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에 지금처럼 휴대전화가 있고, 인터넷이 있고, SNS가 발달했다면, 신군부가 그렇게 많은 사람을 죽이지 못했을 겁니다.” 나경택 기자는 지금도 5월이면 가슴이 먹먹하다고 말했다. 기자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후회는 쉽게 잊히지 않는 듯했다. 광주 지역 대부분의 기자들이 그랬듯 그 참상을 목격하고도 신문에 기사 한 줄, 사진 한 장을 싣지 못했다. 신군부의 보도통제 때문이었다. TBS가 5·18민주화운동 42주년 특집으로 제작한 ‘오일팔 증명사진관’에서 나 기자는 당시 광주의 상황을 밖으로 알릴 수만 있었다면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광주는 고립무원의 도시였다. 광주와 전남 지역 외 다른 곳에서는 광주의 진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정부는 광주시민을 무자비한 폭도로 매도했다. 나 기자는 건물에 숨어 촬영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붐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융합 미디어가 21세기 사회를 주도하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분리되어 있는 매스 미디어 시대에서 그 구별이 없는 스마트 미디어의 시대로 진입한 세태를 반영한 것이다. 문자와 인쇄 미디어의 시대에서 영상과 전기 미디어의 시대로 전환된 시대의 모습이다. 특히 MZ 세대는 어려서부터 스마트폰과 함께 성장한 新인류다. 인쇄매체 세대와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변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자연스러운 선택은 책 대신 유튜브다. 그 결과 특별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해야 하는 단계에 도달한 것이다. 이러한 시류 변화에 부응하여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이며, 어떤 내용의 교육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점검할 때가 되었다. 과거 ‘미디어 바로 알기’ 차원의..
세계 정세 대변환의 파고는 한반도에도 어김없이 미치고 있다. 그 파고를 일으키는 주체는 다름아닌 북한 김정은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역으로 악용하여 자신들의 스케줄대로 핵무력 등 국방력을 키워온 김정은이 그 이빨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온 것이다. 소위 ‘자발적 모라토리움’을 파기하고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4.25)을 기념 심야열병식을 통해 무력시위를 과시한데 이어, ”전쟁 상황이 아닌 근본리익 침해 시 핵사용이 가능하다“며 핵불사용 원칙도 언제든지 깰 수 있음을 천명했다. 그 대상에 남한도 예외가 아님을 시사함으로써 발언의 금도를 넘고 있다. 더욱이 7차 핵실험 가능성과 더불어 한반도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키는 것은 ‘핵무기의 소형 경량화와 전술무기화’이다. 이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사거리 400-600km 내외의 KN-23..
한의대 20년 선배님인 한 한의사 원장님은 거의 매일 아침 공원에서 태극권을 오랫동안 지도하셨다. 그 선배님의 이른 아침 태극권 모임에 참여하게 되며 부지런히 운동하는 몇 분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중에는 류머티즘 관절염을 앓고 있는 의사 한분이 계셨다. 식이요법과 아로마요법 등으로 자신을 치료하던 중 류머티즘에 효과적인 운동으로 알려진 태극권을 배우려고 수소문하였고 이 모임에 참여하여 하루도 빠지지 않고 시간도 열심인 분이었다. 선배 원장님께 태극권과 함께 한약과 체질침 치료를 받으면서 많이 호전되어 체질침 전도사를 자처하셨던 열린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태극권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기공 중 하나이다. 사실, 기공이란 용어는 넓은 스펙트럼의 개념이다. 철학적 혹은 종교적인 관점, 혹은 기공을 수행하는 유파에 따라 기공을 수..
1. 한의원 옆 호실은 이태쯤 전에 산부인과로 바뀌었다. 가끔 직원들이 침을 맞으러 왔다. 지난 월요일, 아침 8시쯤 출근하는데 불이 환하다. 평소보다 이른 시간이라 무슨 일이지? 싶었다. 한의원 청소 중에 환자분이 산부인과 문을 급하게 두드렸다. 문은 열리지 않았고, 환자는 십여 분 넘게 문을 두드렸다. 내가 어쩔 수 있는 일이 아니라 바라만 보는데, 괜히 마음이 무거웠다. 이른 시간에 병원을 찾은 건 간밤에 몹시 아팠거나, 사정이 급해서일 터다. 사람이 있는 게 분명한데, 왜 문을 열어주지 않는 걸까. 원장님 안 계셔도 어지간하면 좀 들어와서 기다리라고 하지. 반갑게 인사하던 직원이 얄밉게 느껴졌다. 수요일, 오늘. 출근해서 청소하는 중, 월요일에 왜 그랬는지 알게 됐다. 의료기 회사 직원으로 보이는 정장 차림 남자 둘이 비싼 진단장비를 무겁게 밀고 오는 것..
지난 2월 7일자 본보 사설 ‘경기도 분도(分道), 무엇이 문제일까’에서도 언급했지만 선거철만 되면 빠지지 않고 쟁점이 되는 내용이 ‘경기도 분도’다. 지난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도 경기도 분도론은 등장했다. 이재명 후보는 “분도로 이익을 보는 것은 정치인들과 고위 공직자뿐” “북부지역은 지방 재정이 취약해 매우 가난한 도가 될 수 있어 자립 기반을 확보한 이후 분도를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윤석열 후보는 분도와 관련된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안철수 후보는 “경기도가 분도가 된다면 전라남도에 대해 전라북도가 느끼는 소외감처럼 북부지역도 유사한 소외감을 느낄 것”이라고 반대의 뜻을 표명했다. 이처럼 대선 출마 여야 후보자들은 경기도 분도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분도 움직임은 계속됐다. ‘경기북도 설치를 위한 국회..
3-3-4. 이는 축구 포메이션 중 하나지만 선거 공학 기본 틀이기도 하다. 3은 여와 야를 각각 지지하는 이른바 진보와 보수 세력이고 나머지 4는 무당파 세력이다. 선거에서 이기려면 집토끼 격인 자신의 지지 세력을 우선 묶어둬야 한다. 그런 다음 자기정체성이 불명확한 무당파층을 끌어들여야 승리할 수 있다. 무당파층의 다른 이름은 중도층이다. 진보와 보수의 중간에 끼어 있다는 뜻이다. 그런 만큼 중도는 부정적 뉘앙스를 풍긴다. 실제 중도는 많은 의심을 샀고 푸대접을 받아왔다. 격랑의 현대사에서 기회주의적 정치 세력으로 치부된 것이다. 진보 쪽에서 보면 서슬 퍼런 시대에 중도는 보수보다 더 위험한 세력이었다. 정체가 불분명한 것은 섬뜩한 공포이기 때문이다. 보수 쪽에서도 중도는 위험하기 짝이 없었다. 자신들에게 도전하는 진보세력과 별반 다르지 않..
오월은 신록의 달이다. 우열을 가릴 수 없는 꽃들이 일시에 피어 무작위로 향기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오월이요. 하얀 밥을 머리에 이고서 하늘을 우러르는 나무의 경건함을 볼 수 있는 것도 오월이다. 꽃비를 맞으며 걸을 수 있는 것도, 꽃이 떨어진 자리에 작은 열매가 도톰히 자리는 것을 볼 수 있는 것도 오월이다. 오월을 금방 찬물로 세수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라 하는 것은 여름을 마주하고 있기 때문이고, 울바자 사이로 삐어져 나온 꽃이 더욱 붉고 아름다운 것은 경계를 초월했기 때문이다. 동네에는 아카시아 꽃 향기가 그득하다. 바람이 불어오면 양태머리를 땋아올린 꽃송이가 꿈결같이 밀려온다. 콧구멍으로 후~ 들어오고 후~ 나가고 잡힐 듯 말 듯, 그리고 수수꽃다리 향기는 얼마나 진했던가. 한 송이라도 가져오면 집안이 향기로 가득하다. 향기라도 마음껏 취할 수 있었으니 스물한 살 청춘은 무엇이든 시작할 수 있다. 그래서 맨발의 청춘이라 하지 않는가. 너무나 초라하고 가난해서 추억조차 힘겹지만 그래도 20대만큼은 빛나게 반짝인 때이다. 아무도 아니 기억하고 있다고 해도 스스로는 알고 있으니 그것은 후각 이 지각을 깨운 덕분이다. 아카시아 꽃, 수수꽃다리 향기너머 북녘의 고향사람, 아니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을 생각한다. 지금은 모내기가 한창일 것이다. 먹는 것이 입는 것보다 중요해 식의주라 하고 쌀과 강냉이를 얻으려고 온 나라가 동원된다. 이론을 실천하라고 학생도 쌀을 만드는데 참가해야 한다지만 실제로는 기한이 정해져 있는 바쁜 농사철에 노동력을 값싸게 얻으려는 것이다. 덕분에 학생인지 농사꾼인지 모를 정도로 모내기와 강냉이(옥수수) 심는 법을 배웠으니, 올해는 여럿이 심은 텃밭에서 내가 심은 채소가 그중 튼실하게 잘 살았다. 오월말 또는 6월 초까지 모내기가 끝나는데, 종아리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 거머리 생각을 하면 인생에 다시는 논에 들어갈 일은 없겠다. 가족의 달로 분주한 남쪽에 비해 법정기념일(빨간날)이 없는 것은 사람들을 농촌에 총동원시키느라 그런지도 모른다. 도시나 농촌이나 농사일을 모르고서는 밥 먹기 힘든 곳이다. 밥을 무서워하는 비만의 시대 적게 먹으려고 갖은 노력을 하는 것과 전혀 다른 세상이다. 지금쯤 아카시아, 수수꽃다리에도 꽃이 피었을 까. 남쪽에는 꽃이 지고 있는데 북쪽에는 6월에 한창이었던 것 같다. 보리고개라 햇곡식이 나기까지 서글픈 가난에 부엌에서 맴돌 언니의 모습이 그려지는데 아마도 잘 살고 있을 것이라 애써 긍정해본다. 부지깽이도 뛴다는 바쁜 농사철에 고향에서 지금까지 잠잠하던 코로나19가 확산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남쪽에는 백신도 몇 차례 맞고 잘 견디었는데, 북쪽의 고향은 가난하고 부족하니 그래도 살아만 있어주었으면. 내가 사랑한 사람들은 별일 없었으면, 그래서 오월에 청신한 얼굴의 신부로 다시 만났으면.
조선시대 실용주의 사상인 ‘실학(實學)’을 논하자면 그 중심에 목민심서(牧民心書)를 지은 다산 정약용 선생을 먼저 세울 수밖에 없지요. 과연 “민생의 의사가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치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한 그의 주장은 절대왕정 국가에서 대단한 용기로 평가받을 만해요. 그런데 다산 선생의 국가 개혁 욕망을 자극했다는 반계(磻溪) 유형원 선생의 책을 읽다가 가슴이 뛴 적이 있답니다. 다산보다 무려 140년을 앞서 태어난 반계가 남긴 반계수록(磻溪隨錄)에서 놀랍게도 ‘노비제도의 폐지’ 주장을 보았던 거예요. 조선 망국의 원흉이 국가 생존력을 떨어뜨린 신분제도라는 사실을 깨달을 즈음이었지요. 물론 오늘날처럼 ‘만민 평등’을 주창한 건 아니에요. 반계 선생은 중국의 예를 따라 ‘한 집에 기거하면서 노동을 제공하여 그 대가로 의식과 품..
하늘과 산과 호수에 담긴 구름이 조화를 이루는 아침 시간이 있습니다. 호수 수면 위 연잎은 표면적 무늬가 됩니다. 그것은 호수 내면에 감춰진 흙의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갈대는 지난 해 그 모습보다 낮아지고 빛바랜 그대로 서 있는데 그 자리에 푸른 빛 여린 대가 올라오고 있습니다. 세대교체보다 생명교체가 더 어울릴 것 같습니다. 호수 중심 낮은 말뚝에는 해오라기 한 마리가 제 쉴 곳 일번지나 되는 듯, 위에서 내리긋는 획 같은 형상으로 졸고 있습니다. 그 모양이 물속으로 스미어 물 위아래 풍경이 하나가 됩니다. 호수의 풍경이 정지된 영상처럼 가슴 속으로 스며들었습니다. 그 순간 쇠물닭 한 마리가 수면 위로 반원을 그리며 지나갑니다. 바람에 밀리는 물결은 솟아오른 아침 빛 머금어 남에서 북쪽으로 물무늬 지으며 번져갑니다. 꽃 진 자리/ 잎 솟고/ 아기 녹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