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신교통카드시스템 독자개발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본지 4월 27일 1면) 서울시에서 제안한 ‘통합요금 거리비례제’ 수용에 난색을 표명하는 등 요금체계 확정을 놓고 또 서울시와 대립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가 제안한 거리비례제가 도입될 경우 상대적으로 장거리 노선이 많은 도내 주민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29일 경기도와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광역대중교통체계가 7월부터 바뀜에 따라 간?지선버스 372개 노선(7천154대)을 최종 확정했으며, 이어 다음주 중 수도권과 서울을 잇는 광역버스 43개 노선(769대)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도에 버스나 전철 등 교통수단간 환승에 관계없이 이용거리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통합요금 거리비례제’도입을 제안한 상태다. 그러나 신교통카드시스템 독자개발쪽으로 가닥을 잡은 도는 서울시에서 제안한 ‘통합요금 거리비례제’ 역시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어 요금부과 방안 마련이 늦어질 경우 주민들이 교통불편을 겪을 것이 불 보듯 뻔하게 됐다. 통합요금 거리비례제는 택시처럼 버스나 지하철 기본요금 구간을 3㎞(700원)나 5㎞(800원), 10㎞(850원)로 설정하고, 매 3㎞를 초과할 경
경기도가 도내 교통사고 다발지역 251곳에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다이오드) 신호등을 설치한다. LED신호등은 전기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키는데 빠르고 정확해 교통사고 다발지역에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기도는 올해 37억원을 배정하고 성남 24곳 수원 22곳 안산과 고양 각각 20곳 등 교통량이 많은 도시의 간선도로축과 중요교차 251곳을 선정해 LED신호등을 설치한다고 28일 밝혔다. LED신호등은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우선으로 기형적인 교차로, 간선도로, 어린이보호구역 순으로 각각 설치된다. 도는 이 신호등이 대당 95만원에서 발주되는 점을 감안해 배정된 예산이 남을 경우 교차로 신호등면수에 따라 지점을 확대,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LED신호등은 전기신호를 적외선과 빛으로 변환시켜 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수명이 길어 최근 설치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교통사고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설치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환경단체 및 불교계의 개발중단 요구가 끊이질 않았던 화성 태안3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용주사와 융.건릉 등 문화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추진된다. 28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 화성시, 주택공사 등 관계자들은 이날 ‘태안3지구 택지개발사업’ 회의를 개최하고 화성시 용주사 인근 지구사업을 융?건릉과 용주사간 녹지축을 단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개발하는 것에 잠정 합의했다. 우선 도와 화성시는 용주사 인근 태안3지구내 관통도로(1번도로 서부우회도로, 왕복 6차선)를 지하화하기로 잠정 결론을 내리고 융.건릉과 용주사간 녹지축 단절을 막기로 했다. 지하화에 따른 총연장과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시행자인 주택공사와 긴밀히 협의키로 했다. 또 난개발을 막기 위해 태안3지구내 용주사와 융.건릉 사이 부지 2만3천여평을 녹지축으로 보존키로 하고 비용 또한 실무협의를 거쳐 확정지을 방침이다. 사업지구내 건립되는 주택도 지구단위계획을 최대한 강화, 지하층을 만들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2-3층의 전통양식 형태로 주택을 건축키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주택지역내 전통 또는 나무 등을 이용한 생울타리를 설치하고 건축물의 지붕도 전통형식으로 하도록
경기도 세외수입이 지난해 8천억원이 줄어든데 이어 올해도 3천억원이 감소될 것으로 보여 도가 추진하고 있는 대규모 중.장기 사업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특히 매년 11%씩 증가하는 취.등록세, 면허세 등 지방세 역시 주택거래 부진, 기업이전 등 세수둔화 요인이 3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안정적인 예산 확보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방중기재정계획(2003-2007)을 마련하고 지방세 32조4천억원, 세외수입 8조7천억원, 지방교부세 및 양여금 등 12조9천억원을 포함해 총 54조원의 세입계획을 확정했다. 그러나 2007년까지 세입예산 중 세외수입 부문은 2003년 2조5천억원에서 2004년 1조7천억원(△8천억원) 2005년 1조4천억원(△3천억원), 그리고 2007년 1조5천억원 등 매년 평균 10.5%씩 감소해 도가 추진하는 대형사업이나 연속사업이 중단되거나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3년도 세외수입 중 순세계잉여금과 이월금이 각각 1조8천억원과 680억원에서 2007년 4천500억원과 50억원으로 대폭 감소하는 등 사업 소요예산을 제대로 산출하지 못해 예산운영에 미흡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도는 세입
경기도가 북한 룡천 피해주민 구호물품을 지원하는 가운데 도내 민간단체들도 ‘연합의료지원단’을 구성하는 등 구호손길에 본격 나서고 있다. SAM의료복지재단과 글로벌케어, 샘안양병원(효산의료재단) 등 경기지역 의료봉사단체 및 의료기관들은 27일 북한 룡천지역 주민들을 돕기 위한 ‘연합의료지원단’ 발대식을 가졌다. 연합의료지원단은 샘안양병원 5명, 글로벌케어 2명 등 의사 7명, 간호사 3명, SAM의료복지재단 직원 1명과 지원방안을 찾기 위한 현지상황 파악 조사요원 2명(도청직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원단은 28일 중국 단둥지역에 들어가 현지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단동복지병원(SAM의료재단 설립) 의사들과 함께 북한측에 입국해 의료지원을 할 수 있는지 여부 등 실태파악에 들어가는 한편 룡천지역내 의료지원활동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샘안양병원 박상은 원장은 “28일 중국으로 출국하는 10명은 현지 실태를 파악하는 선발대 개념으로 의료진이 북한에 입국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게 된다”고 밝혔다. 지원단은 북한측이 의료진의 진입을 허가할 경우 룡천 폭발참사지역으로 들어가 의료지원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또 룡천지역 입국이 안 될 경우 부상자들
30일 개장을 앞두고 있는 일산 호수공원내 ‘노래하는 분수대’가 허술한 사업계획으로 공사가 지연되면서 사업비가 3배 이상 늘어나는 등 혈세를 낭비하면서 건립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도와 시에 따르면 도는 지난 99년 4월부터 총 공사비 244억원을 투입해 고양시 일산 호수공원 내 1만5천639평 규모의 ‘노래하는 분수대’ 건립을 완료하고 오는 30일 개장식을 갖는다. 그러나 도와 시는 노래하는 분수대 건립을 추진하면서 공사비를 당초보다 3배 이상 늘려 투입하는가 하면 잦은 민원으로 공사를 2년 이상 지연시키는 등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또 사업초기 공사에 필요한 자재값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해 잦은 실시설계변경으로 공사비를 증액시켰으며 의회승인을 받지 못해 사업계획을 몇 번씩 수정하는 등 허술한 계획으로 공사를 강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도와 시는 노래하는 분수대 건립을 위해 당초 100억원(도 80억원, 시 2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었지만 잦은 실시설계 변경으로 사업비를 244억원(도 120억원, 시 124억원)으로 증액시켰다. 이와관련 고양여성민우회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2002년 예산증액 사실을 확인하고 도민의 혈세를 낭비한다며
지난 3월부터 모든 읍.면.동사무소에서 온라인으로 발급되고 있는 인감증명서가 시.군.구청에서도 발급된다. 또 인감증명서 발급현황을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어 위.변조 등의 인감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됐다. 행정자치부는 이같은 내용으로 하는 인감증명법 개정(안)을 24일부터 5월 13일까지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 주요개정 내용을 보면 그동안 시장, 구청장과 읍.면장이 관장하던 인감증명업무를 인감증명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 시장, 구수, 구청장이 관장토록 했다. 또 발급기관은 인간의 위.변조 등에 의한 인감사고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 은행이나 등기소 등 수요기관이 진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발급사실을 인터넷에 올리도록 했다. 인감말소를 신고하지 않고 국외이주신고 후 출국하는 자에 대해서는 재외국민 인감을 신고한 것으로 간주해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줄였다. 현재 민원인들은 말소된 인감을 신고를 통해 부활할 수 없었으나 앞으로는 본인이 신고한 말소인감은 절차에 따라 부활할 수 있게 된다. 행자부 측은 “현재 인감증명서는 주소지 읍.면.동사무소에서 발급돼 민원인들의 불편이 가중돼 왔다”며 “정보화 추세에 맞는 인감업무를 전산화하고 간편화로 연간
경기도는 올해부터 2005년까지 자체사업으로 30개소의 위험도로를 정비한다. 또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국비 1천970억원을 지원받아 지방도, 시도, 군도 등 총 160개소(254.83km)의 위험도로를 개선한다. 26일 도에 따르면 도는 교통사고를 줄이고 주민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총 256억원을 투입해 의정부 남양주 포천 등 5개 시?군의 위험도로 30개소를 정비한다. 정비도로를 보면 의정부시 고산동가갯말입구-고산초교(1.3km) 고산초교-송산길(6.5km)이 올해부터 새롭게 정비되고 낙양동송산초교-고산동(1.5km) 구간은 지난해부터 2005년까지 정비가 완료된다. 또 남양주시 진건면 용정리-오남면(3.0km) 퇴계원-국도 47호선(3.0km),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마정리(0.9km), 포천시 창수면가양리-영평리(4.9km) 영종면 성동리-이동면(6.6km) 하현면지현리-하현리(6.5km), 양주시 광적면-효촌리등 14건 등이다. 한편 도는 국비사업으로 총 1천970억원을 지원받아 올해부터 2008년까지 지방도 99개소, 시도 30개소, 군도 31개소 등 총 160개소를 정비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유(100원/ℓ)와 LPG(126원/ℓ)에 대한 유가보조금이 당초 취지와는 달리 형평에 어긋나 지급돼 소요액 판단기준의 획기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26일 도내 유가보조금 현황에 따르면 도내 11만여대의 버스, 택시, 화물차 등에 지급된 보조금은 2001년 221억7천만원, 2002년 382억7천만원, 2003년 965억4천만원으로 유가인상에 따라 큰 폭 늘었다. 이중 화물차(8만7천대)는 2001년 47억5천만원, 2002년 89억4천만원, 2003년 278억7천만원으로 보조금 지급폭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물차에 대한 보조금이 늘어난 반면 업체들은 지급기준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실제 안양시에서 운송업을 하는 장모씨는 지난 하반기 수백만원의 보조금을 지급 받았지만 인근 도시의 50%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민원을 제기했다. 장씨는 이에 대해 “건교부는 차량 보유대수나 화물량, 그리고 운행거리와는 상관없이 일정액을 배정해 놓고 분할해 지급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업체들은 차량보유대수가 적은 시?군으로 사업장을 옮기는 기현상이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건교부는 보조금
경기도가 서울시의 일방적인 교통카드시스템 도입 제안을 거부하고 독자개발로 기본방침을 세운 가운데 지자체간 교통카드가 상호호환되지 않을 경우 시민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26일 도에 따르면 서울시는 대중교통체계 개편과 관련, 신교통카드의 이름을 ‘티머니(T-MONEY)’로 결정하고 오는 7월 1일부터 292개 노선(4천450대)에 도입한다. 이와관련 도는 서울시와 서울도심과 수도권지역을 연결할 광역버스 43개 노선과 도내 140개 노선(3천700여대)에 호환가능한 신교통카드 도입을 놓고 협의해왔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가 도의 단독개발안을 수용할 수 없는 입장을 거듭 밝히자 도는 경기도버스운송조합과 공동으로 교통카드시스템 독자개발로 가닥을 잡았다. 특히 교통카드시스템 구축 전문 업체인 인텍크산업(주)이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안)에 참여의사를 적극 표명하고 있어 독자구축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와 시가 개발한 교통카드시스템을 호환할 수 없을 경우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 측은 도의 독자개발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한편 자체개발한 신교통카드 단말기에 기존 경기도카드 사용을 줄곧 제안해 왔던 터라 상호호환이 불투명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