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력한 부동산정책으로 경기도내 미분양아파트는 급증하는 반면 주택건설 및 건축허가 건수는 급격히 줄어 건설경기 위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 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8천17가구로 지난해 같은 시기 2천250가구에 비해 무려 256%나 대폭 늘어났다. 특히 상반기 미분양아파트는 올해 1월 6천474가구에 비해서도 23.8% 증가한 것으로 경기침체에 따른 주택거래가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미분양 아파트 가운데 전용면적 60-85㎡ 아파트의 경우 지난해 6월말 1천197가구에서 올 6월 5천947가구로 397%나 늘었다. 반면 주택건설 실적은 지난 6월말 현재 3만2천44가구(단독 1천463가구, 다가구주택 1만4천700가구, 아파트 2만5천673가구 등)로 2003년 6월말 7만2천820가구(단독1천348가구, 다가구 1만8천727가구, 아파트 5만5천900가구 등)에 비해 56.0% 감소했다. 건축허가 연면적 역시 지난 6월말 현재 1천495만649㎡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1천931만4천370㎡에 비해 22.6% 감소했다. 건축허가 면적 가운데 주거용의 경우는 감소폭이 더욱 커 지난해 6월말 722만204㎡에서
경기도 시장.군수협의회가 정부의 행정수도와 공공기관 및 기업의 지방이전 반대결의문을 채택해 파장이 예상된다. 2일 도와 시장.군수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경기도 시장.군수협의회(회장 신중대 안양시장)는 국민여론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행정수도 및 공공기관.기업 이전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반대결의문을 채택, 청와대 등 정부 관련부처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회는 결의문에서 “정부가 일방적인 이전정책으로 국가의 장래는 물론 국론분열과 국민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수도이전은 국가발전을 후퇴시키고 경제를 파탄시킬 수 있는 사안인 만큼 통일시대에 대비, 장기적 안목에서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공공기관 및 기업의 지방이전 역시 수도권의 자족기능과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수도권 역차별정책”이라며 “정부는 행정수도를 이전하는 대신 각종 규제를 과감히 푸는 ‘윈-윈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는 다음주 지방이전 공공기관 최종 발표될 것으로 보여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공조체제 구축과 이전 반대논리 개발에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도가 파악하고 있는 이전대상기관은 한국도로공사와 대한주택공사, 한국마사회 등 60곳
‘자연발생유원지’ 61곳서 입장료 외 바가지요금.자릿세징수 성행 우려 마을회.부녀회 등 지역소득 높이려고 토속품 강매, 돗자리 비용 부담 도.지자체, “암암리 성행하고 인력 부족해 단속 현실적 어려움” 호소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행락철에 접어들면서 도내 자연발생유원지 일부에서 바가지요금과 자릿세징수 등의 불법행위가 성행하고 있어 행락객들의 주위가 요망된다. 특히 도와 일부 시.군이 암암리에 성행하는 바가지요금 부과와 자릿세 강요행위에 대한 단속이 어렵다고 밝혀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일 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본격적인 행락철을 맞아 도내 국립.도립공원, 관광지, 자연발생유원지 등 총 92개소가 행락객들을 맞을 준비를 끝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그러나 일부 마을회나 부녀회, 노인회 등은 자연발생유원지를 관리?운영하면서 술, 더덕, 나물 등 지역 토속품을 2배 이상 비싼 값에 판매해 말썽을 빚고 있다. 또 행락객을 대상으로 평상이나 돗자리를 제공하고 입장료 외에 5천원에서 1만원까지 자릿세를 받는 행위도 성행할 것으로 보여 행락객들의 주위가 요구되고 있다. 본청지역 자연발생유원지는 시흥 15곳, 양평 11곳, 군포 3곳, 안양 안성 여주 각각 2
임창열 전 경기도지사는 현재 정부와 정치권의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통일을 대비한 이전이 수반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토의 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행정수도 이전과 함께 수도권을 경제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고 밝혔다. ▲신행정수도 이전시 고려될 가장 큰 문제는. -행정수도 이전 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남북통일 후 통일 행정수도에 대한 논의다. 국회나 정부에서 통일 후 행정수도에 대한 대안이나 비전이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 긴장완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황에서 통일문제를 고려하지 않는 단순한 이전은 국가적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참여정부가 추진하는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대선당시 찬성이 반대보다 10% 정도 앞섰지만 현재는 반대가 찬성보다 오히려 10% 정도 많다. 결국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국민적 생각이 양분돼있다. 행정수도를 옮겨야 한다면 통일 후 어떻게 하겠다는 비전과 국민적 논의가 있어야 한다. ▲수도권을 경제수도로 육성하는 정책에 대해. -세계적인 100대 기업진출 현황을 보면 서울에는 1개뿐이지만 중국 베이징에는 이미 5개나 들어와 있다. 정부나 지방정부
대한주택공사가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채 국민임대주택 건설사업을 추진해 임대주택 100만호 건설계획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주공에 대한 감사원 감사결과 임대주택 건설자금이 23조원이나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 자칫 임대주택 축소나 아파트분양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1일 감사원과 대한주택공사에 따르면 오는 2012년까지 매년 10만호씩 모두 100만호의 국민임대주택을 건설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이 사업비 부족으로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주공의 2004년도 재무에 대해 감사원이 감사한 결과 주공은 임대주택 건설을 위해 모두 79조5천660억원을 확보하는데 반해 실제 건설비는 103조3천450억원으로 총 23조7천790억원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임대주택 관리비용 3조4천399억원을 포함할 경우 부족자금은 27조2천189억원에 달해 재무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주공은 재무계획을 포함한 ‘중장기 경영계획’을 전혀 수립하지 않은 채 국민임대주택 건설을 추진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교통부 역시 정부재정, 국민주택기금, 입주자부담금 및 사업시행자 사업비 분담액 등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지 않고 수수방관했다는
경기도운수연수원이 업무특성상 교통사고에 많이 노출돼 있는 운수종사자를 위해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교통사고 상담실’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1일 경기도운수연수원에 따르면 연수원내 설치된 ‘교통사고 상담실’ 상담건수가 처음 설치된 지난해 540건에서 올 상반기 506건으로 집계됐다. 이 추세에 따라 올 상담건수는 1천여건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해마다 교통사고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로 보면 1월과 2월 각각 53건에서 3월 85건, 4월 102건, 5월 96건, 6월 117건으로 월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이 중 교통사고처리에 대한 상담이 324건, 법률자문이 182건으로 각각 조사됐다. 상담건수 중 비사업용차량은 459건(91%), 비사업용은 47건(9%)이었으며 전화가 377건, 방문이 129건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수연수원은 상담실 상주인원을 1명에서 3명으로 보강하고, 자문변호사와 5명의 상담전문위원을 선임, 교통사고상담실을 운영하고 있다. 운수연수원 기획팀장은 “지난해 도의원들의 지적에 따라 운수종사자 교육과 함께 교통사고에 대한 법률적 자문을 위해 신설했다”며 “앞으로 일반 자가운전자들도 폭넓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경기도가 각종 시설물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최소적용기준을 마련함에 따라 초등학교 앞 등 하교길 안정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도는 보행자 안전확보를 위해 각종 시설물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시 초등학교 앞 보도의 폭을 5m이상으로 하고 단독주택용지의 경우 1세대당 1주차공간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혓다. 도 학생들의 등?하교길 안정을 위해 학교 주변 진입도로 폭을 좁혀 자동차 속도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교통영향평가 최소적용기준;을 마련, 각종 시설물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시 사업시행자가 이를 반영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 기준에 다르면 학교 인근 보도의 경우 3m, 학교앞 도로는 5m이상의 폭을 확보하도록 했으며 주요 통학로에 화단 또는 안전펜스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 학교안전지대 도로의 진입로 폭을 좁혀 차량 통행속도를 줄여나갈 계획이며 보도와 자전거 도로는 단절없이 설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각종 시설물의 지상주차장 설치를 최소화하고 단독주택용지 개발 시 1가구 1차량 주차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밖에 새로 만들어지는 모든 시설물은 보행자 안전확보를 위한 다양한 교통시설을 설치하도록 했다. 한
상당수 고속도로 휴게소 식당에서 유해 성분이 포함된 살충제를 뿌리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충격. 사단법인 환경정의는 29일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42곳을 조사한 결과 17군데 휴게소에서 식당 안에 살충제를 뿌리고 있었고, 이 가운데 7군데에선 살충제 속에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알려진 퍼메트린이 함유돼 있었다"고 설명. 환경정의는 특히 "일부 휴게소 식당엔 음식물이 제공되는 배식구 위에 자동분사기가 설치돼 있어 식당 이용객들이 살충제를 뿌린 음식을 먹게 된다"고 주장. 퍼메트린은 각종 알레르기 질환과 피부염 등을 유발하고,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에겐 유해하다는 후문.
경기도 건설본부가 환경단체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남한강 정비사업을 추진하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된다. 27일 도 건설본부에 따르면 건설본부는 홍수 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남한강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백석리(4.9km) 구간의 준설사업을 늦어도 8월말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음주 중 자체 실시한 사전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한강유역환경청에 통보하고 사업타당성 검토 후 여주군과 의회, 환경단체와 설명회를 갖고 본격 하도준설에 돌입한다. 건설본부는 백석리 공군사격장 일원에 있는 철새도래지 2곳을 하도준설사업 대상에서 제외하고 하도준설 시 환경단체를 참여시킬 방침이다. 또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제방을 쌓기 보다는 바닥모래를 채취하기 때문에 홍수위가 67cm 낮아진다는 것이 건설본부의 설명이다. 건설본부 관계자는 “모래채취로 얻어지는 187억원의 수입은 제방공사, 생태공원 조성, 하천정화시설 설치 등에 모두 사용하게 된다”며 “앞으로 여주군의회나 환경단체들과 사업시행에 대해 적극적으로 합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여주환경운동연합 등 30여개 환경단체들이 남한강 정비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는 한편 ‘남한강살리기 범시민 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치고 있어 사업시행여부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난 5년간 물 값을 대폭 인상하면서도 정부에서 출자한 예산을 엉뚱한 곳에 사용한 것으로 밝혀져 서민생활고를 무시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특히 감사원이 시설투자재원 일부를 부채상환에 사용한 것은 국고낭비라고 지적해 수자원공사의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감사원이 한나라당 김재경 의원에게 제출한 수자원공사의 2004년 재무감사 결과자료에 따르면 수자원공사(이하 공사)는 지난 99년부터 2003년까지 정부로부터 댐 보상비 8천90억원, 수도건설비 1조4천679억원 등 총 2조2천769억원을 지원받았다. 또 공사는 이 중에서 수도사업 1조171억원, 댐 사업 6천477억원 등 모두 1조6천648억원의 시설투자 재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공사는 이 중 1조121억원만 사용하고 나머지 6천500억원을 부채상환에 써 부채비율을 지난 99년 41.5%에서 2003년 25.1%로 대폭 낮췄다. 공사는 톤당 생산단가를 99년 206.73원에서 2001년 241.54원, 2002년 266.17원, 2003년 275.30원으로 매년 수도요금을 인상했다. 또 실제 공급단가는 99년 152.96원에서 2001년 193.23원, 2002년 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