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갈수록 세계는 물론 국내에서도 기상이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태풍과 장마철 국지성 집중폭우, 해일 등 자연재해가 해마다 그 강도를 더 해가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장마권에 들어가 집중호우 경보와 주의보가 반복되는가 하면 지역적으로는 집중호우로 물난리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해마다 자연재해 피해를 겪으면서도 피해최소화를 위한 대비책 강구는 매우 무딘 상태다.
앞으로 여름에서 가을철로 접어들게 되면 우리나라를 지나갈 태풍도 발생될 것으로 본다. 자연재해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고 각종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 모두가 유비무환의 자세로 대처해야 한다. 특히 지자체 공무원들의 비상대기 근무에서부터 위험지역 주민대피조치, 침수가옥 배수 작업, 유실된 도로 및 제방 복구 작업 등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그러나 해마다 자연재해 발생 시 표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사전에 기상청의 일기예보를 언론매체를 통해 지득 하고 피해규모나 태풍의 예상 진로, 강수량까지 짐작하면서도 지자체 공무원들의 비상대기 근무는 소홀히 다뤄지고 있는 실태다. 형식적인 상황실 운영으로 재해발생 시 직원소집이 어렵게 되고 실시간 상황처리요원조차 사무실을 비우는 사례가 속출해 제때에 재난에 대처할 수 없어 그 피해를 키우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심지어는 재난신고접수에 필요한 일반전화를 공무원 개인가정으로 돌려놓고 집에서 전화 받는 행태가 자행되기도 한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우리의 목전에 자연재해 발생시 비상연락체계를 확립하고 신속한 대처를 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장마철을 맞아 먼저 지자체 공무원들의 빈틈없는 비상대기 근무체제가 이뤄져야함은 물론 각종 자연재해 예보 시 정확한 상황실 운영과 발 빠른 대처로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 시켰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