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의 12제곱을 뜻하는 테라(Tera)와 진동수 단위인 헤르츠(Hz)를 합성한 용어로 테라헤르츠파가 있다. 이 파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보다 파장이 길다. X선보다 투과력이 강력하지만 에너지가 낮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 특징이 있다. 테라헤르츠는 ㎔로 표시되며 테라헤르츠 방사선(terahertz radiation) 또는 줄여서 티-선(T-ray)이라고도 한다. 병리조직진단을 비롯해 우편물 등에 숨겨진 폭발물이나 마약을 찾아내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미국 일본 등은 21세기를 이끌 미래 유망기술 가운데 하나로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계측 분석기술을 선정해 개발하고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 발행하는 과학전문 잡지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 2004년 2월호는 ‘우리 세상을 바꿀 10대 신기술(10 Emerging Technologies That Will Change Your World)’을 선정하면서 5번째로 티-선을 소개했다. 일본도 지난 2006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10년 동안 유망 기술을 집중 개발하기 위해 2005년 1월 확정해 발표한 ‘10대 근간 기술’ 가운데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계측 분석 기술’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회, 정치는 물론 교육 역시 변화하고 발전했다. 각 시·도 교육청은 보다 나은 교육의 질을 위해 미래 발전적이고 선진화된 계획과 정책을 시행하고 법을 제정하기도 한다. 2010년 경기도교육청의 가장 큰 이슈는 학생인권조례라고 말할 수 있다. 학생인권조례안의 제정 이후 ‘무정부 교실’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학생과 학부모의 도(道)넘는 교권침해 사례가 쇄도하고 있다. 학생이 여자 담임교사의 배를 차고, 학부모가 교사의 뺨을 때리고 ‘맷값’으로 수표를 내미는 등 학생과 학부모가 교사에게 폭언과 폭행을 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꾸중한 교사의 차를 송곳으로 뚫고 분필과 지우개를 교사에게 던지는 사례도 있었다. 소설이나 만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일들이 현재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빈번히 벌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행태를 바라보며 염려하면서도 어디까지 이어질지 개탄스러워하고 있다. 교사, 학생, 학부모 간의 갈등과 사회적 문제는 무엇인지는 몰라도 가슴 한편에 분노를 치밀어 오르게 한다. 왜 이렇게 됐을까, 무엇이 문제인가, 사람 때문인가, 아니면 제도 때문인가. 분명 누군가에게 그 책임을 전가해야 분노
지난달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대부분의 주민들이 떠나고 공무원과 군인들 밖에 없어 거의 무인도 상태였던 연평도와 서해5도가 ‘수도권’에 속해 있었단다. 아마도 대다수의 국민들도 “왜 연평도와 백령도가 수도권이었지?”라는 의문을 가졌을 것이다. 주민들에게는 죄송스런 이야기지만 일반 국민들은 생활·문화인프라가 거의 구축되지 않은 오지나 다름없다고 생각해 왔던 땅이다. 북한과 맞닿아 있는 연천군도 마찬가지다. 서해 5도와 연천군 등은 최전방 접경·낙후지역이다. 따라서 주민들이 불안감과 심한 소외감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 이에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송영길 인천광역시장이 최근 청와대에 연천군과 서해 5도 등 최전방 접경·낙후지역을 수도권 범위에서 제외해 달라고 청와대에 공식 건의했다. 이들 지역은 그동안 수도권에 속해 있으면서도 접경지역이어서 이중의 규제와 생활불편을 겪어왔다. 특히 최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이들 지역 주민이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이에 김 지사와 송 시장은 지난 22일 연평도와 옹진군, 강화군, 연천군을 수도권에서 제외한 후 이들 지역에 비수도권과 동일하게 수도권 기업의 비수도권 이전 시 세제 감면, 각종 인센티브 제공 등을 지원해달
요즘 학교에서는 휴대전화가 말썽인 모양이다. 학생들이 소지한 휴대전화로 수업 분위기가 산만해지는 등 적어도 학교에서는 휴대전화가 ‘소통의 수단’이 아닌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최근 들어 교권(敎權)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일선 교사들은 학교에서 휴대전화를 금지하는 규제방안을 정부 차원에서 적극 검토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 기술이 급속히 향상되면서 휴대전화가 교사와 학생간의 ‘갈등의 매개’를 넘어 ‘교육의 적(敵)’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교사들에 따르면 한번 휴대전화에 중독된 아이들은 수업시간 중에도 멈추지 않는다고 한다. 책상 밑으로 손을 내린 채 고개를 숙이고 있는 학생들은 대부분 휴대전화 화면을 보고 있다는 것이다. 문자 주고받기나 게임은 물론 심한 경우 음란물을 보거나 교사의 신체 일부분을 몰래 촬영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때문에 언제든지 학생들이 자신을 휴대전화로 촬영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 공포심마저 든다는 교사들도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학생인권조례와 체벌 금지 등으로 학생들의 휴대전화를 단속하거나 제재할 수단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부모가 책임지면 됐지, 학교가 무슨 권리로 휴대전
매년 새해가 되면 새로운 결심을 하게 마련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흘을 넘기지 못한다 하여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고들 한다. 좋게 말하면 사흘을 두고 신중하게 작심했다는 뜻도 될 터이지만 대개는 마음먹은 게 사흘을 못 간다는 뜻이다. 속담에 ‘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우리나라 사람의 성격이 처음에는 잘 하다가 조금 지나면 흐지부지해 진다는 데서 나왔다.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도 이와 같은 뜻으로 ‘조선공사삼일(朝鮮公事三日)’이라는 말이 있다. 요즘 스스로를 경계하는 좌우명(座右銘)은 본래 문장을 쓰지 않고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춘추시대 제나라 환공(桓公)이 죽자 묘당(廟堂)을 세우고 각종 제기(祭器)를 갖춰놨는데 그 가운데 술독이 매우 이상했다. 그 술독은 술을 반쯤 채우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엎어졌다. 어느 날 이 묘당을 찾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공부란 것도 이와 같아서 텅 빈 것도 문제지만 가득 찼다고 교만을 부리다가는 화를 입게 되느니라.” 그러다가 처
지난 13일 외곽순환도로 하부공간 화재는 경찰 수사결과 실화로 마무리되면서 복구공사 한창이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시정메모를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해서 도의적인 책임과 앞으로 깔끔한 정비로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에 대해 하부공간 주최인 도로공사를 언급하며 그간 이 공간 활용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것이 부천시의 계획을 떠나 도로주체에 대한 법적문제가 뒤 따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물론 이같은 문제는 전임 시장에도 이어진 문제이다. 그때 역시 하부공간을 체육시설과 시민편의 시설로 활용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여러가지, 법적문제에 봉착해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었다. 결국 이루 말할 수 없는 손실을 겸허히 받아들여여만 했다. 이번 사태는 도로공사, 경찰 부천시 모두가 안일한 태도에서 벌어진 인재로 표현된다. 부천시는 이러한 불법행위에 대해 법적근거를 적용할 수 없어 단속요인이 되지 못했고, 경찰 역시 치안인력 부족으로 여기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상상도 하지 못했다. 도로공사 역시 주최만을 내세운채 그 임무를 소흘히 했다. 3박자가 딱 떨어진 소외된 하부공간의 화재는 누구보더라도 예견된 화재로 밖에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보이지 않는 위험속을 예견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최성 고양시장은 시정추진 계획을 밝히는 과정에서 진즉에 민간인도 참여하는 ‘고양시정운영위원회’ 설치를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난 지금에까지도 아무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음은 어인 까닭일까? 그런 차에 얼마 전 어느 언론에 실린 기사를 보고 그 답을 얻을 수가 있었다. 그 골자는 시민단체가 위원회를 좌지우지할 가능성이 크고, 그렇게 되면 시의회가 자칫 무력화 될 수도 있기 때문이란다. 진보신당 김혜연 의원 등 야당 시의원 11명이 공동 발의한 ‘고양시정주민참여위원회’에 대해서도 고양시의회 의원들의 상당수는 동일한 논리로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우선은 ‘고양시정운영위원회’란 것이 과연 현 고양시장의 당선에 기여한 진보적 시민단체들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구상이 됐을까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진전된 결과물이 없기 때문이다. 둘째는 그럼 과연 ‘고양시정운영위원회’가 설립될 경우, 시민단체가 세를 몰아감으로써 시의회가 무력화될 수도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조례제정 권한이 시의회에 있음에도 이런 식으로 추론을 한다는 것은 좀 지나친 면
올해 들어 지금까지 경기지역에 내린 눈은 다행스럽게도 심각한 교통체증이나 사고 등 큰 후유증을 남기지 않고 무사히 제거됐다. 이는 지난겨울 폭설로 큰 피해를 입은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했기 때문이다. 유비무환이라는 말이 실감났다. 물론 이번 눈은 많이 내리지 않았고 또 날씨도 곧 포근해 졌기 때문에 눈이 쉽게 녹은 탓도 있다. 그러나 다시 지난 겨울처럼 불시에 폭설이 내린다면 안심할 수 있을까? 모르긴 해도 다시 큰 혼잡이 일어날 것이다. 물론 시내 주요 도심지와 간선도로변, 행정관청 주변은 신속한 제설작업이 이뤄지겠지만 주택가 골목길이나 인적이 뜸한 변두리의 인도나 차도 등에는 그대로 눈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각 지자체에서는 눈이 내리면 주요 시내 간선도로에 염화칼슘이나 모래를 뿌리는 등 도로교통 혼잡에 대비하고 있다. 특히 지난 겨울 폭설 때 혼이 난 지역에서는 제설제를 준비하고 제설용 장비를 대기시키고 공무원들의 비상체계를 점검하는 등 나름대로 만전의 준비를 해왔다. 하지만 문제는 지자체의 제설 장비와 인력이 모든 골목마다 미치지 못한다는 데 있다. 특히 행정구역이 넓은 지자체의 경우 전체 장비와 제설제
내년 10월 고양시를 중심으로 경기도내 18개 시·군에서 펼쳐지는 ‘제 92회 전국체육대회’의 부실운영이 우려되고 있다. 우선 전국체전의 하드웨어라고 할 수 있는 경기장이 최상의 컨디션을 유자지하기 힘들 전망이다. 경기도는 예산부족을 이유로 내년 전국체전 예산으로 국비 95억원 포함, 319억원을 책정하는데 그쳤다. 이는 올해 전국체전을 치룬 경상남도 관련 예산의 2/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전국체전 10연패를 노리는 경기체육의 위상 저하를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내년 전국체전 예산을 자세히 들려다보면 심각성은 더하다. 경기도가 계상한 내년 전국체전 예산 319억원 중 경기장 신축 혹은 개선예산은 138억원에 그쳐 전국대회를 치루기에 충분한 경기장을 확보할 수 있느냐는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대회가 열리는 65개 경기장 중 개보수해 사용키로 한 경기장이 60개에 이르지만 예산이 확보된 개보수 비용은 턱없이 부족하다는게 체육계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경기도의 경제규모에 비해 열악하기 그지없는 경남도 지난해 체육시설 신개축 비용으로 306억원을 사용한 것에 비해서도 한참 부족한 예산이다. 반면 경기도는 개·폐회식 등 행사운영비는 경남의 173억원 보다 7
시립의료원 건립 예산 처리 불발로 예산을 의결해야할 시의회 정례회가 제역할을 해내지 못한 데 시민들은 할말이 없다는 반응이다. 중앙 지방정부 할 것 없이 단 한건의 사례가 없는 준예산을 집행해야할 처지에 놓였다. 현 성남지역 상황이 천재지변이나 일촉즉발의 전시 사태가 아닌 평시인데 예산 합의 도출을 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준예산 시대를 맞게한 시립의료원 건립예산 건이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런 사태까지 왜 빚어졌나요” 시민들의 궁금증이다. 지난 2006년 관련 조례제정부터 본격화된 이래 구도심 정가 및 시민사회단체의 이슈거리로 부각됐고 시의회 또한 해마다 이 현안처리에 복잡한 순간을 보냈다. 올해는 보다 격한 양상을 뗬다. 시립의료원 건립에 애착심을 가진 이재명 변호사가 시장에 당선되고 관련 시민사회단체가 하나로 세력화되며 운영방식을 달리하는 시의회 다수당인 한나라당과의 적대 강도가 세지는 국면을 맞게 됐고 이로인해 예산 의결 불발의 상처를 입게 됐다. 시립의료원을 구도심 지역에 두자는데 이의가 없어 보인다. 좀 다르다면 민주당·시민사회단체와 신상진 국회의원이 구 시청사(현 수정구보건소)에, 신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