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들의 피해가 확대되면서 정부의 신속한 지원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대일 수출입중소기업을 대상(응답업체 250개사)으로 실시한 ‘일본 대지진 관련 국내 중소기업 피해현황조사’ 결과, 203개 대일 수출입중소기업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했다고 17일 밝혔다. 피해 기업 중 직접적인 피해는 50.7%, 간접적인 피해는 49.3%로 조사됐다.
또 이번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업체는 생필품목을 제외한 일본 현지의 수요가 감소해 수입업체(24.6%)보다 수출업체(48.3%)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 측은 ”수출업체의 경우 대금회수 지연, 발주 연기, 생산 차질 등으로 인한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으며 수입업체는 원자재 및 부품조달, 주문 사항에 대한 수송 등에 대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대일 수출입 중소기업의 교역 비중이 큰 전자·전기(12.3%) 및 기계류(11.8%) 업종에서 피해기업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발생한 피해 내용 및 피해 예상 내용 중 수출입 업체의 무역 피해 사항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원에 대한 요청이 많다”며 “특히 일본 현지 시장 상황에 대한 정보, 항공 및 해운 수송 스케쥴, 컨테이너 등과 같이 수출입을 위한 전반적인 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