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사태로 ‘물동량 감소’와 ‘고객화물 연착’ 등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내 물류기업들이 이에 대한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일본과 거래중인 국내 110개 물류전문기업을 대상으로 ‘동일본 지진에 따른 수출입물류 환경변화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78.2%의 기업들이 ‘물류차질에 대한 대책이 없다’라고 응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10개 중 8개 가량의 물류기업들이 지진사태에 대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응답업체 중 21.8%의 기업만이 ‘화주와 협의해 입항가능한 항만으로 물량이전’, ‘부산항으로 회항’, ‘철수를 고려중’, ‘보험처리’ 등의 대책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들 기업의 피해 현황으로는 ‘컨테이너 유실’(4.5%), ‘건물파괴’(1.8%) 등의 직접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했고 간접 피해의 경우 ‘화물연착’(11.8%), ‘물량감소’(6.3%), ‘사무기기 파손’(0.9%) 등이 있었다.
특히 일본 수출입물류가 정상화되기 까지 약 1년 가량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64.6%의 기업들은 ‘일본 수출입물류 정상화 소요기간’으로 ‘1년 미만’을 꼽았다. 이어 ‘1~3년’(29.1%), ‘3~5년’(3.6%), ‘5년 이상’(2.7%)을 지목해 최소 약 1년 간은 물류차질이 계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이번 사태가 국내 항만과 공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물은 결과, ‘부산항과 인천공항의 화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각각 49.1%, 48.2%에 달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일본 지진사태가 길어질 경우 물동량 감소 등의 물류차질이 우려된다”면서 “정부는 화물연착 등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속한 수출입 통관지원과 피해업체 자금지원 등의 노력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