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테크노밸리 입주한 일부 기업들이 지난해 임대 장사를 통해 400억원이 넘는 부당이득을 올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새·노원갑) 의원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판교테크노밸리 일반연구용지에 입주한 21개 기업 중 13개 기업이 초과 임대로 지난해 437억여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 이들 13개 기업이 초과 임대한 건물 면적은 24만452㎡로 이 의원은 주변 시세를 감안, 3.3㎡당 월 임대료를 5만원으로 가정했다. 일반연구용지는 기업에 땅을 싼값에 공급하는 대신 임대비율(건물 연면적에서 임대가 가능한 면적의 비율로 사업계획에 따라 0∼54%)을 제한하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목적인 첨단 연구개발단지를 지향하기 위해서다. 지난달 말까지는 모두 25개 기업이 입주를 마친 가운데 16개 기업이 43만2천585㎡를 초과 임대해 786억여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추산됐다. A기업의 경우 건물 전체 면적의71.43%인 4만3천249㎡를, 또 B기업과 C기업은 각각 68.59%, 62.2%를 초과 임대하기도 했다. 이들 3개 기업은 사실상 부동산 임대 장사를 하는 것이라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특히 입주 기업의 초과
경기도내 문주가 설치된 아파트 단지 가운데 20%가 소방차 진입이 어려워 화재 진압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황영철(새, 강원·홍성·횡성)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문주가 설치된 단지 현황’에 따르면 도내 661곳을 비롯해 전국 2천108개 아파트 단지에 문주가 설치됐다. 이 가운데 4.5m 미만의 문주가 설치된 단지는 423곳이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30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 54곳, 인천 40곳, 경북 34곳, 부산 22곳 등의 순이었다.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는 용인시 19곳, 수원시와 화성시가 각각 14곳, 고양시 12곳, 파주시 11곳, 성남시 9곳, 남양주시 7곳 등이었다. 수원시(5곳)와 광명시, 고양시, 파주시, 포천시(이상 1곳) 등 5개 시의 9개 아파트 단지는 문주 높이가 채 2m도 되지 않았다.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18조는 차도의 시설한계 높이를 4.5m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지형 상황 등으로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4.2m, 대형자동차의 교통량이 현저히 적고, 우회할 수 있는 도로가 있는 경우 3m까지 축소 가능토록 예외규정을 두고
지난해 경기도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어린이교통사고사 70% 급증했으나 이를 예방할 과속단속카메라 설치율은 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원(새·고양덕양을) 의원이 5일 경기도 국정감사에 앞서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교통사고는 115건으로 전년(68건) 대비 69.1% 증가했다. 이 사고로 19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시·군별로는 안산시가 29건으로 어린이교통사고가 가장 많았고, 이어 수원시 19건, 고양시 15건, 평택시 12건, 부천시 11건 등의 순이었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교통사고가 늘고 있는 반면 보호구역 내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과속단속카메라 설치율은 2.7%에 불과했다. 도내 2천343곳의 어린이보호구역 가운데 과속단속카메라가 설치된 곳은 62곳 뿐이다. 수원시과 화성시 등 13개 시·군은 한 곳도 과속단속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았다. 김 의원은 “교통사고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지정한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어린이교통사고가 1년 새 크게 늘었지만 이를 예방할 과속단속카메라 설치는 2.7%에 불과했다”며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확대, 보도
경기도내에서 도시계획시설에 반영되고도 10년 이상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도로가 8천20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정성호(새정치민주연합, 양주·동두천) 의원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경기도 도시계획시설 장기미집행 도로 현황’에 따르면 도내에서 도시계획시설에 반영돼 있는 미집행도로는 총 1만6천719곳이다. 이 가운데 전체의 49%인 8천200곳은 10년니 넘도록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이들 도로를 모두 완공하는 데는 11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시·군별로 보면 파주시의 경우 234곳의 미집행도로 가운데 92%인 215곳이, 동두천시는 157곳 중 90%인 141곳이 10년 넘게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또 평택시(89%)와 이천시(88%), 양평군(82%) 등도 장기미집행 도로 대부분이 도시계획시설에 반영된지 10년이 넘도록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정 의원은 “도시계획시설에 반영된 도로가 10년 넘도록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것은 지역발전 저해 및 도민 재산권 제약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며 “이들 도로의 착공을 위한 예산확보와 함께 장기미집행 도로 해제 촉진 가이드라인 시행 등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경기도내 각급 학교에 설치된 CCTV 대부분이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70% 이상이 얼굴 식별이 불가능한 100만 화소 미만이 설치 되서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우현(새·용인시갑) 의원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내에는 초등학교 1천213곳, 중학고 613곳, 고등학교 460곳, 특수학교 32곳 등에 총 3만558개의 CCTV가 설치돼있다. 이 가운데 얼굴 식별이 가능한 100만 화소 이상 CCTV는 8천919개로 29.2%에 불과했다. 100만 화소 이상 CCTV 설치비율은 초등학교가 1만3천34개 가운데 3천247개(24.9%), 중학교는 7천382개 중 2천3030개(31.2%), 고등학교는 9천669개 중 3천169개(32.8%) 등으로 초등학교가 가장 낮았다./안경환·이슬하기자 jing@
경기도내에서 뉴타운과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재정비사업이 추진되다 해제된 구역 가운데 16곳이 매몰비용으로 인해 가압류와 소송을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國監 관련기사 2·3면 매몰비용은 추진위원회나 조합이 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사용한 돈을 말한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희(새정치민주연합·부천소사) 의원에 따르면 도내 도시재정비사업이 추진되다 해제된 16곳이 시행사로부터 396억여원의 가압류를 당해 소송을 벌이고 있다. 도시재정비사업을 추진하면서 투입된 매몰비용 회수에 나서서로, 이들은 대부분 H건설, D건설 등 대형 건설사(1군 건설사)다. 가압류 및 소송이 진행중인 곳은 부천이 13곳(뉴타운 6곳, 재개발 6곳, 재건축 1곳)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금액으로도 338억여원으로 전체의 85%에 달했다. 수원 재개발 지역 2곳과 평택 재개발 지역 1곳도 가압류 및 소송을 벌이고 있다. 가압류 및 소송에 휘말린 해당 지역주민만 113명에 달했다. 이들 지역 가운데 3곳은 조합임원이 조합원을 상대로 2차 가압류 및 소송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들 정비사업 해제구역의 안정화를 위해 매몰비용 연내 지원, 시&
진선미 “관피아보다 심각” 남경필 “도움준 분들 인정” 도내 민자도로 통행료 면제 도의회와 협의여부도 공방 2일 진행된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는 남경필 지사의 답변에 대한 ‘꼬투리 잡기성’ 고성이 오갔다. 의원들은 ‘정피아(캠피아) 인사’, ‘의장단과 의회 의결’, ‘경기도지사 예우’ 등을 놓고 남 지사와 설전을 벌였다. 포문은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비례) 의원이 열었다. 진 의원은 “남 지사 선거캠프에서 일한 사람들이 12개 산하기관에 원장·임원으로 가 있다. 관피아보다 심각한 게 보은인사”라고 지적했다. 이에 남 지사는 “한국 정치현실에서 선거를 끝까지 도와준 사람을 모른 척 할 수 없다. 우린 (정치현실을) 인정을 한 것”이라며 “정피아 하나도 안 보낼 수 있는 정치구도가 아니다”라고 응수했다. 그러자 진 의원은 “공식 자리에서 (정피아 인사를) 당연하다고 하면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같은 당 노웅래(마포갑) 의원도 “대통령은 철폐하자고 하는데 도지사는 낙하산이 어쩔 수 없다고 한다. 잘못된 관행은 끊어야 한다”고 가세했다. 남 지사는 “(정피아를) 100% 끊을 수 없다. 근절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나 현실적으로 어쩔
최근 3번 치뤄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 공무원의 선거법 위반 적발 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신의진(새·비례) 의원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4~6회 지방선거 공무원 선거법 위반 현황에 따르면 공무원 선거법 위반 건수는 총 847건 이었다. 이 가운데 경기도가 183건(21.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남 104건, 경북 78건, 충남 75건 등의 순이었다. 183건에 대한 조치상황을 보면 경고가 174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고발과 수사의뢰도 각각 5건, 4건이 있었다. 선거법 위반 현황을 보면 간담회 참석자에게 200만원 상당의 뷔페식사를 제공하거나 출마 예정자들의 면접에 직접 관여하기도 했고, 특정 후보자에게 유리한 여론조사결과를 언론사에 게재해줄 것을 요청하며 수천만원 상당의 음식물을 제공키도 했다. 신 의원은 “지방선거마다 공직자의 신분을 망각한 공무원의 선거법 위반 행위가 나타나는 등 경기도의 공직기강 해이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내년 총선에서도 이같은 공무원 선거법 위반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기도의 책임있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
경기도가 민자도로인 일산대교와 제3경인고속화도로에 줘야 할 지원액이 2천6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임수경(새정치연합·비례) 의원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민간투자도로사업 MRG(최소운영수입보장) 발생 예상액 자료에 따르면 도는 일산대교 측과 맺은 최소운영수입보장(MRG) 협약에 따라 협약 만료기간인 2038년까지 매년 38억∼103억원 등 2천9억원을 지급해야 할 것으로 추산됐다.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오는 2030년까지 총 577억원을 지급해야 한다. 당초 이들 도로의 통행량을 과다 예측, 매년 적자가 발생해서다. 이로 인해 도는 일산대교는 2008년부터 186억8천500만원, 제3경인고속도로는 2010년부터 96억800만원을 운영수입으로 지급해왔다. 임 의원은 “해마다 수백억원의 국민세금이 낭비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앞으로 수천억원의 국민세금이 추가로 투입돼야 할 판”이라며 “적자보전액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협약 변경을 통해 민자도로의 최소운영수입보장제를 폐지하는 사례가 있다”며 “경기도 뿐 아니라 기획재정부가 나서 민간사업자와 사업재구조화에 대해 논의, 보장기준 완화 등의 방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는 ‘전통시장 청년 상인 지원시책’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전통시장 내 빈 점포를 청년창업에 지원, 청년상인도 육성하고 침체된 전통시장도 활성화 시키는 게 골자다. 경기중소기업센터는 우선 지난달 도내 4개 전통시장에서 선정한 8명의 청년상인이 창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임차료, 점포 환경개선, 경영컨설팅, 마케팅을 지원한다. 또 올 하반기 중 성공 청년상인 점포 4곳을 선정해 경영 및 마케팅 교육, 점포 환경 개선, 홍보지원 등을 통해 해당 전통시장의 상징 점포로 육성한다. 기존 상인들을 위해서도 총 1억7천만원을 들여 우수한 상품과 점포관리로 고객 유인효과가 뛰어난 시장 내 대표점포를 선정, 육성하는 ‘전통시장 명품점포’ 인증 사업을 실시한다. 경기중소기업센터는 올해 20개의 맞춤형 환경개선 점포를 선정·지원하고 있으며 이들 점포 중 11월에 명품점포를 최종 선정, 인증서 부여와 함께 홍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까지 수원 못골종합시장의 ‘규수당’ 등 18곳이 명품점포로 인증받았고, 이들 점포는 최고 175% 매출이 증가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모은 ‘전통시장 이야기 은행(http://gg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