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의 계절이다. 꽃보다 아름답다는 단풍이 어느새 남녘으로 번지고, 단풍을 즐기려는 산행의 발길이 한창이다. 낙엽 또는 가랑잎은 이별, 무상, 무용을 상징한다. “나무도 병이 드니, 정자(亭子)라도 쉴 이 없다./ 호화로이 섰을 때에는 올 이 갈 이 다 쉬더니,/ 잎 지고 가지 꺽인 후에는 새도 아니 앉는다.” 정철의 시 한구절이다. 잎의 푸르름과 열매를 자랑할 때는 그리도 반기던 나무도, 잎이 떨어지고 나니까 새들조차 깃들지 않는 쓸모 없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추풍낙엽(秋風落葉)’ 또는 ‘바람 앞의 낙엽’이라 했다. 권력의 자리에 있다가 어느날 갑자기 밀려났을 때 처량과 무상을 비유한 말이다. 그리고 도와 주는 이 없이 고독에 직면한 경우를 작은 배를 한 잎새에 비겨 ‘일엽편주(一葉片舟)’라 하였다. 잎은 인류 최초의 옷이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서 선악과(善惡果)를 따 먹은 아담과 이브는 눈이 밝아져 자신들이 벌거벗은 것을 알고 무화과나무 잎으로 몸을 가린다. 이로부터 나뭇잎은 인간을 위한 옷이라는 상징성을 갖게 됐고, 조상(彫像)의 치부를 가리는 최초의 의장(衣裝)으로 쓰여지고 있다. 잎은 우리 특유의 쌈문화를 만들어 냈다. 상추, 깨, 호박, 씀바
공기업 선진화와 복수노조 허용 및 노조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 저지 등을 목표로 한 노동계의 ‘동투(冬鬪)’가 심상치 않다. 민주노총 공공부문선진화 분쇄공동투쟁본부 소속 철도노조가 5일, 6일 양일간의 시한부 파업을 벌였고, 발전산업노조 가스공사지부 사회보험지부(국민연금공단)등 8개 공기업 노조는 6일부터 순환 파업을 시작하였다. 지난 7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8일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대규모 전국노동자대회에 이어 공공부문 노조는 9일부터 20일까지 사업장별, 권역별 순환파업투쟁을 벌이고, 이명박 대통령이 참여하는 28일의 ‘2차 공기업 선진화 워크숍’ 일정에 맞춰 전면파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면 11월은 온통 노동계의 파업과 시위로 달력이 빼곡하게 채워질 것 같다. 2006년 ‘평화적 집회 개최’를 선언하고, 새로운 집회 문화 정착에 앞장섰던 한국노총의 강경 노선 전환은 매우 실망스럽다. 내년 1월 시행을 목표로 한 정부의 복수노조를 허용하고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을 금지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를 반대를 하고 있으나, 이는 더 이상 거스를 수…
얼마전 임진강에서 여러 명이 숨지는 참사가 빚어졌다. 원인은 북한에서 방류한 물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에 대하여 형사책임을 지게 된 것은 결국 말단 공무원들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평상시 북한 방류에 대하여 준비나 예상을 하지 못했던 그 공무원들에게 어쩌면 임진강 참사는 전혀 예견가능성이 없었던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그들에게도 최소한 강의 수위가 늘어나는 것을 알면서도 대피방송을 하지 못했다는 등의 과실책임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임진강 참사를 두고 말단직의 책임자를 처벌하는 것으로 국가는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일까. 수년 전 대형화재가 수차례 있었다. 샌드위치판넬 때문에 발화된 화재는 크게는 수십명의 인명피해를 내고 말았다. 샌드위치판넬은 얇은 철판의 사이에 내장재를 넣어 단열이나 소음제거 기능을 함으로써 건축자재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내장재로 스치로폼이나 우레탄폼 종류를 넣는 경우, 단열효과도 높고 값도 싼 장점이 있지만, 한 번 불이 붙는 경우, 진화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겪게 되고, 많은 인명피해를 줄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단점이 있다. 그런데 국가는 이러한 자재 때문에 대형사고가 잇달아 남으로써 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왔건만
2년 전 태안 앞바다에서는 잊지 못할 사건이 발생했다.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군 앞바다에서 홍콩 선적의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와 삼성물산 소속의 ‘삼성 1호’가 충돌하면서 유조선 탱크에 있던 총 1만2천547㎘의 원유가 태안군 해역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대교 공사를 마친 삼성물산 소속 삼성 1호 크레인 부선을 예인선이 경남 거제로 끌고 가는 과정에 와이어가 끊어지면서 바다에 정박해 있던 유조선과 충돌한 것이다. 초기에 파도가 심해 빠른 대처를 하지 못해 피해가 더 컸다. 전국에서 몰려온 자원봉사자들이 기름 제거작업에 투입되었으나 시커멓게 변한 해안가를 되돌리기에는 어림도 없었다. 이로 인해 태안군의 양식장, 어장 등 8천여 헥타르가 원유에 오염되었으며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까지 위협하고 있었다. 수원시와 태안군의 각별한 인연은 죽어가는 해안을 살리기 위한 자원봉사에서 시작됐다. 당시 김용서 수원시장은 긴급간부회의를 통멓 태안군에 대한 지원방법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을 지시했고 태안 유류 유출사고의 피해를 보다 못한 수원시민들의 참여가 줄을 이었다. 수원시는 특히 피해복구를 위한 추경예산을 따로 세워 흡착포, 도시락, 장화 등 개인
민족문제연구소가 최근 ‘친일 인명사전’을 공개해 국민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친일청산 문제는 반민특위 해체 이후 현재까지 유야무야된 상태이고 매국노로 분류된 인사의 후손이 국가가 압수한 땅을 되찾겠다고 당당하게 소송을 거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역사학계에는 친일학자의 영향을 이어받은 제자들이 아직도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친일청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64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친일파 후손들이 우리사회의 기득권층이 됐기 때문에 친일문제를 거론하는 행위는 암묵적인 금기가 되어 버린 것이다. 물론 친일문제의 연구 성과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시인이자 평론가였던 임종국 선생이 1966년 발간한 ‘친일문학론’은 최초의 실증적 친일 연구서였다. 그는 친일세력들의 각종 압박과 회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전 재산과 인생을 친일역사 연구에 바쳤는데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는 그 흔한 화환 하나도 들어오지 않았다고 하니 이 작업을 하면서 얼마나 고독하고 힘들었는가를 알 수 있다. ‘친일문학론’은 이번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행한 ‘친일인명사전’의 뿌리인 셈이다. 이 작업은 정부의 지원금 중단 등으로 큰 진전을 보지 못하던 중,…
인천세계도시축전 기간 동안 국내외 많은 인사들이 인천송도국제도시를 직접 방문하여 친환경 첨단도시의 모습을 눈으로 보고 체험하고 돌아갔다. 세계도시축전의 성과에 대해 의견들이 분분하지만, 새로이 건설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세계에 알리고 미래상을 홍보함으로써 도시의 투자가치를 포함한 도시브랜드 가치를 크게 제고시켰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동북아 주변의 크고 작은 도시들이 경쟁적으로 비즈니스와 과학기술 거점 지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세계에 알림으로써 단계적으로 도시브랜드 가치를 제고시켜 나가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이러한 주변 경쟁도시와의 차별화 전략의 하나로서 U-City를 도입하고 있다. U-City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도시의 단어적 융합에서 출발한 것으로 다양한 개념적 정의가 존재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확대·발전되고 있지만, 도시공간과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의 접목을 통해 도시기능을 고도화하고 신산업 창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공통된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는…
정부와 여당이 기업형 슈퍼마켓(SSM) 등록요건에 ‘일정 규모 이상일 경우 소음 및 교통영향, 안전평가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다행스런 일이다. 당정은 논란이 되는 기업형 슈퍼마켓, 즉 SSM 규제 방안과 관련, 일정 면적 이상의 SSM에 대해 입지조건, 소음 및 교통 영향, 안전시설 등에 대한 등록 요건을 추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얼마전 지식경제부는 국회 지경위의 개정안보다 훨씬 후퇴한 내용의 SSM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었다. 당연히 중소상공인들의 반발이 발생했다. 지경부가 국회에 제출했던 안에는 SSM을 등록할 때 소음과 교통영향 등에 대한 기준을 따로 정하고, 영업시간과 품목을 제한하도록 하는 국회 지식경제위의 개정안이 들어있지 않았었다. WTO 협정에 위배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국회 지경위 법안심사소위는 3000㎡ 이상 대규모 점포에만 적용돼 온 개설등록제를 대규모 점포 및 그 직영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했으나 지경부는 등록요건 제한 등이 세계무역기구(WTO) 규정과 헌법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반대해 왔던 것이다. 이럴 경우 사실상 대형마트와 SSM이 합법적으로 재래시장과 골목 상권까지 치고 들어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은 보편적으로 앞만 보고 달리면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자전거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주행하거나 사정에 맞게 추월을 하는 것은 전적으로 뒤따르는 자전거 운행자의 책임 정도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이런 생각을 바꿔야 할 것 같다. 주행 중 고개를 뒤로 돌리기 어려운 자전거 운전자도 후방까지 안전 여부를 살필 의무가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항소3부(윤성원 부장판사)는 자전거 사고로 상해를 입은 문모(39)씨가 앞서가던 자전거가 갑작스런 진로 변경으로 사고를 유발했다며 운전자 오모(21)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피고는 원고가 뒤쪽 가까운 거리에서 진행하고 있음에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갑자기 좌회전한 과실이 있어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자전거 운전자는 주행 도중 손을 놓고 수신호를 하거나 고개를 뒤로 돌리는 것이 오히려 위험하기 때문에 ‘후방 주시’ 의무가 없다는 피고측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이다. 그러면서 재판부는 “자전거에 거울 등을 설치하면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후방 교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상징으
지난 10월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아버지인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묘역에 선 한나라당 박근혜 전대표는 “박 전 대통령은 국민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 새마을 운동과 경제개발 등을 위해 모든 것을 던졌다”고말했다. 박정희 전대통령 하면 새마을운동으로 상징된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의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사건이다. 1970년 4월 22일 한해대책을 숙의하기 위하여 소집된 지방장관회의에서 대통령 박정희는 수재민 복구대책과 아울러 넓은 의미의 농촌재건운동에 착수하기 위하여 자조·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시작되었다. 새마을운동은 초기에는 단순한 농가의 소득배가운동이었지만 이것을 통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면서부터는 도시·직장·공장에까지 확산되어 근면·자조·협동을 생활화하는 의식개혁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운동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자립하여 선진국대열에 꼭 진입해야 한다는 의지를 국민들에게 강하게 심어준 정부주도하의 국민적 근대화운동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한동안 잊고 지내왔던 새마을운동이 잘 살기 위한 전 세계운동으로 승화되고 있다.
동창회 모임엔 주먹을 불끈 쥐고 교가(校歌) 한 소절(小節)을 불러야 속 시원하듯, 10월의 끝자락은 가수 이용의 ‘잊혀진 계절’을 한곡조 뽑아야 가을을 마무리하는 기분이 든다. 시월의 마지막 날, 헤어짐이 아닌 참으로 소중한 만남을 가졌다. 고등학교 때부터 사연을 지닌 지인(知人) 3명이 만났다.(모두 개성이 출중(出衆)한 사람들이다) 한 명은 요즘 말로 범생(範生)중 범생(範生)이었다. 참으로 반듯하며, 자기정리가 매우 잘 된 사람이다. 우리 때는 가정이 별로 여유가 없고, 머리가 좋은 사람은 상고(商高)를 택했다. 상고 졸업생들은 대부분 첫 직장으로 은행을 택하는데(본인은 결코 그런 말 없지만), 대졸과 고졸의 차이가 여러 면에서 섭섭하고 또 은행이란 곳이 장래의 뜻을 담기엔 뭔가 그릇이 작은 것 같아 일반 대학에 입학해서 방위병으로 근무하는 도중에 행정고시(行政考試) 합격통지서를 받는다. 옆에서 보기엔 승승장구(乘勝長驅)했다고 할 지 모르지만, 얼마나 많은 불면(不眠)의 밤을 보냈을까? 중앙부서 차관(次官)을 지낸 뒤 세계적이라 할 수 있는 큰 반도체기업의 경영을 책임지고 있다. 각고의 노력(스스로 연봉을 35% 삭감하는 등)탓에