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혁<인터넷 독자>
전국에 비소식이 전해지는 가운데 대형교통사고가 우려된다. 비가 오는 날에는 시야가 맑은 날에 운전할 때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운전사각 지대가 늘어나서 교통사고가 증가 한다.
폭우로 노면에 많은 물이 덮여 있을 때 고속으로 주행하면 자동차의 타이어와 노면사이에 수막이 생겨 타이어가 노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마치 수상스키를 타는 것과 같이 수막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핸들과 브레이크가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차가 길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게 되므로 위험하다.
수막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있는 수막을 밀어내고 접촉력을 높여야하므로, 타이어의 회전속도를 늦추어서 저속운전을 해야 한다. 특히 승용차의 경우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높게 하여야 하며, 운전 중에 함부로 핸들과 브레이크를 조작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 오는 날 일어나는 사고의 순서는 과속-급브레이크-급핸들조작-미끄러짐-충돌이다.
따라서 핸들은 조심스럽게 조작하는 것이 좋다. 또 비가 내려 물이 덮인 노면에서는 트레드의 홈이 깊은 새 타이어로 운전하는 것이 안전하다.
비가 오면 가장 먼저 나빠지는 것이 시계(視界)다. 낮은 비구름 때문에 주위가 온통 어두워지고, 앞창에 달라붙는 물방울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비가 오기 전에 먼저 앞유리창을 깨끗이 닦아 둘 필요가 있다.
노면이 완전히 젖기 시작하면 길바닥의 흙먼지가 앞차가 달릴 때 튀어오르는 물방울에 섞여 쉽게 유리창을 더럽힌다.
이 때를 대비해서 엔진룸에 있는 워셔액의 양을 점검하고 워셔액을 뿜어주는 모터도 정상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비가 내려 노면에 습기가 있을 때에는 평상시 제한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감속한 속도로 차량을 운행하고 폭우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때에는 평상시 제한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인 속도로 감속운행하여 교통사고를 미리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