 앙골라와 A조에 속한 한국은 조 4위까지 주어지는 8강행 티켓 확보를 위해 1, 2차전에서 1승을 노렸으나 연달아 패했다. 이로써 남은 3경기에서 최대한 승점을 쌓아야 8강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19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네덜란드를 상대로 전반 막판까지 대표팀은 12-13 팽팽한 접전을 펼쳤으나, 큰 키와 체공력을 앞세운 네덜란드에 연달아 실점하며 분위기를 내줬다. 전반 종료 직전 이미경과 류은희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후반 초반 17-20까지 점수 차를 좁혔으나, 이내 실점하며 추격에 실패해 36-43으로 패했다. 한편, 대한민국 여자 핸드볼 대표팀은 오는 29일 ‘숙적’ 일본을 상대로 1승 사냥에 나선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도쿄올림픽 개막 닷새째인 27일 대한민국의 희망으로 떠오른 선수들이 금빛 레이스를 펼쳤지만 아쉽게도 ‘노메달’로 마무리됐다. 이날 가장 먼저 경기에 나선 사격대표팀. 진종오-추가은, 김모세-김보미는 일본 도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린 10m 공기권총 혼성 단체전에서 각각 9위와 11위를 기록하며 본선 2차전 진출에 실패했다. ‘마린보이’ 박태환의 뒤를 이을 수영 차세대 주자 황선우는 2020 도쿄올림픽 경영 남자 자유형 200m 결승에서 7위를 기록했다. 올림픽 무대에 처음 출전한 ‘탁구 요정’ 신유빈은 여자 단식 3회전(32강)에서 세계 10위권 강호 홍콩의 두호이켐에 2-4로 패하며 아쉬움을 삼켰다. 사격 국가대표 남태윤-권은지는 2020 도쿄올림픽 10m 공기소총 혼성 단체전 동메달 결정전까지 진출했으나 4위로 경기를 마쳤다. 특히 2위 루카스 코제니스키-메리 캐럴린 터커(미국)와 0.5점 차로 패해 은메달을 딸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 경기신문 = 신연경·김도균 기자 ]
코로나19로 리그 중단을 선언한 KBO가 후반기 연장전 폐지와 포스트시즌 축소를 발표했다. KBO는 27일 “2021 신한은행 SOL KBO리그 후반기에 한시적으로 연장전을 폐지하기로 했다. 포스트시즌 경기 진행 방식은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를 현행 3선승제에서 2선승제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팀 당 144경기를 원활히 소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이에 최대 9연전까지 가능하게 했다. 이어 7~8월에는 더블헤더를 편성하지 않았으나, 8월 25일부터는 경기 취소시 다음날 더블헤더 편성 혹은 동일 대진 둘째 날 편성키로 했다. 현재 코로나19로 경기가 취소될 경우 추후 일정이 편성됐으나, 후반기에는 우천취소 경기 시행세칙과 동일하게 더블헤더, 특별서스펜디드, 월요일 경기 편성 등으로 진행된다. KBO는 이달 초 NC 다이노스와 두산 베어스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자 지난 12일 긴급이사회를 통해 전반기 막판 일주일 경기를 취소하고 조기 종료에 들어갔다. 한편, 1986년 시작 이래 처음 3전 2선승제로 펼쳐지는 플레이오프는 지난해와 같이 11월 15일 이후 고척 스카이돔에서 중립으로 진행된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사격 국가대표 남태윤(23·보은군청)과 권은지(19·울진군청)가 10m 공기소총 혼성 단체전을 4위로 마무리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남태윤과 권은지는 27일 일본 도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10m 공기소총 혼성 단체전 동메달 결정전서 만난 세르게이 카멘스키-율리아 카리모바(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에 9-17로 패했다. 1,2차전과 달리 결선은 구령에 따라 남녀 50초 안에 사격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사격에서 유일하게 개인점수가 합산되지 않고 매 발마다 포인트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본선 2차전 4위를 한 세르게이 카멘스키-율리아 카리모바와 만난 남태윤과 권은지는 팽팽한 승부를 펼쳤다. 첫 발에서는 남태윤이 9.6점, 권은지가 10.1점으로 합계 19.7점을 기록했으나, 21.1점을 쏜 러시아올림픽위원회에 2점을 먼저 내줬다. 두 번째 사격에서도 2점을 내줬으나 곧이어 4점을 획득해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내 권은지와 남태윤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며 러시아에게 리드를 내줬다. 러시아는 4발 연속 점수를 얻어 6-12까지 점수 차를 벌렸다. 10번째 발은 양팀이 나란히 합산 21.1점을 쏴 동점을 기록했다. 대표팀은 9-13까
‘사격황제’ 진종오가 올림픽 메달 획득에 실패하며 대한민국 선수 역대 최다 메달 기록을 경신하지 못했다. 27일 일본 도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10m 공기권총 혼성 단체전에 출전한 진종오는 추가은과 팀을 이뤄 합계 575점(추가은 286점, 진종오 289점)으로 9위를 기록해 결승 진출이 좌절됐다. 진종오·추가은 팀은 8위 이란과 동점을 이뤘으나 10점 획득수에서 13-18로 밀려 본선 1차전 탈락이라는 고배를 마셨다. 앞서 24일 열린 10m 공기권총 개인전에서도 15위를 기록하며 올림픽 무대 처음으로 결선에 진출하지 못한 진종오는 2020 도쿄올림픽을 노메달로 마쳤다. 지난 2004 아테네올림픽부터 이어온 메달 행진 역시 이어가지 못했다. 그는 아테네올림픽 은메달을 시작으로 이번 대회 이전까지 올림픽에서만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등 총 6개 메달을 목에 걸었다.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2012년 런던올림픽, 2016년 리우올림픽까지 50m 권총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2008년과 2012년에는 10m 권총에서도 은메달과 금메달을 따내며 ‘사격황제’로 올라섰다. 6개의 메달을 획득한 진종오는 양궁 김수녕과 함께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