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복철(前車覆轍)’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앞의 수레가 엎어진 바퀴자국이라는 뜻으로 실패의 전례나 앞 사람의 실수를 거울삼아 경계하라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올 들어 연이어 터지고 있는 한나라당 도의원들의 음주파문 사건을 보고 있자면 이 고사성어가 떠오른다. 최근 경기도의회 심진택 도시환경위원장(한·연천2)이 고 김대중 전 대통령 국상기간 중 호프집 여주인을 폭행한 혐의로 2주 진단서와 함께 경찰에 고소당해 한나라당을 탈당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지난 5월 초 안산에서 열린 어버이날 행사에서 5급 공무원 동장에게 술을 끼얹고 폭행해 한나라당을 탈당한 노영호(안산8) 도의원, 7월 중순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에서 도공무원 및 동료 의원에게 욕설과 삿대질을 해 물의를 일으킨 한나라당 김홍규(동두천1) 도의원 등 이러저런 작은 해프닝을 빼고도 도 내에서 여러사람의 입에서 오르내릴 굵직한 사건만 벌써 3번째다. 특히 이번 음주추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리에 있었고 정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로 정치권 지도부뿐 아니라 전 국민이 슬픔에 잠겨 있는 기간, 이로 인해 도내 여러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등
국회의원이 달고 다니는 금배지는 권력과 부의 상징이다. 금배지는 말 그대로 순금일까. 사실은 99% 순도 순은에 금 도금을 한 것이다. 뒷면에 1번부터 299번까지 숫자가 새겨져 있다. 당선 후 등록 순서대로 배부된다. 국회사무처는 지난해 18대 국회의원들에게 배부할 금배지를 서울 종로구 계동 소재 전문제작 업체에 의뢰해 납품받았다. 가격은 나사형이 개당 1만9천500원이다. 이 업체는 10대 국회부터 20여년간 배지를 생산하고 있다. 금배지는 의원 1인당 1개씩 무료로 지급된다. 여성의원들이 쓰는 옷핀형은 2만5천원이다. 국회의원이라고 배지를 꼭 달 의무는 없다.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은 평소 개량한복을 고집하며 배지를 달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기가 끝난 이후 반납하지 않아도 된다. 순금으로 만든 ‘사제’ 배지를 주문 제작해 달고 다니는 국회의원도 있으며 다선 의원 중에는 새로 받은 금배지 대신 색 바랜 배지를 고집하는 이도 있다. 금배지의 개당 가격이 1만9천500원이라고 무시하면 큰코 다친다. 국회의원의 연봉은 장관과 비슷한 1억2천만원 정도다. 또 후원금으로 한해 평균 1억5천만원쯤 들어온다. 부족하다고 하지만 국회의원이 되면 각종 정책이나 개발
‘지진’이라는 소리를 들으면 먼저 일본이 떠오른다. 관동대지진에서부터 몇 년 전 고베지진에 이르기까지 일본은 그야말로 지진의 나라다. 일본국민들은 늘 지진의 공포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기에 이들은 지진에 관한한 철저한 대비를 하고 있다. 건물은 내진 설계를 바탕으로 건축되었으며 지진 발생시 행동 요령을 유치원 다닐 때부터 교육받는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얼마전 기상청은 올해 1월부터 이달 26일까지 한반도에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47회로 지난해 발생횟수 46회보다 많았다고 발표했다. 최근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2005년 37회, 2006년 50회, 2007년 42회였으며, 유감지진 횟수는 2005년 6회, 2006년 7회, 2007년 5회였다. 우리나라에서 1978년 지진관측이 시작된 이후 1990년대 초반 15~20회에 그쳤던 지진 발생횟수는 1993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니까 1990년대 초반과 지금을 비교해 보면 2~3배 가량 더 발생하고 있다는 얘기다. 더욱 심각한 현상은 1978년 이후 대략 5년에 한 번꼴로 규모
그토록 따갑게 내리쬐던 햇볕도 이제는 그 기세가 꺾이나 보다. 아침 저녁으로 창문으로 들어오는 바람 속에 제법 가을기가 묻어 있다. 바다로, 산으로, 해외로 떠났던 북적거림도 끝나 이제는 다시 새로운 일상들로 돌아와 있다. 무릇 모든 생명 있는 것들은 쉼이 있고, 그 쉼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충전하여 새로운 걸음을 내딛듯이 쉼은 우주의 질서이고, 섭리이다. 생명이 있으므로 쉼이 의미있는 것이다. 길게 보면 우리의 인생 전체에서 삶과 쉼(죽음)이 있고, 작게는 하루의 일상에서 낮의 노동과 밤의 쉼(수면)이 있다. 그동안 여름 휴가철이 되면 ‘쉬기 위하여’ 꽉 막히는 체증을 참아내며 북적거리는 바닷가로, 여행가이드가 이끄는 곳으로 따라다녔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쉼은 강원도 태백 산골 ‘예수원’에서의 휴식이다. 하루 세 번 기도모임에 참석하고 그 이외의 시간은 자발적인 노동을 하거나, 호젓한 산 속이나 들판을 산책하고, 책을 읽으면서 지낸 시간들이었다. 모든 짐을 내려놓고 그냥 몸을 자연에 내어 맡기며 생명의 기운을 재충전하는 휴식이었다. 그곳에서는 자연과 내가 합일되어 편안한 쉼을 누리고 있다는 것이 가슴으로 느껴졌
금감원이 밝힌 은행의 꺾기 사례는 이렇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7억원의 할인어음 한도 대출 상담을 받기 위해 은행을 찾았다. 은행직원은 그 자리에서 한달에 1000만원을 납입하는 3년 정기적금 가입을 요구했고 대출이 급했던 대표는 그야말로 울며 겨자먹기로 자발적 확인서라는 것을 써주고 적금에 가입했다. 그 대표는 회사경영이 어려운 상황에서 받은 대출금을 운영자금으로 소진하다보니 적금을 부을 여유가 없었다. 1개월 동안 납입한 금액은 5천만원이지만 중도에 해지하고 찾을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은행이 기업대표에게 통보도 없이 지급정지 계좌로 등록해 놓았기 때문이다. 은행의 꺾기 횡포가 이쯤되고 보면 막가파 수준이다. 중소기업이나 개인에게 대출을 해주는 대가로 적금 등 상품 가입을 요청하는 이른바 은행의 꺾기관행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금융당국은 꺾기 관행을 뿌리 뽑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지만 은행은 요지부동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부도직전에 몰린 기업을 회생시키기 위해 은행을 찾았다가 ‘꺾기’라는 덤텅이를 안고 돌아서야 하는 기업들은 물론이고 개인들에게도 펀드가입요구 등 꺾기는 여지없이 강요되고 있다. 아울러 금융관련 거래를 하면서 꺾기를 요구하는 사례가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로 당선된 김문수 당선인은 ‘대수도론’을 강조해 주변을 깜짝 놀라게 했다. 선거공약이기는 했지만 ‘대수도론’에 대한 의지가 도를 넘을 정도로 강했다. 그는 당선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이 동북아의 중심이 되도록 하기 위해 경기, 서울, 인천 등 수도권을 하나로 통합해 대(大)수도 개념의 통합 행정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교통, 환경, 복지 등 각 분야의 정책을 통합해 중국 상하이나 일본 도쿄 등과 맞서야 하며 서울시장과 인천시장, 경기지사가 앞으로 대수도 개념의 통합행정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때까지만해도 ‘대수도론’은 수도권의 각종 현안을 통합해 해결하자는 취지의 개념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나 3년 전 김 당선인이 주창했던 ‘대수도론’이 요즘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정면으로 맞서는 무기로 등장하게 될 줄은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다. 현재 정부는 물론 국회 지방행정체제개편특위에서도 시·도를 폐지하고 시·군·구를 통합
전래의 행정구역 단위의 지지(地誌)와 달리 인간 및 환경관계론의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취락 입지 모델을 서술한 것이 ‘택리지’이다. 택리지는 청담(淸潭) 이중환(1690-1752)이 지었다. 그는 조선 후기 실학자 이 익의 문하인으로 실사구시 학풍의 영향을 받았다. 영조 즉위 후 당쟁에 휘말려 옥고와 유배생활을 겪은 후 30여년 동안 전국 각지를 유랑하며 산천과 풍물을 답사하는 과정에서 축적한 지리적 지식과 일찍이 익힌 실학사상이 택리지 저술의 기반이 되었다. 택리지는 사민총론, 팔도총론, 복거총론, 총론으로 나뉜다. 사민총론은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설립 배경과 사대부의 역할, 팔도총론은 팔도의 위치와 연혁·자연·환경·산업·취락·인물·풍속 등을 다루고 있다. 복거총론은 주거지 선정 기준을 설정하고, 가거적지(可居適地)와 가거부적지(可居不適地)를 구분하고 있는데 주거지 선정 기준으로는 환경조건, 경제적 생리(生利), 인심 등을 종합해 복지(福地), 덕지(德地), 경승지(景勝地), 길지(吉地), 피병지(避兵地), 피세지(避世地) 등으로 나누고 있다. 총론에서는 당시의 사회·정치적 실상을 비판하고 택리지를 왜 썼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미 300년 전에 쓰여진 책이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가 다가오면서 신종플루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확진환자가 3천300여명이 넘어섰고 25일 현재 경기도내 확진환자도 한 달새 4배 이상 증가한 1천53명에 달한다. 이에 도는 도내 108개 병원과 139개소의 약국을 신종플루 거점병원·약국으로 지정해 5만여명분의 타미플루를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도가 보유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 확보량이 도민 200명당 1명 분량에 불과, 타 시·도와의 환자발생 빈도와 비교해도 너무 적은 분량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이명박 대통령은 “긴급 예산을 배정해서라도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하라”고 지시했고, 정부는 올해 치료제 확보분을 당초의 531만명분에서 1천31만명분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가 내년 2월까지 1천300만명분의 신종 플루 예방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하지만 백신이 보급되는 것은 11월이나 돼야 가능해져 하반기에 신종플루 대유행이 닥칠 경우에 대해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의료기관과 정부 간 소통 부재로 환자 관리에 혼선이 빚어지면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고 병원들은…
고당(古堂) 조만식(曺晩植)이 작고한지 올해로 59년째가 된다. 고당은 1883년 평양에서 아버지 경학(景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생애는 파란만장 그 자체였다. 1908년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한 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소쿠(正則) 영어학교에서 3년간 영어 공부를 했고 1910년 메이지 명지(明治)대학 법학부에서 수학했다. 한일합방으로 일본의 식민지 통치가 시작된 1913년 귀국하여 오산학교 교사로 교단에 섰다가 3.1 운동이 일어난 1919년 동교 교장이 되었으나 같은 해 교장에서 물러나 독립운동을 펼치다 평양 감옥에서 1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오산학교 교장에 복직했지만 그도 잠시 상정현교회 장로, 조선물산장려회 회장, 연정회 발기, 신간회 결성에 참여했으나 일제의 방해로 번번히 실패했다. 1932년 조선일보 사장으로 언론 창달에 힘쓰고, 1943년 지원병 제도를 실시하면서 조선군 사령관 이다가키 세이시로(板恒征四郞)가 면담을 요청했지만 단호히 거절하는 바람에 구금 당했다. 광복이 되고 나서 평양으로 간 그는 평양인민정치위원회를 조직해 질서 유지와 국민 계도에 앞장 섰다. 이 때 소련 군정청이 북조선인민정치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장을 맡아 달라
지난 주말 필자가 속한 기관에서 갈등조정과 관련한 두 개의 공개 사례발표가 있었다. 가족분야에서 이혼과 관련된 갈등조정사례와 여러 조직이 관련되어 있는 조직갈등 사례발표를 차례로 들었다. 하루종일 안타깝다는 생각과 함께 일상에서 우리가 상대방의 마음을 알기 위해 역지사지(易地思之)를 해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느끼게 한 하루였다. 갈등의 한복판으로 들어가 보면 서로가 피해자와 가해자가 되어 자신의 갈등에 대한 입장을 이야기한다. 당사자들은 갈등에 대한 피해자로서 주장을 굽히지 않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갈등은 피해자도 가해자도 없다. 단지 ‘이해당사자’만 있을 뿐이다. 피해사실과 가해사실이 있다 하더라도 갈등조정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면 피해자와 가해자의 입장이 아니라 갈등조정의 ‘이해당사자’로서 만남을 갖게 된다. 갈등조정이 시작되면 다양한 경로를 거치며 이해당사자들이 갖고 있는 입장, 이해관계, 욕구등을 파악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조정이 이뤄 진다. ‘입장’은 대부분 이해당사자가 내세우는 명분이다. 표면적인 갈등의 이유이기도 한데 자세히 들여다 보면 상대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