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민(22·한체대)이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에서 한국에 4번째 금메달을 안기며 종주국의 위상을 드높였다. 차동민은 23일 베이징과학기술대 체육관에서 열린 태권도 남자 80㎏급 결승에서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그리스)를 5-4로 제압했다. 이로써 차동민은 태권도가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뒤 한국의 황금체급으로 자리잡은 남자 80㎏이상급에서 김경훈(시드니)과 문대성(아테네)에 이어 3회 연속 정상을 지켜냈다. 또 이번 대회 여자 57㎏급 임수정(21·경희대)과 남자 68㎏급 손태진(19·삼성에스원), 여자 67㎏급 황경선(21·한체대)에 이어 마지막을 금빛 발차기로 장식하며 한국이 출전한 4체급을 모두 석권하는데 화룡정점을 찍었다. 이날 차동민의 금메달 획득으로 한국의 국기(國技)인 태권도는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출전한 전체급 석권이라는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게 됐다. 한국의 종전 최고성적은 2000년 시드니 대회 때 금 3, 은메달 1개였고, 2004년 아테네 대회에서는 금 2,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1, 2회전에서 크리스토퍼 모이틀랜드(코스타리카)와 아크말 이르가셰프(우즈베키스탄)를 연파한 차동민은 4강에서 앙헬 발로디아
류가람(안양 귀인중)이 제28회 대한체육회장배 전국 인라인롤러대회 여자 중등부에서 최우수선수로 선정됐다. 류가람은 23일 전남 나주인라인롤러경기장에서 막을 내린 여중부 3천m 계주(4분35초881)와 1만m 제외포인트경기(24점), 5천m 포인트경기(14점)에서 잇따라 정상에 오른며 3관왕에 오른 것에 힘입어 이번 대회 여중부 최우수선수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남대부에서는 타임 300m(25초214)와 500m(42초817), 3천m 계주(4분30초429)에서 3개의 금메달을 목에 건 김민호(경기대)가 최우수선수로 선정됐고, 이슬(인천 신송고)도 여고부 1만5천m 제외경기 금메달과 1만m 제외포인트경기 은메달을 획득하며 최우수선수의 대열에 합류했다. 한편 이날 여초 A조 3·4학년부에서는 송혜원(안양 평촌초)이 300m(31초805)와 500m(53초231)에서 2개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남희준(성남 미금초)도 여초 B조 3·4학년부 500m(55초077)와 1천m(1분59초669)에서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이밖에 남초 B조 1·2학년부 이원형(의왕 왕곡초)과 3·4학년부 양선호(오산초), 5·6학년부 김명준(안양 부림초)과 김대한(오산초)도 각각 2
이혜선과 이주원(경기체고)이 2008 청풍기 전국초·중·고유도대회에서 나란히 여자 고등부 2관왕에 등극했다. 이혜선은 22일 청주 올림픽국민생활관에서 막을 내린 여고부 63㎏급 결승전에서 누르기 한판으로 팀 동료 박지혜를 제압하고 금메달을 획득, 첫 날 단체전 우승에 이어 2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또 여자 고등부 최중량급(+78㎏) 이주원도 결승에서 팀 동료 이윤신에게 지도승을 거두고 정상에 올라 역시 단체전 우승에에 이어 두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고부 66㎏급에서는 안요한(경기체고)이 결승에서 김봉준(전남 보성고)를 꺾고 우승했고, 이승수(경기체고)도 남고부 73㎏급 결승에서 팔라고누워 꺾기 한판으로 이정민(포항 동지고)을 누르고 정상에 동행했다. 이밖에 남고부 60㎏급 노승태, 81㎏급 김형기, 100㎏급 김태욱, 여고부 57㎏급 박지윤, 78㎏급 김혜인(이상 경기체고)은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고, 여고부 52㎏급 박세영과 +78㎏급 윤보라(이상 경기체고)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용인 양지초가 제9회 증평인삼배 전국장사씨름대회 초등부 단체전에서 정상에 올랐다. 양지초는 21일 충북 증평종합스포츠센터에서 막을 내린 초등부 단체전 결승에서 장용진과 성우재, 나용수, 전민근 등 주전 선수들이 고른 활약을 펼치며 동명초(서울)에 4-3으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이로써 양지초는 올시즌 대통령배 우승에 이어 2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결승 첫 대결에서 황용익이 배지기와 안다리로 상대 손은석에게 패해 기선을 빼앗긴 양지초는 장용진이 앞무릎치기와 안다리로 동명초 손명진을 꺾어 어깨를 나란한 뒤 성우재가 배지기와 들배지기로 조현우를 눌러 2-1로 전세를 역전 시켰다. 이어 양지초는 박건우가 잡채기 두번에 상대 김진용에게 무릎을 꿇어 동점을 허용했으나 나용수와 전민근이 들배지기와 끌어치기로 동명초 장성진과 이승필을 모래판에 눕혀 우승을 확정 지었다. 한편 이상엽(용인 백암중)은 중등부 용사급 결승에서 황성희(진주남중)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 올시즌 대통령기와 소년체전, 선수권 우승에 이어 4관왕에 오르는 위업을 달성했다. 또 중등부 청장급 이세웅(백암중)은 결승에서 김설(봉래중)을 누르고 올시즌 선수권 우승에 이어 두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안요한(경기체고)이 2008 청풍기 전국중·고등학교 유도대회 남자 고등부 66㎏급에서 우승했다. 안요한은 21일 충북 청주 국민생활관에서 열린 남고부 66㎏급 결승에서 안오금뛰기 한판으로 김봉준(전남 보성고)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 올시즌 하계중고연맹전 우승에 이어 2관왕에 오르는 기쁨을 누렸다. 준결승에서 김지웅(서울 문일고)을 팔가로누워꺾기 한판으로 제압하고 결승에 오른 안요한은 어깨로메치기 유효를 성공시켜 앞서 나간뒤 시원한 안오금뛰기 한판으로 김봉준을 매트에 내리꽂아 승부를 결정 지었다. 남중부 51㎏급 에서는 주철진(광명 광문중)이 박종명(충북 온양중)에게 들어메치기 유효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안바울(안양 범계중)도 남중부 55㎏급 결승에서 어깨로메치기 유효로 윤지상(양평 용문중)을 누르고 정상을 차지했다. 또 권유정(수원 권선중)과 최수희(범계중)도 여중부 45㎏급과 48㎏급 결승에서 모두걸기 효과와 안뒤축 효과로 김지송(광주체중)과 박혜진(전남 관산중)을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고, 남초부 36㎏급에 나선 유도완(양주 가납초)도 결승에서 박준호(강원 장양초)를 누르고 정상에 동행했다. 이밖에 남고부 60㎏급 노승태(경기체고)와 55㎏급
경기도체육회는 한·중·일 국제스포츠교류를 위해 중국 요녕성을 방문한다. 도체육회는 21일 국제스포츠 교류(축구·농구)를 통한 기술교류 및 문화체험, 상호 우호 협력을 도모키 위해 오는 25일부터 29일까지 도와 자매결연 관계인 중국 요녕성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이번 중국 요녕성을 방문하는 도대표단은 도체육회 한영구 처장을 단장으로 임원 10명과 선수 24명(축구 15·농구 9) 등 34명으로 구성됐으며 요녕성 및 일본 가나가와현의 축구 및 농구 선발팀과 친선경기를 펼친다. 25일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는 도대표단은 같은날 오후 5시 요녕성 등위평 부성장을 예방하는 것으로 일정을 시작하며 25일 요녕대학에서 개회식을 갖은 뒤 27일에는 실험북교와 요녕대학에서 일본 선발팀과, 28일에는 요녕성 선발팀과 각각 친선경기를 펼칠 예정이다. 이와함께 도대표팀은 요녕성 고궁 및 박람회장, 실험북교 견학 등을 통해 중국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갖는다. 한편 한·중·일 스포츠교류는 지난 2004년 도에서 처음 실시한 이후 3개 도시를 순회해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이번에 도대표로 선발된팀은 부천 정명고 축구팀과 수원 제일중 농구팀이다.
‘우리 생에 최고의 순간’은 재현되지 않았다. 임영철 감독이 이끄는 한국 여자 핸드볼대표팀은 21일 베이징 올림픽스포츠센터에 열린 베이징올림픽 여자핸드볼 준결승에서 노르웨이에게 28-29, 1점차로 아쉽게 패했다. 한국은 경기 종료 직전까지 손에 땀을 쥐게하는 접전을 펼치며 선전을 펼쳤으나 버저비터와 함께 터진 노르웨이의 결승골에 고배를 마셔야 했다. 이로써 결승 진출에 실패한 한국은 동메달을 위한 3-4위전을 치르게 됐다. 한국은 초반 노르웨이와 치열한 접전을 펼쳤고, 맏언니 오석옥이 팀 득점을 주도하며 팽팽한 승부를 이어가며 전반을 15-14, 1점을 앞선 채 마쳤다. 그러나 한국은 후반 들어 집중력이 떨어지며 잦은 공격범실을 범했고, 결국 노르웨이 요한센과 한메르센에게 연속골을 내주며 15-17로 역전 당했다. 한국은 이후 홍정호의 골을 신호탄으로 추격전을 펼쳤으나 번번히 상대 수비벽에 막히며 경기 흐름을 쉽게 되돌리지 못했고, 문필희와 홍정호의 슛이 연거푸 노르웨이 골키퍼의 선방에 막히는 등 골운도 따르질 않았다. 결국 한국은 후반 내내 3~4점차로 노르웨이에게 끌려다녔다. 그러나 마지막 혼신의 힘을 짜낸 한국은 경기 종료 3분여
‘태극 남매’ 임수정(22·경희대)과 손태진(19·삼성에스원)이 화려한 금빛 발차기로 한국 선수단의 9, 10번째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임수정은 21일 베이징 과학기술대 체육관에서 열린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 여자 57㎏급 결승에서 왼발 돌려차기로 터키의 아지제 탄리쿨루를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6강에서 강적 대만의 수리웬을 1-0으로 제압한데 이어 8강과 4강에서 뉴질랜드의 로빈 정과 이탈리아의 베로니카 칼라브레세를 각각 4-1, 5-1로 완파하며 상승세를 탄 임수정은 결승 1회전에서 1점 감점을 당해 힘든 승부를 예고 했다. 그러나 임수정은 2회전에 들어 돌려차기로 1점을 획득하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린 뒤 3회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 왼발 돌려차기를 극적으로 성공시켜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임수정에 이어 남자 68㎏급 결승에 오른 손태진은 ‘강적’ 미국의 마크 로페즈를 3-2로 제압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손태진은 경기 시작과 동시에 앞돌려 차기로 1점을 얻은 뒤 공격해 들어오는 마크 로페즈를 돌려차기로 맞받아쳐 1점을 추가했다. 그러나 손태진은 2회전에서 마크
‘태극 남매’ 임수정(22·경희대)과 손태진(19·삼성에스원)이 나란히 금메달을 목에 걸며 종주국의 명예를 지켰다. ▶관련기사 20·21면 또 아테네올림픽의 영웅 문대성(32·동아대교수)은 아시아 출신 선수로서는 최초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으로 선정돼 한국 태권도의 위상을 드높였다. 임수정은 21일 베이징 과학기술대 체육관에서 열린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 여자 57㎏급 결승에서 터키의 아지제 탄리쿨루를 1-0으로 꺾었다. 8강과 4강에서 ‘강호’ 뉴질랜드의 로빈 정과 이탈리아의 베로니카 칼라브레세를 꺾으며 상승세를 탄 임수정은 결승 1회전에서 받은 경고로 1실점하며 힘든 승부를 예고했으나 2, 3회전에서 연속 돌려차기를 성공시키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남자 68㎏급 손태진은 미국의 태권도 명가 로페즈 가의 막내 마크 로페즈를 3-2로 누르고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2회전까지 2-2로 팽팽하게 승부를 펼친 손태진은 3회전 초반 1점씩을 주고 받은 뒤 결기 종료와 함께 오른발 돌려차기를 성공시켜 한국 선수단의 10번째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이날 ‘효자 종목’ 태권도에서 2개의 금메달을 보탠 한국은 금메달 10개로 ‘톱10’ 수성에 한
3, 4위에 이름을 올렸고, 중국의 황색탄환 류시앙은 1천386표를 획득하며 8위에 그쳤다. 이로써 한국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과 함께 2명의 IOC위원을 보유하게 됐다. IOC 선수위원의 임기는 8년이며 IOC 선수분과위원회에 소속되지만 동·하계올림픽 개최지 투표권 등 모든 권한을 일반 IOC위원과 똑같이 행사할 수 있다. 한국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때 쇼트트랙 출신의 전이경,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때는 루지의 강광배가 도전했지만 실패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