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One World, One Dream)’을 슬로건으로 내건 지구촌 스포츠 대축제 2008 베이징올림픽이 오는 8월8일 오후 8시 중국 베이징 ‘궈지아티위창(國家體育場)’에서 화려한 개막식을 갖고 17일간 열전에 들어간다. 13억 중국 대륙이 100년을 기다렸다는 베이징올림픽. 1964년 도쿄, 1988년 서울올림픽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올림픽을 위해 개최국 중국은 스포츠 최강 미국을 제치고 종합 1위를 노릴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중화민족의 화려한 부활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야심차게 준비했다. 중국 정부와 베이징올림픽조직위원회(BOCOG)는 이번 대회를 위해 총 400억달러를 투입, 메인스타디움인 궈지아티위창을 비롯해 24개 경기장을 신축 및 증축했고, 메인프레스센터(MPC)와 국제방송센터(IBC) 등 45개 올림픽 시설물이 세계인들을 맞을 준비를 맞췄다. ‘화해의 여정(和諧之旅)’이라고 이름 붙여진 성화는 지난 3월24일 고대 올림픽의 발상지인 그리스 올림피아에서 채화된 뒤 130일 동안 역대 최장거리인 5대륙 13만5천㎞의 대장정을 거쳐 오는 8
한국은 이번 베이징올림픽에서 금메달 10개 이상을 획득해 2회 연속 10위권 집입을 목표로 세웠다. 2004년 아테네에서 금메달 9개, 2000년 시드니에서는 금메달 8개에 그쳤던 한국은 이번 올림픽에서 두 자릿수 금메달 획득으로 개최국 중국에 이어 아시아 2위 및 2회 연속 ‘톱10’을 지켜 스포츠 강국의 대열에 합류한다는 각오다. 종목 별로는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인 양궁과 태권도에서 각각 2개 이상의 금메달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펜싱과 레슬링, 역도, 수영, 사격, 탁구, 배드민턴, 유도 등에서 금메달을 바라보고 있다. 양궁은 세계 최강의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4개 ‘싹쓸이’에 도전한다. 사상 첫 올림픽 개인전 2연패에 도전하는 박성현(24·전북도청)을 비롯해 여자부 윤옥희(23·예천군청)과 주현정(26·현대모비스), 남자부 박경모(33·인천계양구청)·임동현(22·한체대)·이창환(26·두산중공업)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세계 양궁계의 극심한 견제 속에서도 변함없는 챔피언의 실력을 과시하기 위해 금
한국은 이번 베이징올림픽에서 금메달 10개 이상을 수확해 2회 연속 세계 ‘톱 10’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략종목인 양궁과 태권도, ‘여자 헤라클레스’ 장미란(고양시청)과 ‘마린보이’ 박태환(단국대)을 앞세운 역도와 수영을 비롯해 사격, 유도, 체조 선수들이 ‘톱 10’ 수성의 선봉에 선다. 한국의 세계 ‘톱 10’ 수성에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각 종목의 금메달 유망주와 날짜별 금빛 퍼레이드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첫 금메달의 주인공은 사격에서 나올 전망이다. 8월9일 오전 여자 10m 공기소총에 나서는 김여울(화성시청)과 김찬미(기업은행)가 여갑순(1992년 바르셀로나) 이후 16년만에 금메달을 선사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당일 컨디션이 중요시 되는 종목이라 낙관할 수 만은 없지만 색깔이 문제일뿐 매달 획득이 유력하다. 다음날인 10일부터 12일까지는 한국이 금메달 2개 이상씩을 기대할 수 있는 골든데이다. 10일에는 ‘마린보이’ 박태환이 남자 자유형 400m에서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에 도전한다. 박태환은 8관왕을 노리는 ‘수영 황제’ 마이클 펠프스(미국)가 400m 출전을 포기해 우승 가능성이 높아지만 그랜드 해켓(호주)과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안은
북한은 이번 베이징올림픽에 11개 종목 63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금·은·동메달 구분 없이 10개 이상의 메달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올림픽에 파견하는 북한 선수단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32명)이나 2004년 아테네올림픽(36명) 참가 선수단의 두 배에 달하고, 사상 최대 64명이 참가한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과 비슷한 규모다. 북한은 바르셀로나에서는 총 9개의 메달을 획득해 일본을 제치고 종합 16위(금 4·동메달 5)에 올랐고, 1996년 애틀랜타(금 2·은 1동메달 2)와 2000년 시드니(은 1·동메달 3), 2004년 아테네(은 4, 동 1)에서는 4~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북한은 유도와 여자축구를 비롯해 전통적인 ‘효자종목’ 복싱과 사격에서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다. 금메달 후보 1순위로는 여자 유도 57㎏급에 출전하는 계순희(조선체육대학)가 꼽힌다. 계순희는 애틀랜타 48㎏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뒤 시드니와 아테네에서는 각각 52㎏급 동메달과 57㎏급 은메달을 따냈고, 이번 올림픽에서 12년만에 금메달에 도전한다. 특히 계순희는 2003과 2005, 2007년 세계선수권대회 57㎏급에서 3회 연속 정상에 올라 메달 전망을 밝게 하고
“베이징 올림픽 축구경기,전광판으로 즐기세요” 재단법인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은 베이징올림픽 한국대표팀 축구경기를 수원월드컵경기장 전광판을 통해 중계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재단은 이에 따라 오는 7일 오후 8시45분 카메룬전, 10일 오후 8시45분 이탈리아전, 13일 오후 6시 온두라스전 등 조별리그 세 경기가 시작되기 2시간전부터 경기장을 무료 개방한다. 재단은 한국축구대표팀이 8강에 진출할 경우 전광판 중계여부를 수원월드컵경기장 홈페이지(www.suwonworldcup.or.kr)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2008 베이징올림픽에는 총 28개 종목에 302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지난 2004년 아테네올림픽과 비교해 메달 1개가 늘었다. 이번 대회에서 달라지는 것들을 살펴보면 양궁은 지난 대회에 비해 경기 스피드와 이변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경기 규칙이 바뀌었다. 2004년 대회에선 개인전은 8강까지 18발(180점 만점)을 쏘고, 4강과 결승전만 12발씩 쏘던 것을 이번 대회에서는 64강부터 모두 12발 승부로 바꿔놓았다. 개인전 한발 발사 시간 제한도 40초에서 30초로 줄었고, 단체전 역시 3엔드에 걸쳐 9발씩 모두 27발(270점 만점)을 쐈으나 베이징에선 4엔드에 걸쳐 6발씩 모두 24발(240점 만점)을 쏜다. 레슬링 그레코로만형의 경우는 점수가 나지 않으면 심판이 동전을 던져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하도록 규정이 달라져 체력에 의존하며 버티기를 하는 선수들이 설 자리를 잃게 됐다. 경기방식은 3라운드 2선승제로 한라운드의 경기 시간은 2분씩이다. 펜싱에서도 이번부터 비디오 판독 제도가 도입된다. 선수들은 경기 도중 판정에 이해가 가지 않을 경우 주심에게 비디오 판독을 요청할 수 있고, 비디오 판독 요청권은 개인전은 경기당 2차례, 단체전은 한 선
임수정 “컨디션 유지가 관건!” ,발차기 순발력·체력·파워 으뜸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 국가대표로 선발된 남·녀 4명 중 금메달 획득이 가장 유력시 되는 임수정(20·경희대). 여자 57㎏급에 출전하는 임수정은 금빛 발차기로 태권도 종주국의 위상을 드높이고 한국의 ‘톱 10’ 수성을 이끌기 위해 막바지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임수정은 기본기가 탄탄할뿐 아니라 스피드와 다양한 발기술을 겸비했고, 169㎝의 훤칠한 키에서 뿜어져 나오는 발차기가 일품이다. 특히 남자에 버금가는 체력을 갖고 있어 순발력과 파워에서 만큼은 압도적이라는 평가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51㎏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임수정은 2006년 세계대학태권도선수권대회와 2007년 방콕유니버시아드게임에서 잇따라 정상에 오르며 최고의 기량을 과시했다. 임수정은 최고의 실력을 갖췄지만 국제대회 보다 높은 국내 대표선발전의 벽을 넘지 못한 탓에 올림픽 출전은 이번이 처음이다. 힘든 경쟁을 뚫고 올림픽에 나설 기회를 얻은 만큼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겠다는 자세다. 임수정의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2008 베이징 올림픽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한국은 이번 올림픽에서 금메달 10개를 획득, 2회 연속 세계 ‘톱 10’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국의 세계 ‘톱 10’ 수성에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각 종목 금메달 유망주들의 윤곽이 드러난 가운데 ‘베이징의 영웅’으로 떠오를 경기, 인천 소속 선수들을 소개한다.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 한국에 금메달을 안겨줄 가장 확실한 후보는 ‘여자 헤라클레스’ 장미란(25·고양시청)이다. 장미란은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세계역도선수권 여자 최중량급에서 3연패의 위업을 달성하며 세계 최고의 여자 역사임을 입증했다. 그러나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선 탕궁홍(중국), 2006년 도하아시안게임에서는 최대 라이벌 무솽솽(중국)에게 금메달을 내주며 종합대회 ‘무관의 여왕’이라는 오명을 남겼다. 하지만 장미란은 지난 7월11일 훈련 중 용상(190)㎏과 합계(330㎏)에서 비공인 세계신기록을 작성한데 이어 ‘최대 라이벌’인 무솽솽(중국)의 불참으로 사실상 금메달 ‘0 순위’가 됐다. 국제역도연맹(IWF) 여자 최중량급인 75㎏ 이상급 랭킹 3위 올하 코로브카(우크라이나)보다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2008 베이징 올림픽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한국은 이번 올림픽에서 금메달 10개를 획득, 2회 연속 세계 ‘톱 10’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국의 세계 ‘톱 10’ 수성에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각 종목 금메달 유망주들의 윤곽이 드러난 가운데 ‘베이징의 영웅’으로 떠오를 경기, 인천 소속 선수들을 소개한다. 유도는 5분 동안 진행되며 승패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골든스코어가 적용되는 5분간의 연장전에 돌입한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는 주심과 2명의 부심이 판정으로 승패가 결정된다. 체급은 남·녀 각각 7체급씩으로 남자는 60㎏·66㎏·73㎏·81㎏·90㎏·100㎏·100㎏이상급 등이고, 여자는 48㎏·52㎏·57㎏·63㎏·70㎏·78㎏·78㎏이상급으로 나눠진다. 한국은 이번 베이징올림픽 유도에 남·녀 14개 전 체급에 선수를 내보낸다. 전체급 출전은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후 처음. 그중 가장 강력한 금메달 후보로 손꼽히는 사람을 바로 남자 73㎏급에 출전하는 왕기춘(20·용인대)이다. 2006년 도하아시안게임때 이원희의 훈련 파트너였던 왕기춘은 같은해 직지컵 국제청소년유도선수권에서
성균관대가 제24회 대통령기 전국시도 탁구대회 여자 대학부 단체전에서 정상에 올랐다. 성균관대는 31일 목포 실내체육관에서 계속된 여대부 결승에서 빈정현과 황세미, 김가희의 맹활약에 힘입어 풀세트 접전 끝에 창원대에게 3-2(1-3, 3-0, 1-3, 3-1, 3-2)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이로써 성균관대는 앞서열린 대학연맹전 준우승에 이어 대통령기에서도 3년만에 정상 탈환에 성공하며 제2의 전성기를 알리는 부활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또 여대부 개인단식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황세미는 이날 단체전 우승으로 2관왕에 오르는 기쁨을 누렸다. 예선에서 2승1패를 기록하며 B조 2위로 결선에 오른 성균관대는 준결승에서 목포과학대에게 몰수승을 거두며 손쉽게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 상대는 예선 첫 경기에서 0-3으로 패배를 안겼던 창원대. 예선에서 완패를 당한 부담을 안고 결승에 들어선 성균관대는 1단식에 나선 문소이가 창원대 이예원에게 1-3으로 무릎을 꿇어 불안한 출발을 보였으나 2단식 빈정현이 상대 김지은을 3-0으로 따돌려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성균관대는 이어 출전한 문소희-황세미 조가 창원대 이정아-나인지 조에 1-3으로 패해 또 다시 게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