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한·미 FTA 발효를 계기로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에 따르면 중소기업 527곳을 대상으로 ‘해외시장 진출계획과 애로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259곳(49.2%)이 올해 해외시장 진출계획이 있는 것으로 답했다. 이미 해외시장에 진출한 기업 12.5%를 포함하면 61.7%의 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것. 이들 기업은 ‘국내 판로개척 곤란’(44.9%), ‘한국산 제품의 해외수요 증가’(42.8%) 등의 이유로 수출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시장 진출에 나선 국내 중소기업들은 시장 정보와 거래선 발굴 등 해외진출 초기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거래선 및 바이어 발굴 곤란’(36.7%), ‘계약체결·통관 등 실무지식과 경험 부족’(21.2%), ‘소비트렌드 등 해외시장 정보 획득’(16.2%) 등의 의견도 나왔다. 해외투자를 계획 중인 중소기업들은 해외투자 초기단계에서의 어려움으로 ‘현지법규·문화 등의 이해 부족’(25.0%), ‘물류 등 현지 투자여건 정보 부족’(15.0%), ‘제휴·합작투자 대상업체 발굴 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15일 기술원 농업과학교육관 대강당에서 농촌지도자경기도연합회장, 경기도생활개선회장, 경기도4-H연합회장, 입학생 154명 등 1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2학년도 제2기 경기다산삼농대학’ 입학식을 가졌다. 경기다산삼농대학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편농, 후농, 상농 정책을 본받아 과학농업으로 편리하게 농사를 짓고 다양한 방법으로 소득을 올려 농업CEO로 농업인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신규농업과, 농업전문강사양성과, G-농산물리더과, 병해충전문가양성과, 향토음식소믈리에과, 농업인창업지원과 등 5개 과정으로 이뤄지며 강사진은 기술원 및 시군 농촌지도·연구직, 유명대학 강사, 각 분야 외부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경기다산삼동대학 부학장인 임재욱 도농기원장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귀농열기를 농업·농촌의 활력화로 연계시키고 전문농업경영인의 자질을 강화해 FTA파고를 넘을 수 있는 경기농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14일 ㈜위럭스(사장 김영철)와 ‘LED 이용 버섯재배 기술 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이전된 기술은 도농기원이 2년간 연구 끝에 전국 최초로 개발한 ‘LED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및 느티만가닥버섯 재배방법’으로, 기존의 형광등 재배에 비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재배비용을 절감하는 신기술이다. 청색LED를 활용해 버섯을 재배하면 기존의 형광등 처리구 재배에 비해 에르고스테롤 함량이 4배, 항산화활성이 2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타리버섯은 청색과 백색을 혼합한 LED를 이용하면 상품수량이 14% 증가되고 형광등에서 재배한 것보다 균일도가 높아 품질이 우수하며 빈번한 형광등 교체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전기사용료도 약 70%를 절감할 수 있다고 도농기원 측은 설명했다. 버섯류에 들어있는 에르고스테롤은 자외선에 의해 비타민D2로 전환되는 물질로, 주요 기능은 어린이와 임산부, 뼈의 노화가 시작되는 중년 이후의 사람에게 뼈의 연화방지 및 구루병을 예방하며, 체내에서 칼슘 성분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한다. 임재욱 도농기원장은 “연구된 기술을 LED 전문개발업체인 위럭스에 기술 이전해 대량생산의 기반이 조성됐다”며 “보다 저렴한 L
소자본으로 20개 도넛매장을 운영해 고수익을 벌고 있다는 경험담이 나온 광고를 접한 A(36)씨는 890만원을 투자해 판매점포 20곳을 소개받았다. 하지만 물품 납품 이후 반품이 속출하고 소개받은 20곳 중 3~4곳만 재주문이 들어와 결국 영업 3개월만에 사업을 접고 현재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진행 중이다. 미용용품 관련 무점포 창업을 통해 한 달에 500만원을 벌 수 있다는 광고를 접한 B(53)씨는 960만원을 지불하고 지사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광고와 달리 판매가 이뤄지지 않아 계약을 해지하려 했으나, 계약금도 반환되지 않아 본사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존재하지 않은 인물을 내세운 허위광고를 통해 무점포창업 희망자를 모집한 업체들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4일 무점포창업 지사를 모집하면서 허위·과장광고를 한 태성을 검찰에 고발하고, 큐큐에프엔씨는 과징금 1천700만원을 부과했다. 도넛 등 제과류 도매업체인 태성은 창업자를 모집하는 신문광고를 통해 고소득을 얻고 있는 50대 여성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러나 사례에 나온 여성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인물로 밝혀졌다. 화장품 등 미용용품 도매업체인 큐큐에프앤씨도 1천만원 투자로 월순익 700
농협은 올해 3천272억원 규모의 비료와 농약 등 영농자재를 무상으로 지원한다고 13일 밝혔다. 종류별 지원액은 비료 918억원, 농약 1천252억원, 일반자재 등 기타자재 1천102억원으로 지난해 3천34억원보다 7.8% 늘었다. 농협은 또 농기계를 구입해 직접 또는 책임운영 농가를 통해 농작업을 대행해 주는 ‘농기계은행 사업’을 올해도 진행, 전체 벼 재배면적의 20%를 농작업으로 대행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벼 재배면적의 25%까지 담당한다. 농협은 이를 위해 오는 19일 평택시 팽성읍에서 농업인, 농림수산식품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풍년을 기원하고 원활한 영농자재 공급을 위한 행사를 열 예정이다. 이날에는 외국인 근로자가 직접 농기계은행 사업용 트랙터를 운전해 논갈이작업을 시연하는 행사도 진행된다. 이병국 농협중앙회 자재부장은 “농촌지역 고령농, 부녀농의 영농 지원을 위해 농작업대행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농업인의 영농비용을 덜어주기 위해 영농자재 무상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농협은 매년 2천300억원 규모로 지난 8년 간 1조8천693억원의 영농자재를 무상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서울경기지사는 경기지역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해 2012 국제박람회 참가 지원대상 55업체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국제박람회 참가업체는 경기도 2012년 농식품 수출 7억 달러 달성을 위한 해외마케팅사업의 일환으로 8천만원의 예산을 투입, 1회당(연간 3회 이내) 200만원 범위 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78개업체를 대상으로 8천300만원을 지원했다. 지원되는 사업비는 통역비, 물품운송비, 비품임차비 등 국제박람회 참가에 소요되는 부대비용으로 참가업체의 비용부담을 경감시켜 경기도 농식품의 수출활성화를 촉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aT 서울경기지사 관계자는 “도내 업체가 국제박람회 참가에 소요되는 비용을 정부와 경기도가 함께 예산을 지원하는 것으로 경기도 농수산식품 수출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갤럭시S2’의 운영체제(OS)를 13일부터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S)’로 업그레이드 한다. 제품을 ICS로 업그레이드 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해 잠금을 해제하는 ‘페이스 언록(Face Unlock)’,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스냅샷(Snapshot)’, 다양한 효과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포토 에디터’ 등의 기능이 추가된다. 삼성전자의 키스(Kies) 프로그램을 통해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 내려받을 용량이 커 ‘OTA(Over The Air)’ 무선 업그레이드는 지원하지 않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국내에서 ‘갤럭시 노트’·‘갤럭시S2 LTE’·‘갤럭시탭8.9’·‘갤럭시탭10.1’도 순차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업그레이드는 한국을 비롯해 폴란드, 헝가리, 스웨덴 등에서도 진행된다.
“월급도 오르지 않은 상황에서 물가까지 상승해 가뜩이나 힘든 서민들을 대상으로 예대마진으로 큰 이익을 챙겨 보너스 잔치까지 벌이는 은행들의 행태에 치가 떨립니다.” 직장인 김모(37) 씨는 최대 순이익을 달성한 은행들이 조만간 이를 보너스로 지급한다는 소식을 듣고 혀를 차며 이같이 말했다. 1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끼고 새집을 마련했으나 최근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자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그에겐 은행들의 보너스 잔치가 좋게 보일 리 없다. 은행들이 올 들어 신용대출 금리를 올리면서 예금금리는 오히려 내려 서민들의 이자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는 가운데<본지 12일자 14면 보도> 이를 통해 얻은 이익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일 예정이어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일부 중소기업과 서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12일 외환, 하나, 신한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에 따르면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지난해 순익을 확정한 이들 은행들은 빠르면 이달 중 보너스를 지급할 예정이다. 외환은행의 경우 하나은행과의 인수합병에 따른 위로금 명목으로 기본급의 500%를 지급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급 시기와 방법 등이 현재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확정될 경우 1인당 최소 1
전통시장에서 물건을 살 때 전화로 현금영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게 됐다. 국세청은 12일 “올해부터 전통시장에서 사용한 현금영수증에 대한 소득공제가 확대됨에 따라 일반 전화기로도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자동응답(ARS) 시스템을 개발해 개통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에서 현금영수증·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소득공제를 총급여액의 25% 초과 시 30%(종전 20%)로 확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금이나 온누리상품권으로 물건을 구매한 소비자의 현금영수증 발급요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영세상인이 많은 전통시장에서는 현금영수증 발급을 위한 신용카드 단말기나 인터넷PC 설치업소가 별로 없어 소비자 불편이 적지 않을 것으로 우려됐다. 전통시장에서 현금영수증을 전화기로 발급받으려면 국번 없이 ☎126번에 접속해 안내에 따라 거래내역을 입력해야 한다. 거래내역은 국세청으로 보내진 뒤 다시 구매자에게 즉시 문자로 전송된다. 국세청은 사업자의 현금영수증 발급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가맹점에 대해선 부가가치세 신고 시 발행금액의 1.3%, 연간 700만원 한도에서 세액을 공제하고 소득세 신고시에는 5천원미만 현금영수증마다 건
귀농·귀촌을 원하는 도시민을 위한 통합센터가 설치된다. 농촌진흥청은 그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농진청·농어촌공사·농협 등에서 수행하던 귀농귀촌 지원업무를 통합한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수원 서둔동에 설치, 운영에 들어간다고 12일 밝혔다.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이사한 가구수(농림수산식품부 집계)는 2001년 880가구였던 것이 2005년 1천240가구, 2010년 4천67가구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1만503가구, 2만3천여명이 농어촌으로 이사했다. 올해에는 약 2만가구가 농어촌을 새로운 삶터로 선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추세에 맞춰 귀농귀촌종합센터는 농업정책, 품목별 전문기술, 금융정보는 물론이고 농지 구입과 빈집 정보, 귀농 희망지역 동향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합센터에는 농진청과 농어촌공사, 농협 직원 12명이 합동으로 근무한다. 구체적 귀농 계획이 잡히면 농진청 농촌현장지원단 기술위원과 전문 연구기관 연구원이 품목별 재배기술에 대한 일대일 상담을 실시한다. 또 농어촌 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 167개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귀농귀촌상담실’과 연계해 귀농귀촌 선배나 농촌지도자와의 멘토링제, 귀농귀촌 자율모임 등을 추진한다. 통합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